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마지막까지 읽어나가는 과정에서도 나의 삶에 대한 구구절절한 일대기가 그려진다. 그런데 참 아이러니하게도 빨강머리 여인에 대한 이야기는 그 후에 발견되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후반부 가까이 가기까지 왜 이 책 제목이 <빨강머리 여인>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이 너무나 컷다. 책 팔기위한 술수인가? 아니면 상징성인가? 라는 의문을 가져야만 했다. 그래서 책 마무리 짓기도 전에 그걸 물어보기도 하고..ㅡㅡ;;;
그런데 역시 내 판단이 너무 성급했었다. 마지막 책장까지 다 덮고서야 왜 이 책 제목이 그리 뽑혔는지 이해가 갔다고나 할까?
사실 이 책이 가진 심오함은 내가 글로 표현하기 힘들정도로 많은 이야기가 있다. 빨강머리 여인의 주된 이야기보다는 아버지가 아들을 죽이는 이야기 오이디푸스나, 아들이 아버지를 죽이는 이야기 쉬흐랍의 이야기에서 주는 메세지에 대한 이야기들이 깊게 담겨있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성에 대한 이야기가 좀 더 깊게 다가온다고 해야할까.
문학작품은 글을 쓰자고 들면 더 깊이 파고 들만한 이야기들이 많아서 리뷰쓰기도 만만찮고 생각할 거리도 만만찮다.
지금도 사실 쓰고 있는 순간에도 이 이야기가 다 가 아닌데... 더 깊이 뭔가를 찾아 적어야 할 거 같은데... 라는 생각이 자꾸만 파고든다. 그럼에도 짧은 내 소견으로 급하게 리뷰를 마무리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 더이상 글쓰기를 머리속으로부터 저지당하고 있다.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성. 아버지의 부재로 부터 오는 강한 그리움과 그에 반하는 강한 반항. 부자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확실히 내가 떨어진다는 느낌이다. 마지막에 가진 큰 임팩트는 앞의 이야기에서 쭉 이어져 오는 복선에서 가히 짐작이 되는 이야기인데도 나는 충격이 컸다. 쉬흐랍보다 오이디푸스 이야기로 이어지길 바랬는지도 모르겠다. 어쨌거나 이 책은 다 읽었으나 부자관계에 집중할지 아니면 그외의 부분을 더 파고 들어야할지 고민이 됐던 책이다. 오랜만에 만난 문학이라 쓸말이 많으나, 또 없는 듯한 이 기분.
오르한파묵의 작품은 보통 이런것인가. 생각보다 글이 잘 읽히고 생각할 거리는 많아서 괜찮은 만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