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이론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3
로버트 레아 지음, 박정태 옮김 / 굿모닝북스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가 조작에 대하여

매일매일 변동하는 평균주가는 주가 조작 세력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2차적인 주가 흐름 역시 어느 정도 한계는 있지만 주가 조작 세력이 영향을에 의해 주가가줄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주가 흐름은 어떤 주가조작 세력도 절대 움직일 수 없다.


다우지수의 다우이론

지금도 미국 시장에서 대표 지수로 이야기되는 다우지수의 이론적 토대가 된 고전입니다. 대표 종목들의 평균 주가를 통해서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약세장 혹은 강세장을 예상하는 것이죠. 지금이야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당시에는 매우 혁신적인 방식이었다고 합니다. 심지어 월 배당을 주는 지수이니, 지금도 한 번 볼만한 지수입니다.  


가격이 말해주는 것

가격이 말해주는 것은 다른 것이 아닙니다. 그 당시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다수의 거래자들이 생각하는 합의점이지요. 그 값이 옳다. 합리적이다라는 의미와는 별개입니다. 우리가 경제학에서 이야기하는 적정가격을 찾아가는 과정인 것이지요. 


가치투자자가 약세장에서 가져야 할 마음가짐

자신은 기업의 내재가치와 수익성에 기초해서 주식을 매수한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의 정신 자세에 대해 해밀턴은 이렇게 썼다. “이런 투자자 역시 돈을 주고 산 주식을 잊어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틀림없이 매일 아침 신문에 난 주식시세표를 읽어야만 한다고 생각할 것이 다. 그런데 매수한 주식이 몇 퍼센트 떨어지게 되면, 자신은 손실을 감수할 것이며 나름대로 교훈을 얻게 됐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교훈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런 투자자가 잊고 있는 것은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사실이 아니라 처음에 왜 그 주식을 매수했는가 하는 점이다.”


투자의 본질은 결국, 기업의 가치라는 것에 수렴합니다. 하지만, 주식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성격을 가지고 있지요. 사람의 심리가 개입하면, 투자라는 것은 본질에서 벗어나기 쉽습니다. 특히, 강세장과 약세장에서는 그렇지요.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 깊었던 문구 중 하나는 내가 생각한 가치보다 기업의 가격이 떨어지면, '난 장기투자자야'하면서 계좌를 잊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주식을 처음에 왜 샀는지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 입니다. 가치와 가격의 괴리 해소가 상당기간 걸린 다는 것이지, 그냥 무조건적으로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장기투자가 아니니까요. 


투자의 고전으로 꼽히는 다우 이론 이었습니다. 투자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읽어보실만하답니다. 

주식시장에서 아무도 투기를 하지 않았다면 지금 미국 대륙을 횡단하 고 있는 철도가 건설되지도 못했을 것이며, 우리는 지금 전기나 전화, 라디오, 항공기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라디오 제조회사나 항공기 제조회사의 주식을 샀다가 손실을 보았던, 떠올리기 싫은 기억을 갖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록 주가가 곤두박질쳐 버린 기업의 주식을 매수했다 하더라도 여기에 들어간 자금은 직접적 으로든 간접적으로든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주식 투기란 그 열기가 광풍처럼 몰아칠 때조차도 그 의미가 있다. 왜냐하면 주가가 미친 듯이 치고 올라갈 때는 새로운 모험 사업에 필요한 대규모 자금을 모으기가 쉬워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모아진 자본 덕분에 지금도 번창하고 있는 많은 기업들이 성장할 수 있었다.

다우는 1901년에 투기를 주제로 쓴 한 칼럼에서 이렇게 밝혔다. "투자 규모가 크건 작건 주식을 거래하면서 일주일에 50%의 투자 수익률을 올리려고 하지 않고 연간 12%의 수익률을 거두겠다는 생각을 갖는 다면 장기적으로 훨씬 더 좋은 성과를 올릴 것이다. 사업을 하는 사람 이라면 누구나 이런 사실을 다 알고 있다. 그러나 가게나 공장을 운영 하거나 부동산 사업을 하면서 아주 신중하다는 평판을 얻고 있는 사람들조차 주식에 투자하게 되면 전혀 다른 생각을 갖게 된다. 그 어떤 것도 진실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자신은 기업의 내재가치와 수익성에 기초해서 주식을 매수한다고 생각하는 투자자들의 정신 자세에 대해 해밀턴은 이렇게 썼다. "이런 투자자 역시 돈을 주고 산 주식을 잊어버릴 수는 없을 것이다. 틀림없이 매일 아침 신문에 난 주식시세표를 읽어야만 한다고 생각할 것이 다. 그런데 매수한 주식이 몇 퍼센트 떨어지게 되면, 자신은 손실을 감수할 것이며 나름대로 교훈을 얻게 됐다고 말한다. 그러나 이는 교훈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생각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런 투자자가 잊고 있는 것은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는 사실이 아니라 처음에 왜 그 주식을 매수했는가 하는 점이다."

"시장이 오랫동안 매도 공세에 시달리게 되면......기업 내용이 뛰어난 우량주가 부실한 주식보다 오히려 더 취약해질 때가 있다는 사실을 쉽게 잊어버린다. 우량주 시장은 늘 열려있는 반면, 부실주 시장은 이름뿐인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급히 자금이 필요한 투자자 들은 일단 가격이 형성된 우량주를 팔게 되는 것이다. 부실주는 갖고 있도 아예 가격 형성이 안되기 때문이다." (1921년 3월 30일) 이런 경우는 우량주를 대량으로 보유한 소위 "큰손이 대출금 상환 등에 필 요해 주식을 팔 때 벌어진다. 물론 "큰손‘ 역시 잡동사니 주식들을 처분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겠지만 이런 주식은 거래가 거의 없다 보니 팔고 싶어도 못파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바탕은 늘 고전이었다. 어느 분야에서든 비약이란 있을 수 없다. 투자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지식은 쌓여가는 것이다. 그 밑바닥에서 튼튼히 받쳐주는 게 바로 고전이다. 다우 이론의 진정한 의미는 그것이 고전이고,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검증 받았다는 점이다.
국내에 나와있는 투자 관련 서적들 가운데 고전의 반열에 들 수 있는 책들은 그리 많지 않다. 거의가 투자 서적의 최후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대박 종목을 고르는 방법" 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