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대와 책 - 지상에서 가장 관능적인 독서기
정혜윤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제목에 그저 "책"이라는 단어만 들어가면 나는 왜 늘 손이 부들부들떨리고, 심장이 두근거리는가..

나같은 독자만 있다면 모든 출판사가 제목에 "책" 이라는 단어만 넣어도 책이 왕창 팔리지 않을까 ..하는 우스운 생각도 해본다.

"침대와 책"이라...  처음 제목을 보며 '아 저거다' 라고 했다.

나는 주로 회사에서 짬짬이 독서를 하지만, 집에서는 거의 침대에서 책을 든다.

아무리 머리를 굴려봐도 침대가 아닌곳에서 책을 손에 든 적이 없는것 같다.

그만큼 침대와 책은 나에게 뗄래야 뗄수 없는 존재였다.   그래서, '정말 이 책은 내가 봐야 할 책이구나.' 라는 말도 안되는

의무감마져 들었던듯 하다.

 

책속에 녹아든 정혜윤 PD의 감탄하리만치 좋은 기억력과, 영화와 책을 매치시키는 구성과 나의 짧은 독서력에 혀를 끌끌찼다.

나름 어릴적부터 독서를 해왔던 인간이라고 자부했지만, 실상 뭐가 뭔지도 모른체 이때는 이책이 필요하고, 이런 상황에선

이런 책이 필요하며, 이런책들을 추천해 줄수 있는 능력이 내겐 없다.  그저 책이 좋아 보는것이고 책이 좋아 글자를 읽어내려

가듯 그냥 일상처럼 아무생각없이 읽어왔다.

그런데, 정혜윤 PD의 책을 읽는 순간 도대체 내가 책을 읽고 내머리속에 남은 책에 대한 기억력이 무엇이며, 상황에 따라

내 기억속에 저장되어 있는 적절한 타이밍의 책은 뭐가 남아있는지 한심스러움이 들었다.  또한 곳곳에 소개하고 있는 저자의

책 얘기들은 마치 딴나라처럼 내가 읽어보지 못한 접해보지 못한 이야기이거나 책이 다수라 책을 읽는 내내 줄곧 스스로의

독서방향과 제대로 된 책을 읽어오기나 한건지 반성만 해야했다.

 

내 옆의 남자가 한심하고 매력없이 보이면 "개선문"이라든가 "빅피시" 라던가 "장미의 이름"을 읽어보라고 말하고, 어디로든

떠나고 싶을땐 서머싯 몸의 "인생의 베일"을 생각하며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내용들을 추려내 옆에서 친구가 얘길해주듯

조곤조곤 내용을 읊조려 준다.

상황과 때에 맞게 내용을 얘기해주기도 하고, 어떤때는 이때는 이책이 아닌거 같은데? 라는 의문이 들지만 읽다보면 어느정도

스스로가 동화되어 가는듯한 느낌마져 준다.  그러면서 아직 접하지 못한 무수한 책들속에 역시 배울게 너무나도 많다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해보게 된다.  나 역시 적절한 타이밍에 저자처럼 이런 얘기들을 주위 사람에게 조곤거려 줄 수 있을 것인가..

도저히 자신이 없어지지만 침대속에서 발견한 책으로 이런 얘기들을 들려줄수 있다면 무엇보다 큰 보람이며, 내가 책을 읽는

작은 기쁨이 될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아쉬움이라고 해야하나..  스스로 너무 큰 기대를 한 탓인지 내가 생각했던

내용과는 조금 동떨어진 느낌과 어느 부분에선 이 소제목의 내용과 책 내용이 매치가 되는가..라는 가벼운 의문이 들었다.

조금의 지루한 것도 내가 그 속에 녹아든 책들을 대부분 이해 못하기 때문이기도 한듯하다..

관능적인 독서기라기 보다 지식의 독서기라고 하는게 나을듯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