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에 이 책을 잡게 되었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강의, 나무야 나무야, 더불어숲 등 신영복선생님의 여러 책들을 소장했음에도 끝까지 읽어내지 못했었다. 그러나 이번 담론은 특별났다. 일단 김미화씨의 사회로 녹음하여 들려준 팟캐스트 방송이 있었다. 듣기와 병행함으로써 이해를 도왔다.

선생님이 쇠귀체로 쓴 ˝서울˝, ˝처음처럼˝, 상선약수˝ 등의 글들에서 감명을 받기도 해왔다. 작년말 한 시민단체에서의 후원의 밤에 ˝더불어 숲˝ 현판이 경매로 나와 수백만원대에 낙찰되어 기부되기도 했다. 그만큼 인지도가 있으신 분...

박정희대통령 시절에 통혁당사건으로 영창으로 끌려들어가 사형수에서 무기수로 바뀌면서 기약없는 복역을 하다가 20년만에 광복절특사로 사회에 나오셨다고 한다. 그런데 이런 자신의 그 불운한 시기를 대학시절이라고 하시며, 감옥에서 인간학을 배웠다고 하신다. 이 책도 고전에서 배우는 인간관계에 대한 내용으로 강의한 녹취록이다.

1부에선 시경, 초사, 주역, 논어, 맹자, 한비자, 노자, 장자, 한비자 등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사상을 소개하면서 우리 시대에 투영시키셨다.

기계에 대한 추종을 맹목적으로 따라가는 현대시대이지만, 장자에서 들려주는 한 농부의 기계무용론은 귀담아들을 부분이 많다. 이미 선투자에 의해 자본이 투여된 것이기에 비용이 적게 드는 것도 아니란 말과 함께 기계의 마음 때문에 인간이 소외된다는 점은 무시못할 점이라는 것이다.

또한 묵자의 ˝네 이웃을 내 몸처럼 사랑하라˝면서 반전론으로 몸바쳐서 전쟁을 막아내려 한 그들, 겸손을 최고의 미덕으로 따른 이들에 대해서도 감동적이었다.

2부에선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쓸 때의 본인의 상황과 만났던 인생들 이야기이다. 1부에 비해서 스토리가 있어서인지 내겐 더 잘 읽혔고 재미졌다.

물처럼 산다는 말. 상선약수. 그리고 그러한 인생을 살아간 두 작가 박완서, 박경리 선생 이야기도 맘에 다가왔다. 또 샌님같은 지식인으로 대우받고 인정받는게 익숙했던 본인이 어떻게 낮춰지고 무시되고 또 기술을 배워 물건을 만든 것에 대해 욕을 먹고 하면서 두 손이 거칠어졌는지.이야기하는 부분에선 느끼는게 많았다. 그분은 어린아이들과 추억담을 기록했던 ˝청구회의 추억˝을 기록할 때 쯤에는 암울한 감옥생활이었지만 그 기억을 되뇌이면서 잠시의 안식이었음을 고백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누구나 인생의 어둔 터널같은 시기가 있다. 이 시기를 어떤 자세로 맞아서 겪는가에 따라 그 자취가 다르다.  

신영복 선생님의 강의가 그냥 이론이 아닌 실천과 삶을 기반한 것이기에 더욱 호소력이 짙고 우리 맘을 두드리는 북소리가 되는 이유일게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맛난책 먹기 2015-09-07 14: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읽었어...처음 접하는 북플 이런 소통공간이 마음도 뇌도 살찌우겠지?

푸르미원주 2015-09-07 14:49   좋아요 0 | URL
그럴꺼야. 이 어플 꽤 괜찮단다. 애용하구 있어. 종종 댓글 달아주렴. 근데 닉네임이 아닌 아이디로 뜨네 그려. `맛난책먹기` 좋은걸.

book♡향기 2015-09-07 14:2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잘 읽었어요~^^ 굿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