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지기가 들려주는 기이한 이야기
나시키 가호 지음, 김소연 옮김 / 손안의책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와, 나 이 책 이렇게 재밌는 줄 알았으면 사고 바로 읽었을 텐데......

결혼전에 사 둔 책을 이제서야 읽는거 말이돼? 푸하하하하하..

사실 일본소설을 좋아해서 사두긴 했는데 "기이한" 이런 단어 들어가면 으스스한 느낌이 들어서..

아, 이거 뭔가 귀신들이 어마어마하게 나오는 무서운 일본소설인줄 알았다 이거지.

게다가 지금은 미쓰다신조 책도 나름 아무치도(?) 않게 읽지만 그 전까지만해도 나는 진짜 무서운건 겁나리 싫어하는 특히 귀신 나오는건 싫어하는 그런 사람이었던지라 이 책은 그 "기이한 이야기"를 알고 싶지 않았다.

근데, 또 취향은 어느순간 바뀌는 법.

올해 묵혀둔 책들 읽어내는 맛이니 이 책도 그럼 읽어보자 하고 펴 들었는데.... 와, 이 작가 한번 만난 작가였네.



<서쪽마녀가 죽었다.> 라는 개인적으로 기억에 강하게 남은 괜찮은 작품을 쓴 작가이기에 오오~ 기대감이 컸다.

물론 초반부에서 친구였던 고노가 죽은 집이였던 곳을 친구 아버지가 다른 자녀와 합치면서 주인공에게 그냥 집지기 즉 집만 좀 봐주면서 살아달라는 거라 글쓰기로 충분한 돈이 없던 주인공은 OK 하게 된거.

이부분에서 뭔가 으스스한게 나오나 했더니........

막 뭐가 나오긴 한데, 무서운 것들이 아니다. 기이한 이야기는 분명 맞다.

족자속의 백로가 고기를 잡으러 집밖으로 나오고, 보트를 타고 사라져버린 친구(그래서 죽은) 고노가 비오는 어느날 족자에서 나와 친구와 평소처럼 "어이~"라고 부르고, 그런 친구를 또 주인공은 아무렇치도 않게 "왔어" 가 되는 이 뜬금없는 이야기 전개.

거기다 갓파, 도깨비, 악마, 혹은 귀신까지 수시로 나오긴 하는데 그런것들이 새롭거나 무서울게 없는 일상처럼 이야기가 전개되니 읽으면서도 나역시 그냥 일상으로 받아들인다.

특히 저자는 그런 등장인물(?)들을 꽃이나 나무의 소제목을 붙여 하나씩 이야기를 이어가고 있다.

동백애기꽃이면 그에 관한 이야기, 다알리아면 그런 여자에 관한 이야기 등등..

읽으면서 역시 특이하고 재밌네 싶었다.

이렇게 재밌는 줄 알았으면 빨리 읽어볼 것을.....

이제라도 읽어서 얼마나 다행이야. ㅋㅋㅋ



그나저나 심심찮게 찾아오는 고노는 내가 기다려 지는 지경이고 고노가 부탁해서 갑자기 키우게 된 강아지 고로는 모든 갓파와 악귀들의 싸움을 중재해주는 영험한 강아지라니.. 그리고 옆집 아주머니는 이런 이상한 현상을 물어보면 또 아무렇치도 않게 모든걸 다 알고 대답해준다.

이상한 동네지만 또 이상한 동네같지 않은 일상적인 이야기들.

뭔가 재밌으면서 웃기기도 하다.

일본풍이 강해서 좀 못알아 먹는 부분도 있지만 그래도 재미나게 읽었네.

이거 2권 없는거야? 그런거야?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