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변방을 찾아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2년 5월
평점 :
신영복선생님, 그분의 글을 서울시청 옛 건물속 시장실에서 보았다. '더불어 숲'을 아내가 선물받아 책꽂이에 꽂아두고 있다.
고전을 알고자 사게 된 그분의 책 '강의'에서 시경, 주역 등을 흥미있게 읽었다. 그리고 그분이 감옥에서 20여년 있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서당 선생님 같기도 하고, 붓글씨의 대가인 듯도 하고, 역사가인 듯도 한 선생님.
그분의 전공은 뜻밖에도 경제학이란다. 나는 이 책 '변방을 찾아서'가 얇아서 그리고 장소성을 밝혀준다고 여겨서 출퇴근시 읽으려 집었다.
이틀만에 후루룩 읽어버렸고, 그의 글 속 사유의 깊이와 내면 속의 독백을 음미할 수 있었다.
이 책에 소개된 여덟 장소들은 변방이었고, 또 변방인 이유가 있는 곳들이었지만, 결코 먼 곳이 아닌 가까이에 있어야 할 그런 곳들이란 생각이 드는 곳이다.
변방은 창조의 공간이며, 각성과 결별과 새로운 시각이 있는 곳이라는 필자의 한마디와 고 노무현 대통령 묘소에 새겨진 글귀인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는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입니다.' 라는 글귀를 새겨본다.
허균이 외쳤다는 호민, 그리고 홍명희의 임꺽정, 동학운동의 주자 김개남 장군, 그리고 고 노무현 대통령.
끝없이 추방되고 소외되는 위치에서도 진실의 목소리를 내려는 자는 억압과 학대를 받으나 그 목소리와 핏소리는 역사에 흐르는 것이리라.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619/pimg_7513961731226155.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619/pimg_7513961731226156.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5/0619/pimg_751396173122615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