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을 물리치는 기사가 되는 법 작은거인 14
오카다 준 지음, 김난주 옮김 / 국민서관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과제물을 가지러 학교에 간 두 아이가 용을 물리치는 기사를 만나 겪는 소동을 그린, 판타지와 현실 세계를 적절히 배합해 놓은 동화. 상징적이면서도 은유적인 대화를 통해 우리 마음속에 똬리를 틀고 있는 '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작품이다. 오카다 준은 판타지 동화를 선보이는 일본의 동화작가로, 이 작품에 앞서 <신기한 시간표>, <사토루의 2분>이라는 작품을 읽어본지라 제목부터 흥미로운 이번 작품에서는 어떤 내용을 선보일지 관심이 갔다. 작가는 이 작품에서 내 안에 자리한- 친구 간, 동료 간, 이웃 간에 알게 모르게 품은, 혹은 쌓고 있는- 나쁜 감정을 '용'이라는 가상의 동물로 묘사하고 있다.

 어린이집을 거쳐 학교에서는 같은 반으로, 8년을 함께 친구로 지내 왔던 '나'(야스오)와 유키는 커가면서 주변 여건으로 인해 조금씩 멀어져 서먹한 관계로 지내고 있다. 이것저것 해보고 싶은 꿈 많은 '나'에 비해 꿈이 없는 유키. 길에서 우연히 마주친 둘은 함께 학교 교실로 가는데 그 곳에서 "용을 물리치는 기사"라고 자신을 소개하는 연극배우인 듯한 한 남자를 만나게 된다. 제리가 용을 물리치기 위한 기사가 되기 위해 시작한 일은 슬리퍼 정리해 놓기~. 이처럼 생뚱맞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제리에게 유키는 '사람의 마음을 느끼는 것'과 '용을 물리치는 것'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질문한다.

 두 아이와 제리의 대화를 통해 사람의 마음을 안다는 것과 사악한 용의 실체를 짐작할 수 있다. 가끔 인간관계에 대해 회의를 느낄 때가 있는데 그럴 때면 내 안에 존재하는 사악한, 혹은 편협한 감정들이 불쑥 고개를 쳐들곤 하는지라 작가가 이 작품을 통해 무엇을 말하려는 것인지 알 것 같다. 은유적인 표현이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는 어린 독자를 배려하여 '나'가 제리의 상징적인 말들을 '나'가 직접적인 것으로 풀어서 말하기도 하므로 초등 중학년 아이들 정도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100쪽이 되지 않는, 그리 두껍지 않은 분량으로 '작은 거인'시리즈에 속해 있음) 

  제리의 말이나 행동을 연기로 보며 용이 보인다는 유키의 말을 의심하던 '나'도 마침내 용을 보게 된다. 작품은 어른이 된 15년 후의 '나'를 통해 꿈을 이루어가는 유키와 제리가 교실에서 물리친 용에 대해 이야기하는 형식으로 끝을 맺고 있다. 책을 읽으며 나의 꿈은 무엇이며 내 마음 속에는 얼마나 많은 혹은 어떤 종류의 용들을 자리 잡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그의 또다른 작품 <비를 피할 때는 미끄럼틀 아래서>는 아직 읽어보지 못했는데 좋은 평을 받고 있는 것 같아 일간 접해보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8-08-18 1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은 아이들 책보다 그냥 제가 읽는 책에 몰두해서인지 이런 리뷰를 볼 때마다 아이들에게 미안해집니다. 특히 작은 아이는 책을 별로 접하지 못한 채 벌써 엄마가 책에서 손을 떼서 독서록이다 뭐다 할 일이 많은데 혼자 다 처리하는 눈치예요.
좋은 리뷰 보고 가요.

아영엄마 2008-08-20 04:06   좋아요 0 | URL
책을 별로 접하지 못했다 하더라도 독서록 같은 것을 혼자 해내는 것이 저는 더 대견하게 느껴지는 걸요. 말씀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