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애닯구나, 잊혀진다는 것은
은애숙 지음 / 상상마당 / 2020년 2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02/pimg_7203471152500947.jpg)
솔직히 말하면 제목에 끌려서 이 책을 선택하긴 했는데, 중.단편인 줄은 제대로 몰랐다. 간혹은 도전하고픈 생각이 있어서 우리나라 작가들의 중.단편을 보는 경우가 있긴 하지만 그리 선호하는 타입은 아니라서 오히려 그냥 제목에 혹해서 손이 갔던 것 같긴하다. 그나저나, 이런 읽기는 했으나.... 내 머리속에서 제대로 정리가 안돼서 리뷰쓰기가 한참 망설여졌다는 건 안 비밀.
그래서 여즉 미루다가 결국 내용을 다 까먹게 된 것 또한 안 비밀.
내 기억력의 한계이기도 하고 이해력 딸리는 내 머리의 한계이기도 한 그런 상황..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02/pimg_7203471152500948.jpg)
중, 단편을 선호하지 않는 건 그 짧은 이야기들을 하나하나 다 줄거리로 기억한다는 것도 힘들고 전체적인 내용 보기를 좋아하는 내가 짧은 이야기속에서 뭔가를 찾아내기도 힘들어서 인데.. 이 책은 전체적으로 환상 적인 느낌과 현실적인 느낌이 함께 공존하는 듯한 뭔가.. 알듯 알듯 하면서도 헷갈리는 그런 기분이다.
총 7편의 글들이 실려있는데 일일이 줄거리 나열하기도 그렇고, 그저 작가의 이야기에 조금조금씩 귀기울여 읽는다는 느낌으로 책장을 넘겼다. 하나하나 줄거리 나열하는 거 젤로 싫어하는터라 전체적인 그림을 보는 느낌으로 읽어 간 기분.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0/0402/pimg_7203471152500949.jpg)
그래도 제일 기억에 남는건 역시나 제목의 단편소설 이야기가 아닌가 싶다.
서포 김만중을 만나 이야기를 나눈다는 설정자체도 신선했고, 그 속에서 이야기를 나누며 현실적인 느낌으로 이야기를 전개한 부분. 말도 안되지만 또 그런 상상이 작가가 글을 쓰게 만드는 원동력이 아닐까 싶다. 솔직히 아직 김만중의 글을 제대로 접해 보지 못해서 그런식으로 받아들여야 할지 감이 안오는 부분도 있긴해서 이참에 또 김만중의 작품을 제대로 한번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했던 책이기도 하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책읽기라고 해야하나...... 그래서, 이런 책이 주는 즐거움은 또다른 책을 만나게 해준다는 색다른 선물같은 기분.
좀 더 작가의 작품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 할 수 있었다면 참 좋았을 듯 하지만, 아직은 적응이 안되는 기분이기도 하다.
현실적이지만 또 현실적이지 않은 사실이 마음 깊숙이 뭔가를 때리는 기분.
아, 역시 중단편을 이야기 한다는 건 어렵다. 아직 나에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