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바꾼 난세의 지략가들 - 조선시대 편 + 고려시대 편
김석준 지음 / 내외신서 / 2013년 11월
평점 :
절판




역사를 이야기하는건 언제나 즐겁다. 그래서 사재기를 하고 있지만 쉬운 책 읽기를 한다고 요새 도통 손이 안가더니 그래도 이렇게 만나니 즐겁네. 근데 이상하게 역사관련 책은 손에 들면 다른 책에 비해 오래 간단 말이지. 이 책도 금방 금방 읽히는데도 일주일 넘게 들고있었나 보다. 뭐 그동안 책 읽는 속도에 비해 좀 느려진 거긴 한데, 사실 이래저래 다른 병까지 생겨서 3월은 책 읽기 좀 버거운 달이긴 하다.



제목그대로 어려운 시국에 나타난 지략가들과 왕의 연결고리랄까.

조선편이 앞에 있고, 고려편이 뒤에 있다. 일단 조선건국 순서대로 정리된 거라 이성계하면 정도전이고 세조하면 한명회, 성종하면 유자광.. 익히 아는 이들의 이야기라 좀 더 수월하게 읽었다. 물론 늘 까묵해서 다시 읽는 느낌이긴 하지만 읽어보면 아, 그래 그때 이 사람이 나타났었지 하는 머리트임이랄까.

지략가로서 좋은 면도 있었지만 결국 권력과 욕망에 기댄 그들의 욕심으로 말년이 안 좋은 경우가 더 많았던 듯 하다. 한명회도 죽어 부관참시까지 당하고, 그외 후대에 나온 지략가들도 마찬가지고.....

인조의 지략가에는 소현세자가 올라 놀라긴 했네. 못난 애비에 잘난 세자는 자신의 자리를 노리는 경쟁자로 밖에 안보이는 왕의 자리란 정말... 안타깝고 안쓰럽다.

환상의 짝꿍으로 이어져 한시대를 발전시키고 영광스럽게 물러나는 건 좋치만 그게 아닌이상 대체로 말년이 좋치 않으니 왕의 자리란것이 그리 좋은것만은 아니오, 권력을 가진 왕의 총애를 가져본들 반대파에 의해 숙청되기 일쑤니 이걸 어찌 받아들여야 할런지.....

역사는 반복된다고 하는데 근현대를 와서도 딱히 그게 바뀌는건 없는건가..



어쨌거나 그 지략가들의 움직임으로 역사가 바뀐경우가 많긴 하다. (어차피 지략가가 없었어도 바뀌긴 하지 않았을까.. 라는 상상을 좀 하긴 했지만..) 좋은 쪽으로 왕을 보필한 이들로 인해 태평성대가 되고 백성들이 편안한 삶을 살 수 있었던 것에 비해 자신의 욕망만 채우려한 지략가들도 있어서 (그들을 지략가로 불러야하는건지 의문이지만..) 역사가 아쉬운 느낌.

조선시대는 대체로 많이 접해 거의 아는 부분이었고, 고려는 왕조차도 왕건밖에 모를 정도니 새롭긴 했다.

근데 고려왕과 조선왕의 칭호가 같아 헷갈리겠더만.. 성종, 숙종도 고려시대 다 있어서 겹친다. 그래서 고려의 왕과 지략과들은 새롭게 읽어 좋았다.

어지러운 역사는 되풀이 되지 않아야 할텐데 역사를 보고 미래를 설계해 나가는 그런 지략가들이 난세에 많이 나타나야 할 시국이 아닌가 싶다. 그런 지략가들은 어디 다 숨었는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