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아들 첫 습관의 힘 - 아들의 평생 공부력, 자존감, 사회성을 잡아주는
이진혁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0년 1월
평점 :
절판



아들이지만 둘째고, 아직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터라 벌써(?) 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내가 첫째를 학교 보내보니 어린 유치원 시절보다 학교들어가서 신경쓰는게 더 많았고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  그리고, 여전히 그건 현재진행형이기도 하다.  그래도 고나마 첫째는 딸아이라 나한테 쫑알쫑알 말이라도 하고 힘들다면 나한테 고민있다고 상담 요청도 하는데 아무래도 아들은 지금은 괜찮을 지 모르지만 학교들어가게되면 내가 당최 그 아이를 감당하기 힘들것도 같아서 (이럴땐 아빠가 좀 나서서 아들의 마음을 헤아려 줬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이 있다.  아직도 아이들 교육은 엄마가.. 라는 가부장적인 신랑이라 보니 쩝.) 미리 좀 더 준비해야 한다는 압박감 아닌 압박감이 있다.  지금도 보면 첫째랑 너무 성향이 달라서 이건 남자와 여자의 차이인건지, 성향의 차이인 건지 당최 그걸 분간 못하겠는 느낌이 있고.......  첫째때보다는 덜 힘들었으면 좋겠는데 아마도 아들이라 더했으면 더했지 덜하진 않을거라는 이 느낌적인 느낌.


초반 책을 들때만 해도 뭐 그냥저냥 또 흔히들 보는 그런 책이려니 하는 생각도 있었지만 그래도 현직교사라고 하니 좀 낫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도 있었고,  이래저래 책을 들기전에는 늘 머릿속으로 내용을 반정도는 상상하고 기대하고, 그러다 실망하기도 하지만 이 책은 오~ 그 기대감을 훌쩍~ 넘어줘서 초반 읽으면서 부터 야호~라고 마음속으로 환호했다.  뭣보다 참 작은것들...... 우리들이 놓치기 쉬운, 특히나 부모들이 놓치기 쉬운 이야기들을 선생님께서 현직에서 겪은일들을 이야기 해주시니 아하~하게 된다.  아직은 진실의 확실성보다 자기변호에 앞서다 보니 이야기의 초점을 맞출때 엉뚱하게 이야기가 전달되는 경우가 많다는 건 솔직히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도 꽤 겪어봤던 일이다.  아이의 말을 다 믿지는 않치만 그래도 이상한(?) 말을 하면 유치원선생님에게 다시 한번 확인해야 했던 그런 기분.  하지만, 이제 학교에 가게되니 다 컸다는 느낌이 들어선지 제대로 말도 잘 할 거 같고 아이의 말은 다 진실일 것만 같지만 혹여 선생님이나 친구를 오해하게 되는 상황까지 가기 전엔 확실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걸 느꼈다.  선생님도 따지듯 전화하시는 어머님의 전화에 꽤 당황하신 적도 많다 하시니 그런 부분은 좀 생각해봐야할 듯도 하다. 


그나저나 남자아이들의 공부기초..크흐~   요즘은 휴대폰에 길들여진 사회인데 습관을 잡아줘야 하는 부분도 고민이기도 하지만 사실 학교 들어가서 배우는 건 선생님 말씀처럼 습관, 예절등등 아이가 살아가는 데 배워야 할 기본적인 사항들을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서 하나씩 배워가는 것이기에 꼭 공부, 공부에 대한 기초를 의미하는 그런 사고방식은 이제 접기로 하자.  하긴 뭐 나부터라도 공부 억지로 시키는 스타일은 아닌데다 아이가 굳이 공부보다 다른 쪽을 원한다면 억지로 하고픈 맘은 없으니 서로의 공동체속에서 어떻게 지내는 가가 제일 중요하지 않은가 싶다.  특히나 남자아이다 보니 그들만의(?) 세계속에서 아이가 어떻게 사회성을 이루며 커 갈지에 대한 그런부분을 좀 자세히 읽었다.  주수를 다 채우고 나오지 않아서인지 다른 아이들보다 작은 키의 아들이 제일 걱정인데 남들이 툭툭 건드리면 어쩌나, 이런 고민들..ㅠㅠ  엄마다 보니 어쩔수 없다.  그런데다 그런 상황을 아이가 어찌 대처할런지... 지금은 유치원에서 그럭저럭 상황을 받아 넘기는 것 같지만 학교생활에서의 그들만의 서열(?) 느낌은 어떻게 이겨낼지.... 책을 읽었는데도 여전히 걱정이로세.  게다가 내가 자란 그시절과 너무도 다르기도 한데다 여자와 남자의 세계(?)는 또 너무 확연히 다르다보니.... 이 책이 꽤 많은 도움이 됐지만 여전히 걱정이 사라진 건 아니다.   고나마 이 책을 읽으며 좀 더 아이를 이해하고 학교생활에 대한 이해의 폭 또한 넓어진 거 같아 조금은 나아진 듯 하다.  역시 선생님의 현실적인 도움이 제일 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