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종료
사카이 준코 지음, 남혜림 옮김 / 사계절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족종료"라는 어감이 참 특이했다.  어떤 의미의 가족종료란 말인가?

가족간의 관계 끝?  이제 다시 안 봄? 뭐 이런 느낌이 들어서 어쩌면 나는 그냥 가족간의 불화정도로 이 제목을 이해 했던 듯 하다. 

이 저자의 글을 읽었었다면 그런 의미와는 다르게 해석해야 하는 것을 알았으면서도.... 나는 정작 이 책을 손에 들 때쯤엔 이 작가를 처음 대하는 작가라고 착각했었다.  한참을 책을 들여다 보는데 이상하게 글이 익숙한(?) 느낌이 들어 작가의 책을 검색해 보고 내가 읽었던 책의 작가라는 걸 안 건 안 비밀.

뭔가 딱 꼬집어 말 할 순 없지만 이 저자만의 글 느낌이 있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가족종료라 함은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이 자신을 끝으로 사라짐을 의미하고 있었다.  우리는 단어도 생소한 "생육가족" 종료.

일본엔 이런 말이 유앵하는 건가?

자신의 오빠의 죽음으로 인해 부모님도 돌아가시고, 오빠도 돌아가시고 새언니나 조카가 있지만 오롯이 자신의 혈연으로 맺어진 가족의 사라짐으로 이야기를 시작하는 그녀의 이야기는 가족관계 전반에 대한 이야기를 깊게 다루고 있었다.

장남에게 무조건 모든것을 많이 주던 시절.  그때는 장남이기에 좀 더 배려되는 부분이 있었고, 장남이기에 더 주는 부분도 있었지만 지금은 똑같은 조건의 자녀 이야기부터 시작해서 혼자 살아가는 저자의 이야기를 그리며 만약 자녀가 없다면, 혹은 커플일지라도 꼭 남녀가 아닐수도 있으며 새로운 가족관계의 형태를 인정해 주는 그런 부분이 있어야 한다는 미래지향적인 이야기까지 가족과 관계된 많은 이야기들이 나온다.  물론, 주로 자신의 이야기가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지만......

명절에 관한 이야기도 우리와는 다르지만 친척들이 모인다거나 하는 부분은 또 비슷해서 간혹은 고개도 끄덕거리기도 했지만 대체로 너무나 일본적인 이야기인지라 생소한 부분도 너무 많았다.

전체적인 맥락이야 저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와 닿기에 이해가 되지만 같은 아시아권이래도 워낙 다른부분도 많아서 응? 하는 부분도 있었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뭐랄까.  점점 인구가 줄어가고 혼자 사는 사람들이 많아져 가는 시대이다 보니 이런식의 이야기속에서 생각해 봐야 할 문제들이 많다는 것도 깨달았다.

나이들어 동거지만 각자의 가족은 각자가 책임지면서 생활하는 나름의 자유로운 방식.  그러나 또 깊이 들어가면 복잡다단해 지는 법률상의 문제들.  저자는 어떤 가족관계가 옳다거나 그르다거나 하는게 아니라 가족종료, 즉 생육(혈연)으로 이뤄진 가족이 사라지고 결혼도 하지 않고 혼자 살아가게 되는 앞으로의 상황에 어찌 대처해야 하고 또다른 방식으로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들.

읽으면서 가족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보고 혹 이게 내 미래는 아닌지 하는 걱정도 좀 들었던 책이다.  솔직히 결혼을 했다고하더라도 혼자가 되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으니......  정말 앞으로의 가족의 형태는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그나저나 너무 조곤조곤 이야기 하는 저자의 글, 오랜만에 만났더니 읽다가 두어번은 졸았다는 건 안 비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