토끼와 함께한 그해
아르토 파실린나 지음, 박광자 옮김 / 솔출판사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아..하.. 제목도 기가 막히다..

"토끼와 함께한 그해" 라니, 정말 그 말이 맞지 않은가~!

 

사실 처음 제목을 접했을때..참 특이한 제목이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토끼와 뭘 함께했다고.. 또 저 제목속에는 무슨 의미가 가득한것이냐고..

그저 단순히 생각해도 될 제목에서 나는 한번 더 머리를 돌리고 돌려, 뭔가 큰 의미가 있을꺼라는 어줍쟎은 결론을 내렸었다.

근데...정말...그냥 제목 그대로가 아닌가..

책을 덮는 순간..왜 이렇게 나는 머리를 돌리고 돌려 생각하는가 하고..내머리를 쳤다.

직선적인 화법에 길들여지지 못한 스스로에게 화가 난 탓도 있으리라..

 

뭔가 큰기대를 했던 기자생활도 단순한 가십거리의 취재로 바뀌고, 진저리 나는 아내에게 시달리며, 특별한 재미거리나

사는 흥미가 없던 바타넨은 어느날 카메라맨과 취재길에 나섰다 작은 토끼를 치고 만다.

카메라맨은 별거 아니라는듯 가자고 하지만, 바타넨은 숲으로 들어가 다리가 상처난 작은 토끼를 안은후 밖으로 나올 생각을

않는다.  화가난 카메라맨은 그를 두고 가버린다.

그리고, 얘기는 시작된다..

작은 토끼와 함께 무작정 여행을 시작하는 우리의 주인공 바타넨..

토끼의 먹이를 위해 수의사를 만나는 것으로 여행을 시작한 바타넨은 숲에서 일용직으로 벌목일을 하기도 하고, 순록을 치기도

하고, 불이 난 숲에서 화재를 진압하기도 한다.  그야말로 마치 자연인으로 돌아간듯 그는 그 여행에서 갖가지 일들을 겪지만

힘들다거나, 어렵다거나 포기하는것 없이 그저 토끼와 함께라면 원래부터 그랬던것처럼 여행을 했다.

조그만했던 토끼는 점점 커지고, 토끼를 탐내는 사람들도 있고, 죽이려 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바타넨은 절대 토끼를 포기하지

않았다. 

마지막 국경선을 넘어 곰을 사냥하는 모습에서는 진지한 바타넨의 모습이 심각하기 보다 왜 그렇게 우습게 보였을까..

 

한바탕 멋지게 웃는 코메디적인 글도 아니고, 진지하게 깊이있게 파고 들자고 심각히 고민할 글도 아닌것 같지만

다 읽고 나면 웬지 웃긴다.  그리고, 웬지 깊이가 있다.

바타넨의 지친 현실삶에서의 도피가 나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만들고, 그가 겪으면서 일어나는 해프닝들이 나를 웃게 만든다.

현실에서 누구나 한번쯤 그런 어이없는 시도를 해보고 싶지 않을까?

지치고 힘든 모습에서 충동적으로 저지르는 일처럼.. 

우리의 주인공은 그게 토끼를 발견함으로서 시작되었지만, 우리 모두 뭔가 계기가 있다면 아주 우스운 것 하나로도 그런 충동스런

일을 저지를 지도 모른다.  그만큼 세상에 찌들었고, 그만큼 세상에 지친것이다.

비록, 우리 스스로 그런일을 실행하지 못하지만, 바타넨의 모습에서 대리만족을 하는지도 모른다.

 

나도 토끼를 발견하면 그녀석을 데리고 어디로 떠나버릴까?  우습지도 않은 생각을 해보지만, 이 삭막한 도시에서 토끼란

녀석을 만나기마져 쉽지 않다.  우리속에 갇힌 토끼를 도시속에서 제대로 볼수 없듯.. 바타넨이 발견한 토끼는 어쩌면 현실속에서

도망쳐나온 작은 우리의 모습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토끼와 함께한 그해.... 바타넨은 참 행복했을것 같다라는 느낌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