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릴라 이스마엘
다니엘 퀸 지음, 배미자 옮김 / 평사리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선 나로서는 <고릴라 이스마엘>이 난해한 책이었음을 고백한다.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 자체의 난해함보다는 고릴라 이스마엘과' 나'란 존재가 이끌어 가는, 문제를 거슬러 올라가는 대화술 자체가 쉽게 이해되지 않았다고나 할까... 그렇긴 해도 인간의 생존과 개발이라는 미명 아래 지구 환경과 생태계가 나날이 파괴되어 나가고 점차 황폐화 되어 가는 이 시대에 이를 경고하고 인간의 독주에 제동을 걸만한 책이 나온 것은 반가워할 일이다. 개인적으로 종교쪽과도 무관한지라 '이스마엘'이라는 이름이 지니는 의미를 알지 못한채 출발했는데, 본문 중에 그에 관해 언급이 있고서야 저자가 그 이름을 선택한 의도를 알수 있었다.

저자는 인류가 종말로 치닺고 있는 이유는 인간이 농업으로 한계를 극복하고 세상의 전면으로 나서고 ""세계는 인간을 위해 만들어졌다고""고 생각하면서 진화의 선상에서 벗어났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먹이사슬을 배울 때 가장 윗쪽에 위치해 있는 인간은 자연의 모든 것에서 우선하고 있으며 세계를 통치하고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은 이 행성에서 3백만년 동안 해를 끼치지 않고 살았어. 하지만 '역할 맡은 자들'은 모든것을 불과 5백 세대 만에 붕괴 위기에 처하게 했지.""라는 글에서 보여 지듯이 그렇게 된 것은 생명체의 역사를 놓고 볼 때 그리 긴 것은 아니다.

'역할 맡은 자'의 확장은 카인과 아벨의 신화로 비유되는데 농경인의 문제는 인구를 조절할 줄 아는 것이 아니라 인구에 따라 생산량을 늘이려고만 한다는데 있다는 것이다. 동물의 경우에는 먹이 밀도에 비해 개체수가 증가하면 종족 보존을 위해서라도 생식능력을 조절하여 개체수의 증가를 줄인다는 것을 생물시간에 배웠을 것이다. 그러나 ""역할 맡은 자""에 속하는 농경인은 수렵이나 유목생활을 하는 주위 민족들을 말살하면서까지 경작지를 넓혀갈 뿐이라는 것이다. 이는 ""증가된 인구를 먹이기 위한 모든 식량 생산은 또다른 인구 증가로 답한다.""라는 문장 속에 축약되어 있다 하겠다.

""인간이 사라지면 고릴라에게 희망이 있을까?"" 이 말은 이 책의 초입에 화두로 등장하는 문장으로 세계를 정복해 나가고 있는 인간지상 주의 신화를 꼬집는 말처럼 여겨진다. 어쩌면 정말 인간이 사라지면 이 지구상의 다른 생명체들은 아무 탈없이 그들의 삶을 영위하게 될지도 모른다. 인간이 이미 너무 많은 것을 파괴했을지라도 말이다. 이기문명에 기반을 둔 '역할맡은 자'는 자연에 순응하는 '역할 맡지 않은 자'의 삶의 방식을 배워야만 한다. 우리 인류가 생존하기 위해서는 생명공동체의 일부로서 진화 선상으로 돌아가야 한다. 나만 살고말 지구가 아니지 않은가. 바로 내 자식이, 우리 자손이, 우리 인류가 살아갈 땅을 인간의 소유의식으로 망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5-10-23 2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기 겁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