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e Gagnon - Monologue
앙드레 가뇽 (Andre Gagnon) 연주 / 소니뮤직(SonyMusic) / 1997년 10월
평점 :
품절


앙드레가뇽은 뉴에이지 음악가이다.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가장 금기하는 음악 장르가 뉴에이지이다. 이런 말을 하는 나도 무척 조심스럽다. 아마도 반기독교적인 뉴에이지운동이와 같은 말이라서 그런 이미지가 심어졌나보다. 실제로 뉴에이지 음악 중에 애니미즘과 반기독교적인 자연주의 사상이 많이 깔려 있기도 하다.

그렇다고 해서 유독 뉴에이지음악만을 사탄의 음악으로 몰아부치는 것은 너무 이원론적인 생각이지 않을까 싶다. 그렇게 따진다면 하드락이나 락컨롤 그리고 팝, 대중가요, 가곡 (클래식도 예외없이) 등 모든 것이 사탄음악으로 분류되어야 하지 않을까. 찬송가나 헨델의 메시아만 듣는 것이 기독교인의 최선일 것이다. 세상적인 음악을 굳이 듣겠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거듭난 자라면, 영적인 기쁨을 누리는 자라면 누가 권하지 않아도 세상음악에 그다지 매료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원론적인 편견이 때로는 무서울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하고 싶다. 우리가 사는 곳이 천상이 아니기 때문에 무조건 터부시하는 것 보다는 공부하는 차원에서라도 접해보는 것은 어떨까 싶다. 부대끼고 살아야 할 공간이고 문화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앙드레 가뇽-아니 더 크게 뉴에이지 음악을 들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는 기독교인으로서 결론 내리기는 참 어렵다. 오래전부터 우리집에 있는데 좋아하는 음반들 사이에 함께 있다. 들으면서 뉴에이지란 것만 기억하지 않는다면 편안하게 차 한 잔 마시는 내 공간을 메꾸어 주는 음악이다. 정갈하면서도 서정성 깊은 피아노 멜로디-가뇽의 인상처럼 잔잔하다. 그래서 별 넷.

 

 

 


댓글(5)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잉크냄새 2004-09-17 1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종교와 관련된 부분은 항상 조심스러워요. 그래도 하나만 여쭈어볼께요.
기독교적인 시각에서 말하는 세상적인 음악의 기준이 무엇이죠?

진주 2004-09-17 1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말하기 항상 조심스러워요...본의아니게 독선적으로 비춰질까봐서요...
세상의 반대개념이 천상이니까-하나님을 찬양하거나 가스펠(전도,선교)적인 것이 아니면 다 세상적인 것이겠죠? 그러니까 세상적이라는 것은 [사람]이라는 포괄적인 의미가 다 포함된 것이겠지요. <세상적인>이란 말에 어쩌면 부정적인 느낌을 받으셨을지도 모르지만-아니,현재 교회 내에서 세상적인 것을 부정적으로 말하는 사람이 많지만-저는 세상적인 것을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세상은 끌어 안아야할 대상이기 때문이지요. 단지 구별된 뿐이지 배타적인 모습은 기독교인으로서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궁금은 풀리셨는지...)

설박사 2004-10-01 14: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뉴에이지에 대해서 들은 것이 중학교 때였던 것 같습니다. 물론, 듣지 말라는 식의 강의를 들었고요. 조지 윈스턴, 케니 G, 이런 사람들이 뉴에이지라는 것이 좀 충격적이었죠. 노래 제목도 기독교 냄새가 나는데 뭐가 잘못된 것인지 잘 모르겠더라고요.
작년에 고등부 아이들이 이런 질문을 하더군요. "듣기 좋은데 왜 안 되요?" 근데 이 질문은 "술 마시면 기분 좋고 인간 관계도 좋게 할 수 있는데 왜 안되요?" 이 질문이랑 비슷한 것 같습니다. 이거는 사탄의 음악이니까 들으면 사탄된다는 것은 아니고, 나쁜 영향을 주기 쉬운 것 같습니다.
저는 찾아서 듣지는 않고요. 가끔 우연히 이런 음악 들으면 이렇게 생각합니다.
'아... 뿅간다. 뿅가... 뉴에이지는 이래서 안되.. ㅋㅋㅋ'

진주 2004-10-01 1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설박사님, 저는 대학부1학년 때 뉴에이지에 대한 책을 본 것 같아요. 주제가 락음악이었구요. '호텔 켈리포니아'를 비롯해 많은 락뮤직의 실체를 보고 만정이 뚝 떨어졌던 기억이 납니다. 책 끄트머리에 뉴에이지음악에 대해 잠깐 언급한 걸 보고 저 혼자 책을 찾아서 공부했었어요. 당시에는 뉴에이지음악에 대한 많은 자료를 구하지는 못했는데, 요즘처럼 인터넷시대와는 달랐으니까요.....그 때 제임스라스트 악단의 "낙원의 새"에 대한 비판에 충격을 받았지요.

제 결론은 이래요-"뉴에이지건, 클래식이건 (세상)음악 자체에 너무 심취하는 건 옳지 않다." 음악이 우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거죠. 제가 고등학교시절엔 음악에 푹 절어 살았거든요. 나중엔 대학로에서 음악다방 DJ도 했었구요....너무 심취하는 건 옳지 않다고 봐요. 청소년기에는 흔히 음악에 빠지기 쉽잖아요? 뉴에이지음악만을 사탄의 음악이라고 하는 것 보다는 사람을 향한 유행가는 모두 같은 범주라고 생각해요. ^^

설박사 2004-10-02 1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제 생각도 비슷합니다. 무엇이 좋고 나쁜지 스스로 분간해서 가릴 수 있으면 뉴에이지 할아버지가 나와도 별상관이 없을 것 같고요. 그런 명상적 음악에 쉽게 빠져 버려서 헤어나오기 힘든 성향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예 듣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락이나 헤비메탈, 클래식보다는 뉴에이지 음악이 훨씬 중독성이 강한 것은 사실인 것 같고요. ^^
음악다방 DJ까지 하셨다니... 정말 음악을 좋아하시나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