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누헤 1
미카 왈타리 지음, 이순희 옮김 / 동녘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어쩌면 나는 이 책에서 또다른 "람세스"를 기대한건지도 모르겠다.

고등학교때쯤 람세스를 읽고, 난 이집트 문화에 호기심이 강하게 발동했고, 그책이 지닌 매력에 푹 빠져 며칠밤을

흥분했던 기억이 난다.  그만큼 다섯권의 책은 단숨에 나를 유혹해 버렸다.

그덕분에 이집트라는 나라와 이집트의 역사에 대해 좀더 애정을 가지고 보게 된건지도 모르겠다.

물론, 아직까지도 이집트 역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지만 말이다.  그만큼 그 책이 준 파장이 컸다.

그래서, 이책의 표지를 보자마자, 나는 또다른 이집트를 만날 생각에 무척 흥분했다.

그리고, 다섯권이 단숨에 읽히듯 2권으로 이루어진 이책은 이틀이면 끝날꺼라는 자만심마져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책을 시작한 순간 그건 정말 말도안되는 자만심이었고, 이책에 거는 기대가 너무도 컸다는데 대해 오는 실망감으로

몸서리를 쳐야했다.

딱히 뭐라 말할수 없는 문체... 지식이 많치 않아 구어체라 하기도 뭣한 이런 식의 문체는 나를 질리게 하기에 충분했고

시누헤라는 인간의 삶을 들여다 보기보다 글에서 오는 지루함에 두손 두발 다 들어야했다.

그러나, 역시 이집트에 대한 매력만은 그 지루함을 이긴듯하다... 지루함속에서도 이집트 역사에 대한 얘기들이 곳곳에

뿌려지는 것을 보며, 책의 읽는 속도는 느려졌으나, 책을 손에서 놓게 만들지는 않았다.

 

시누헤.. 홀로인자..  어느날 갈대밭에서 건져진 소년.. 그를 주워 기른 부모는 가난한 의사인 아버지와 평범한 주부인

어머니였다.  그러나, 그는 그런 그들의 은혜도 생각지 않고, 한 여인의 미모에 반해 모든 재산을 그녀에게 갖다바치고

부모를 죽이는 꼴이된다.   그리고, 그에게 돌아오는건 차가운 그녀의 배신뿐이었다.  노예마져 그녀의 손에 넘어갔지만

노예는 그와 함께 달아나길 권한다.  궁중의사였으나, 앞뒤 생각하지 않고 그는 시리아로 야반도주를 감행한다.  그리고

그곳에서부터 그의 끝없는 여행은 시작된다.  시리아에서 부를 쌓고, 오랜친구인 호렙헵을 돕기위해 적지에 들어가 그들의

군사정보를 정탐하고, 새로 파라오가 된 그의 친구라 일컫는 아케나톤은 이집트의 미래보다는 새로운 신 아톤을 위해

세상을 혼란에 빠트린다.  비옥한 땅과 물이 흐르던 이집트는 황폐해지고 마치 종교전쟁처럼 아몬신과 아톤신을 섬기는

사람들로 나뉘어 분열이 일어나서 서로가 서로를 죽이는 일들이 수없이 일어난다.  그와중에 여행을 끝내고 이집트땅 테베로

다시 돌아온 시누헤는 많은 재산을 뒤로하고 젊은날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며 가난한 자들을 위해 봉사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파라오의 아톤신에 대한 무서운 집념으로 시민들과 파라오 사이에서는 넘지 못할 골이 더욱더 쌓여만 가고,

이집트를 노리는 히타히트 인들은 전쟁을 일으키기 시작하여 무릇 피의 물결이 넘쳐난다..

 

두권의 줄거리를 간단하게 요약하는 일은 언제나 쉽지가 않다.  처음 시작은 이책은 분명 연애소설을 가미했다고 돼 있지만

책을 다 읽은 나는 대단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 감싸여 나온듯한 느낌이 든다.  국경을 맞댄 그들이 싸우고, 동맹을 맺고

적이되고, 친구가 되며, 새로운 혁명을 시도한 파라오 아케나톤은 정신병자 취급을 받는다.  그시대에 만민 평등을 부르짖고

피를 흘리는 싸움은 절대 허락치 않으며 빈부격차는 있을수 없다는 사상을 부르짖는 아케나톤은 얼마나 앞선 인물이었던가.

주인공은 비록 시누헤이고.. 시누헤의 눈으로 글은 쓰여있지만, 그래서 아케나톤에 대해 정신병자처럼 글이 쓰여있지만 지금

현시점에서 보자면 아케나톤처럼 시대를 앞서간 파라오는 없었던듯 싶다.  물론, 그 시대 노예를 사고 팔고, 피부색으로

모든게 결정되고, 가난한자와 부자인자에 대한 신분의 격차가 분명했던 때에 그런 그의 사상은 받아들이기 쉽지 않은 사상이

었고, 그래서 정신병자 취급이 됐지만, 실제적으로 보자면 시대를 앞서간 인물이 아니고 무엇인가...

시누헤라는 인물의 삶보다 오히려 아케나톤이라는 이름을 가진 파라오에게 관심이 가는 이유도 그 때문이리라..

한 인간의 삶을 봤다기 보다 이집트의 역사를 헤집은 느낌이고, 웬지 서사시를 읽는 듯한 느낌이다.. 그리고, 두권이 열권을

본듯한 피로함을 가져온다.  좀더 현 시대에 맞는 번역이 되었다면 책이 술술 읽히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을 가져본다.

가볍게 읽기엔 너무 머리아프고, 복잡한 책이라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