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유시민, 그는 노무현의 수종처럼 여겨졌다. 고 노무현이 가고 나서, 그는 개털이 된 듯이 보였다. 과거 보건복지부장관으로서의 명성도 사그라지고, 보수정권에 대해서 어찌하지 못한 모습으로 정계에서 은퇴한 듯한 모습이었다. 그는 정치가로서는 실패했다고 스스로 이야기한다. 작가로서의 삶으로 이제 살아가겠노라고.

 

젊은 시절에 읽었던 책을 다시 읽었다던 그의 책, 청춘의 독서를 재미있게 읽은 기억으로 새롭게 나왔다고 하는 책을 선뜻 구매하였다. 그리고 독서모임을 계기로 완독하였다.

그는 55세. 나보다 6살 많은 선배이다. 그가 살아온 시절이랑 내가 살아온 시절이랑 그리 다르지 않다. 순진한 범생이로 살아던 우리들은 평범하게 살 수 없는 시절을 보내왔다.

 

가난한 산동네에서 연탄냄새 맡으며 자랐고, 경제부흥의 급속한 열기를 겪으면서도 한편 최류탄과 화염병을 늘 겪으며 대학을 보냈다. 민주화에 대한 댓가를 혹독하게 치르면서 안팎으로 힘겨운 청춘을 겪으면서도 취업과 결혼과 육아와 삶의 전쟁을 묵묵히 치르면서 여태까지 버텨왔다.

작가는 내가 밟아온 역사의 길 속에 있었던 사건들을 기자처럼 자세히 돋보기로 들여다 보아준다. 그리고 알지 못했던 사실들, 막연히 알았던 사실들을 끄집어내어 헤집어 주고 있다.

 

현대사에 대해서 완전 긍정적이지도, 완전 부정적이지도 않다. 어떤 면에서는 긍정적인 측면으로 보는 시각이 맞다고나 할까. 우리나라의 현대사를 빗댄다면 난민촌에서 병영으로 그리고 광장으로 이어왔다는 표현이 참 와닿았다. 현재의 정치현실을 볼 때, 다시 병영으로 간 것이라 생각하지만, 시민들의 힘은 언제나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것, 그래서 희망을 걸어볼  수 있다는 것을 같이 공감해 보았다. 세월호이후 역사의 시계가 멈춰버린 듯하지만, 아니 뒤로 가는 듯하지만, 오늘을 성실하게 살아온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숨결이 역사를 만들어가고 있다는 것에 같이 호응해보고 싶었다.

 

내 자식들에게 어떤 역사를 물려주어야 할 것인가가 기성세대의 책임인데, 반도가 아닌 섬나라가 되버린 이 나라가 통일이 되어서 반도로 다시 붙게 되길 바라면서 복지와 자유와 평등이 헌법에 명시된 것처럼 제대로 이루어지는 나라를 물려주고 싶다. 과거의 역사는 굳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을 만든 것이며, 오늘은 내일의 역사를 만들어가는 것이기에 책임감을 갖고 살아가야 하지 않겠는가 맘 먹어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