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강 머리 여인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르한 파묵에 대한 이름은 많이 들어봤으니 직접적으로 책을 읽어보기는 처음인거 같다. 도서모임에서 10월에 읽고 토론하려고 했던터라 오랜만에 도서모임 나갈 생각에 룰루랄라 거리며 구입해 읽었건만 정작 도서모임에는 못나갔다는 슬픈소식. 같은 책을 읽고 다양하게 이야기를 나누는 게 너무 그리웠던터라 기대했건만 사정상 나갈 수 없었던게 안타까웠대나 어쨌대나. 아무튼, 덕분에 이 책을 읽게 됐으니 간만에 만한 찐한 문학느낌.

일단 뭣보다 표지 너님 당첨. 내 스타일이야~~~~~~



책모임에서는 어떤 이야기들이 오고 갔는지 모르겠지만 나는 오롯이 내가 느낀것만 그냥저냥 써야 할 수 밖에 없는 아쉬움이 뭣보다 크다. 책을 읽고 받아들이기가, 흡수하기가 잘 됐는지도 모르겠다. 이런 책들을 읽을때마다 예전엔 구구절절 쓸 말들이 많았던 거 같은데 요즘은 피철철이들로만 채워지는 내 스타일의 독서다보니 오랜만에 이런 책 리뷰쓰기가 막막해지는 느낌이다.

이스탄불이 무대이기도 해서 뭔가 아시아권이지만 이국적인 느낌이 많이 드는 소설이기도 했다. 예전 우리 70년대를 스쳐 지나간 느낌이 들기도 했고......

주인공 나는 (이름이 있었으나 기억이 안나는 ㅡ.ㅡ;;;) 어린시절 나름 약국을 하는 아버지와 어머니 아래서 괜찮게 자랐던 거 같다. 단지 아버지는 좌익 운동과 관련해 경찰서를 드나들며 심문을 당하기도 하고 어머니외 여러 여인들이 있어 집을 몇년 나가 있기도 하는 등으로 아버지의 부재는 나에게 뭔가 텅빈 공허감을 안기기도 했다. 아버지의 품을 그리워 했던 거 같은 느낌이 강하다. 어머니가 계시지만 어머니 얘기에 치중하기보다 집을 나간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과 이야기가 더 짙고 깊다.

아버지가 집을 나감으로서 약국은 문을 닫고 경제적 어려운 상황에서 16살인 나는 우연히 우물 파는 기술자 우스타를 따라 왼괴렌으로 오게 된다. 그곳에서 우물을 파내는 힘든 일을 하지만 물이 곧 나올거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우스타는 왠지 아버지와 같아서 아버지의 부재속에서 그는 우스타를 아버지화 해서 그에게 마음속으로 의지했다는 표현이 맞을 듯 하다. 낮에는 더위속에 우물을 파고 저녁에는 마을로 내려가 차한잔을 하고 우스타의 담배를 사는 과정에서 우연히 빨강머리 여인을 발견하고 그녀에게 빠진다. 심지어 연극배우에 결혼까지한 유부녀인데도.... 지난한 그의 삶의 과정이 나오고 빨강머리 여인의 등장은 한참만에야 나온다. 그러나 그만큼 그여인이 그에게 미치는 임팩트는 크다.



책을 마지막까지 읽어나가는 과정에서도 나의 삶에 대한 구구절절한 일대기가 그려진다. 그런데 참 아이러니하게도 빨강머리 여인에 대한 이야기는 그 후에 발견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후반부 가까이 가기까지 왜 이 책 제목이 <빨강머리 여인>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너무나 컷다. 책 팔기위한 술수인가? 아니면 상징성인가? 라는 의문을 가져야만 했다. 그래서 책 마무리 짓기도 전에 그걸 물어보기도 하고..ㅡㅡ;;;

그런데 역시 내 판단이 너무 성급했었다. 마지막 책장까지 다 덮고서야 왜 이 책 제목이 그리 뽑혔는지 이해가 갔다고나 할까?

사실 이 책이 가진 심오함은 내가 글로 표현하기 힘들정도로 많은 이야기가 있다. 빨강머리 여인의 주된 이야기보다는 아버지가 아들을 죽이는 이야기 오이디푸스나, 아들이 아버지를 죽이는 이야기 쉬흐랍의 이야기에서 주는 메세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깊게 담겨있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성에 대한 이야기가 좀 더 깊게 다가온다고 해야할까.

문학작품은 글을 쓰자고 들면 더 깊이 파고 들만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리뷰쓰기도 만만찮고 생각할 거리도 만만찮다.

지금도 사실 쓰고 있는 순간에도 이 이야기가 다 가 아닌데... 더 깊이 뭔가를 찾아 적어야 할 거 같은데... 라는 생각이 자꾸만 파고든다. 그럼에도 짧은 내 소견으로 급하게 리뷰를 마무리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 더이상 글쓰기를 머리속으로부터 저지당하고 있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성. 아버지의 부재로 부터 오는 강한 그리움과 그에 반하는 강한 반항. 부자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확실히 내가 떨어진다는 느낌이다. 마지막에 가진 큰 임팩트는 앞의 이야기에서 쭉 이어져 오는 복선에서 가히 짐작이 되는 이야기인데도 나는 충격이 컸다. 쉬흐랍보다 오이디푸스 이야기로 이어지길 바랬는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이 책은 다 읽었으나 부자관계에 집중할지 아니면 그외의 부분을 더 파고 들어야할지 고민이 됐던 책이다. 오랜만에 만난 문학이라 쓸말이 많으나, 또 없는 듯한 이 기분.

오르한파묵의 작품은 보통 이런것인가. 생각보다 글이 잘 읽히고 생각할 거리는 많아서 괜찮은 만남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