콰이어트 Quiet - 시끄러운 세상에서 조용히 세상을 움직이는 힘
수전 케인 지음, 김우열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외향성과 내향성

사람들을 만나고, 사교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편한 사람들을 외향적인 사람, 많은 관계보다는 깊은 관계를 추구하고 화려한 모임보다는 독서나 혼자 영화보는 등 사색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을 내향적인 사람이라고 합니다. 사회가 발달하면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을 만나는 일이 많아지면서, 인내,절제 자기 미덕 등에 가치를 두기 보다는 쉽고 빠르게 사람들을 만나고 일을 성사시킬 수 있는 외향적인 특징에 가치를 두기 시작했습니다. 

우리의 학창시절부터 인기있는 학생은 마치 당연한 것처럼 외향적인 사람이었으며, 마치 외향적인 사람이 되어야만 하는 것처럼 우리는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 도서, '콰이어트' 외향적 가치뿐 아니라 내향적 가치가 어떻게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지, 내향적인 사람들이 어떤 강점을 지니고, 강점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 도서랍니다. 


내향성의 가치

내향성의 가치는 탐구하고 배려하며 1:1 관계에서 강점을 나타냅니다. 어느순간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가 중요한 세상이 되면서, 이러한 것들의 가치가 폄훼되고는 하지만, 여전히 내면적인 가치는 중요한 가치로 작용합니다. 


내향성과 사회의 가치

세상의 모든 것이 그렇듯 양면성을 띄고 있습니다. 모든 면에서 좋기만 한 일은 없지요. 외향성과 내향성이라는 성격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어떤 분야에서는 내향성이 더 좋은 가치를 끼치며 어떤 분야에서는 외향성이 더 어울리는 성격이니까요. 마치 내향성은 외향성보다 열등하다는 생각을 가져서는 안되겠습니다. 

외향적인 사람들로만 사회가 구성되어 있다면, 사회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성공한 CEO의 40%는 자신의 성격을 '내향적'으로 평가했습니다. 빌게이츠, 워런 버핏, 버냉키 전 의장 등은 대표적인 내향적 성격을 지닌 리더들이죠. 콰이어트는 이 내향적인 성격의 가치를 재조명했다는데에 의미가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행복한 독서,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

내향적인 사람이라고 반드시 수줍음을 많이 타지도 않는다. 수줍음은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거나 창피를 당할까봐 걱정하는 것인데, 내향성은 자극이 과하지 않은 환경을 좋아하는 성향이다. 수줍음은 본질적으로 고통스럽지만, 내향성은 그렇지 않다. 사람들이 둘을 혼동하는 한 가지 이유는 때때로 둘이 겹치기 때문이다. 심리학자들은 어느정도나 겹치는지를 놓고 논쟁한다. 어떤 심리학자는 두 가지 성향을 수직선과 수평선에 놓고서 내향성 외향성을 수평선으로 삼고 불안 안정을 수직선으로 삼아 설명하기도 한다. 이 모형으로는 각 사분면에 해당하는 네 가지 성격 유형이 나온다. 차분하고 외향적인 사람, 걱정 많고(충동적이고) 외향적인 사람, 차분하고 내향적인 사람, 걱정 많고 내향적인 사람, 다시 말해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처럼 과장된 성격이지만 무대공포증에 마비가 되어버리는 수줍음 많은 외향인도 있다.

미국인들은 이제 이웃이 아니라 낯선 이들과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주민‘은 ‘직원‘ 으로 바뀌었고, 같은 주민으로서 혹은 가족으로서 인연이 전혀 없는 사람들에게 좋은 인상을 주는 방법을 찾아내야 했다.역사가 롤랜드 마천드 Roland Marchand는 말한다. "누구는 승진을 하는데 누구는 따돌림 당해야 하는 까닭을 이제는 다년간 형성된 편애나 케케 묵은 집안싸움으로 설명하기 어려워졌다. 점점 더 모르는 타인과 사업 하고 관계하게 되는 시대에, 사람들은 첫인상을 비롯한 모든 것이 중대한 차이를 만들지 모른다고 생각할 수 있다." 미국인들은 이러한 압박에 반응하여 자기 회사의 최신 장치뿐 아니라 자기 자신까지 팔 수 있는 판매원이 되려고 노력했다.
인격에서 성격으로 변하는 과정을 살펴볼 가장 강력한 렌즈는 데일카네기가 눈에 띄게 활약한 ‘자기계발 의 전통이다.

이 수수께끼 같은 현상에는 한 가지 흥미로운 단서가 있었다. 같은 회사에서 일한 프로그래머들은 같이 일하지 않았는데도 비슷비슷한 결과를 냈다. 이것은 최고의 성과를 낸 프로그래머들 중에 사생활, 개인 공간, 물리적 환경을 통제할 자유, 방해받지 않을 권리를 가장 많이 주는 회사에서 일한 사람이 압도적으로 많았기 때문이다. 최고의 성과 를 낸 사람 중 62퍼센트가 업무 공간에서 사생활이 어느 정도 보장된다고 한 반면, 최악의 성과를 낸 사람 중에는 고작 19퍼센트만이 이렇 게 답했다. 최악의 성과를 낸 사람 중에는 78퍼센트가, 최고의 성과를 낸 사람 중에는 고작 38퍼센트만이 주변 사람들이 불필요하게 방해한 경우가 자주 있었다고 말했다.

케이건이 외친다. 아닙니다! 어떤 행동이든 한 가지 이상의 원인이 있어요. 그걸 절대로 잊으면 안 됩니다! 발동이 느린 아이는 물론 통계적으로 고 반응성이기 쉽지만, 처음 3년 반을 어떻게 보냈느냐에 따라서 그렇게 될 수도 있어요. 작가나 저널리스트는 얘기할 때 일대일 관계를 찾으려고 하죠. 하나의 행동에 하나의 원인, 하지만 발동이 느린 것이나, 수줍음을 타는 것이나, 충동적인 것 등의 행동에는 원인이 여러 가지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알아두어야 합니다."

이것은 모순되는 얘기처럼 들리지만, 그렇지 않다. 슈워츠 박사의연구가 암시하듯 자유의지는 우리를 상당히 멀리 데리고 갈 수는 있어도, 유전적 한계를 넘어서까지 무한대로 멀리 데려가주지는 못한다. 별 게이츠가 아무리 사교기술을 갈고 닦는다고 해도 빌 클린턴이 될 수는 없고, 빌 클린턴이 혼자 컴퓨터를 아무리 많이 한다고 해도 빌 게 이츠가 될 수는 없다.
이것을 ‘고무줄 이론 이라고 해도 좋겠다. 우리는 늘어져 있는 고무줄이다. 탄성도 있고 늘어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어느 정도까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