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준호 감독의 영화를 언제 봤던가.... 그 유명한 <기생충>도 제대로 안 찾아봤고, TV에서 해줘도 딱히 안끌려서 안보던 나였는데 그래도 아주 오래전 <괴물>은 기억에 남아서 영화가 그럭저럭 재밌었다는 느낌은 있었다.

이제 네임밸류가 워낙 높아져 워너브러더스사의 로고가 땅~! 하고 나오는 그런 감독이니 딱히 영화는 끌리지 않았는데 신랑이 급 관심을 가지며 보러가자고 해서 간만 영화관 나들이.

사실 어떤 내용인지도 전혀 모르고 가서 오히려 더 몰입하며 볼 수 있었던 거 같다.


첫 시작을 동료의 배신으로 시작하길래, 뭐 이런 나쁜 넘들이 있나 생각했더니 대사가 더 기막히다.

"미키 죽는 기분은 어때?"

전혀 내용을 모르는 나는 아니 도대체 저런 질문을 왜 하는거야?

죽은 사람이 그걸 어떻게 아냐며, 다 죽어가는 미키를 놀리는가 했다.

근데, 알고보니....아우.. 미키는 죽는 것이 직업(?) 아닌 직업(?)이었던 거다.



미래 사회를 얘기하는 SF 미키.

친구의 꾐에 넘어가 사채 비스무리한걸 쓰고 그들의 목숨 위협에 지구를 떠나기로 하고 비행선을 탄다.

또다른 행성에서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려는 "마크 러팔로" (배역 이름을 까묵했구만) 의원이라고 해야하나.

아무튼 새로운 지도자를 따라서..... 또 따지고보면 그 지도자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미키는 그냥 어쩌다보니 복제인간(직업)에 체크체크~ 그냥 지구만 떠날 수 있으면 됐던 거다.

아, 근데 이 지도자 골때리네. 따지고보면 스스로 하는건 별로없고 마눌이 옆에서 다 조종하는거 같단 말이지. 마치 꼭두각시처럼... 그래도 나쁜넘은 나쁜넘이야. 지 욕심 밖에 모르는.. 자신을 따르는 사람들에 대해서 일말의 동정이나 지도자로서의 능력이 있기나 한건지..



첨엔 어떤 일인지도 모른채 시작된 그의 일.

미키의 모든 기억력과 그에 관련된 모든것을 그대로 데이터 값에 입력시키고 미키에 대한 몸으로 생체실험을 한다. 아 이건 진정 마루타를 보는 느낌이다.

우주에서 얼마나 오래 버티는지, 손은 언제 얼어붙고 언제 떨어져 나가고, 언제 죽는지.

가스를 마시고 언제까지 살아있는지..... 기타등등..

그렇게 죽어간 미키는 다시 그대로 살아난다.

죽었고, 살아나고..죽었다. 살아나고...

그렇게 미키는 16번의 삶을 마감하고.... 17번째의 삶으로 태어났다.

17번째 미키는 이제 새로운 땅 새로운 우주속의 괴 생물체에게 죽임을 당한 상황인거다.



사실 나는 제임스패터슨을 좋아하지도 않고, 많은 사람들이 잘생이라고 했을때 딱히.... 라고 생각했었으며, 그의 전작들을 본것이 없고 사알짝~스쳐 지나가며 본건 그의 데뷔작이던가? 그 늑대로 나오는...브레이킹 던, 뉴문 정도였던 거 같다. 그때도 딱히 매력적이거나 연기를 잘한다거나 하는 느낌은 없었다. 그냥 뭐 같이 출연했던 배우와 스캔들정도의 기억만 갖고 있었다. 그런데 말이다. 미키를 보면서 아... 연기 잘하네. 그 생각을 했다.

외국배우라 솔직히 뭐.. 연기를 제대로 잘하는건지 어떤건지 알기 힘든데도.. 17번...여러 미키를 생산해 내는데 그때마다 연기가 다르다는 느낌.



특히 어찌어찌해서.. 두명을 연기해야 했던 1인 2역에서 더 많이 느꼈다.

같은 사람이지만 다른 느낌의 미키. 근데 제임스 패터슨이 그걸 완벽하게 소화하는거다.

연기 잘하네. 싶었다.



암튼, 갇힌(?) 속에서도 사랑은 피어나고 유일하게 자신을 위로해주고 사랑해주는 짝을 만나니..

고나마 거기에서 살아가는(?!) 희망을 느끼지만... 그래도 여튼 미키의 운명은 죽어야 하는거다.

그래서 미키 17은 죽었고.. 복제는 다시 시작되는 거였다.

그런데 어디서부터 틀어진건가.



살아남으려는 미키 17, 16번을 죽어도 죽는건 매번 힘들다는 걸 일깨운다.

그리고 복제의 복제의 복제이지만 결국 그마져도 한사람의 인격인 거라는 걸 깨닫게 해준다.

과연 복제라고 해서 헌신짝처럼 쓰고 버려야 할 그런 단순한 생명체가 아니라는 거다.

이런 부분에서 인간을 복제해 자신의 쌍둥이를 만들고 아플때 복제인간의 장기를 쓰고 나머지는 버리려던 그 비슷한 영화들이 생각났다.

사실 초반은 꽤 지루한 느낌이 없진 않았다. 물론 난 재미있게 봤지만 신랑은 좀 졸았을 정도였으니..

SF라 엄청난 뭔가가 팡~!! 하고 터지길 바라며 본다면 약간의 오산일 확률이 크다.

하지만 보면 볼수록 영화에 빠져들게 된다. 그리고 생각하게 된다. 영화를 보면서도 생각하고, 보고 난 후도 생각한다. 미래엔 분명 저런 기술이 존재할 듯 한데 (지금도 동물을 복제하는 시대니까..) 과연 복제인간에 대해서 우리는 한 인격으로 생각하게 될 것인가, 아니면 그저 나의 대용물로 쓰고 버리게 될것인가..

그도 아니면 나와 똑같은 사람이 살아간다는 그 자체만으로 치를 떨게 될 것인가..



17번째 미키를 만나고 나는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 고민을 했다. 그리고 18번째 미키를 만나고 나서 복제에 대한 회의감이 없지 않아 들었다.

미래에 어쩔 수 없이 일어날 것만 같은 일이지만 복제라고 해서 단순히 쓰고 버리는 그런 세상이 되지 않기를..

아니 그보다 인류의 복제가 과연 필요한 건지 다시 진지하게 고민한 계기였다.

뭔가 조용하지만 큰 파문을 일으킨 영화였지 않나 싶다.

SF 책은 싫어하지만 갑자기 원작 소설이 읽고 싶어졌다.

봉감독님 영화 오랜만에 봤는데 나는 괜찮았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