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식 투자의 기술 ㅣ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14
제시 리버모어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10년 8월
평점 :
시대를 초월하는 투기꾼
제시리버모어는 시대를 초월하는 (?) 투기꾼에 꼽히는 사람입니다. 가치투자의 대부로는 벤자민 그레이엄이 꼽힌다면, 투기계에서는 제시리버 모어를 꼽을 수 있지요. 그는 무려 3번의 파산 뒤에도 오뚜기처럼 일어난 이력이 있습니다. 하지만, 마지막 4번째 재기에는 실패하고 아내에게 미안하다는 편지를 남긴 채 권총 자살을 하고 마는데요...
제시 리버모어의 마지막은 우기ya가 앞으로 제 투자인생은 반드시 하방에 대해서 심할 정도로 많이 생각하고 투자하는 가치투자자로의 길을 걷기로 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 날고 긴다는 투기계의 전설도 실패해서 권총으로 자살했으니까요.. 게다가 마지막 유언은 노후자금과 관련한 자금은 반드시 절대로 안전한 곳에 투자를 하라는 유언이었답니다...
하여간, 주식투자의 기술은 이야기 식으로 서술되어있고, 무엇보다 책의 길이가 길지 않아서 손쉽게 읽으실만한 정도의 내용으로 가득차 있습니다. 투기와 투자라는 것이 같은 동전의 앞뒷면처럼 같이 붙어다닌다는 이야기처럼 투자자 입장에서도 배워볼만한 이야기를 리버모어는 도서에서 서술하고 있답니다. 가령, 아래와 같은 내용이지요 .
하지만 이런 투자자들에게는 매우 안타깝게도 매수할 때는 훌륭 한 투자 대상으로 여겨졌던 많은 주식들이 나중에 보면 그 상태가 극적으로 바뀌어버린다. 결국 이런 “투자 주식들이 그야말로 투기적인 주식이 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이런 주식 가운데는 아예 시장에서 퇴출 되버리는 경우도 있다. 처음에 했던 “투자”는 투 자자의 매수 자금과 함께 온데간데 없이 사라져버리고 마는 것이다. 이런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소위 “투자” 라는 말이 지니고 있는 정확한 의미를 깨닫지 못했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영원한 투자 대상으로 여기고 매수한 주식이라 해도 세월이 지나면 이 주식의 이익 창출 능력을 위협하는 새로운 상황이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문 중 -
=> 영원한 투자 대상은 없습니다. 기업이란 으레 위대한 시기를 거쳐 평범한 시기를 맞이하고 이내 쇠락하기 마련이기 때문이지요..
투기자의 최후는 항상 똑같을까?
당대 최고의 트레이더들은 한결같이 냉정한 승부사로 등장해 대성공을 거두고 큰돈을 번다. 시장을 뒤흔들며 유명해지고 더 큰돈 을 벌다가 어느 순간 파산하고 무대에서 사라져 버린다. 사람들은 그가 왜 파산했는지 알려고 하지 않는다. 이미 그때는 그의 이름조차 잊어버린 채 새로운 승부사를 환호한다.
리버모어가 던져주는 교훈은 무엇일까? 냉정하게 승부하라는것, 아니면 탐욕에 상처받지 말라는 것? 아마도 월스트리트에 새로운 것은 없다는 것 아닐까? “그럴 수밖에 없다. 투기라는 게 아주 오래 전부터 존재했으니 말이다. 오늘 주식시장에서 무슨 일이 벌 어지든 이전에 똑같은 일이 일어났던 적이 있으며 앞으로 또 다시 되풀이될 것이다.” 더 이상 무슨 교훈이 필요하겠는가? - 본문 중 -
책의 마무리는 투기꾼들의 마지막은 마치 정해져 있는 것처럼 마무리 짓고 있답니다. 섣부르게 일반화 할 수는 없겠지만, 상대적으로 망할 확률이 높은 것도 사실인 것 같습니다...
여하간, 과거의 투자자 V.S. 투기꾼이 그레이엄과 리버모어 였다면, 최근에 주목받는 투자자 V.S 투기꾼은 워런 버핏과 조지 소로스 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행스럽게도, 소로스와 버핏 모두 현재도 건재하답니다 :) 도서로 버핏 V.S 소로스라는 책까지 있을 정도니까요 ㅎㅎ 저는 예전에 읽었던 책이 워런버핏 V.S. 소로스인 줄 알고 관련된 내용을 말씀드리려고 했는데, 제가 읽었던 책은 비슷한 제목의 다른 도서였더군요 ㅎㅎ
시간이 닿는대로 워런버핏 V.S 소로스 도서도 한 번 읽어봐야 겠습니다. ~
그럼, 오늘도 행복한 하루 ~ 즐거운 독서 생활 되세요 ~
투자계의 라이벌 워런버핏 처럼 생각하고 소로스처럼 움직여라
주식투자의 기술 기억에 남는 문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