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에 팽배한 투자 심리를 읽으면 미래 주식시장의 향방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대가들은 전환점을 알기 위해서 투자 심리의 극단을 살펴본다. 시장의 고점이나 저점이 가까웠음을 알려주는가장 신뢰할 만한 신호는 투자자들의 낙관론이나 비관론, 대중들의 관심 혹은 무관심의 극단을 살피는 것이다. 지배적인 투자 심리를 측정하기 위해 대가들은 주관적 느낌과 객관적 척도를 둘 다 활용한다

▶ 이익성장를 모멘텀(Profit growth momentum): 기업들의 이익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성장하는 기업들도 드물어진다. 따라서 평균 이상으로 성장하는 기업일수록 투자자의 인기를 얻는다. 그 결과 성장주가 가치주를 능가한다. 반대로 기업들의 이익이 증가하면 성장은 당연한 것이되어 가치주가 인기를 얻게 된다.

▶ 장기 금리 동향: 성장주가 배당금을 주는 경우는 드물며, 장기에 걸쳐 주가를 끌어올림으로써 투자자에게 보상한다. 따라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장기 채권이나 마찬가지다. 반면 가치주는 높은 배당금을 받고 단기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단기 채권과 유사하다. 이것이 암시하는 바는, 금리가 하락하는 환경에서 장기 채권이 단기 채권을 능가하는 한 성장주가 가치주를 능가한다는 점이다. 금리가 상승하는환경에서는 정반대다.

▶ 수익률 곡선 스프레드: 수익률 곡선이 가팔라지면 대개 성장기업보다 부채가 많은 가치기업은 자금 조달이 쉬워진다. 대출을 해주면 은행의 수익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치기업의 실적이 좋아지고 주가도 성장기업을 능가하게 된다. 수익률 곡선이 편평해지면 가치기업의 자금 조달이 성장기업보다 힘들어지고, 성장기업이 가치기업을 능가하게 된다.

두 번째 실수: 상승주를 팔았다가 더 낮은 가격에 되산다.

수많은 투자자들이 나중에 더 싼 가격에 되살 생각으로 상승주를 파는 방법을 동원해 조금이라도 더 이익을 쥐어 짜내려고 한다. 그런데 이런 방법이 실은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 사람은 거의 없다. 탁월한 주식을 상승장 이후에 팔았다가 가격이 떨어지면 되사서 또 한 번 상승세를 타보려는 방법은 복잡해 보이지도 않고 이론적으로는 충분히 실현 가능해 보인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높게 팔고 낮게 되사는 방법,
때문에 투자자는 된통 혼이 나거나, 해당 주식과는 영원히 이별할 가능성이 훨씬 크다. 이 전략의 문제점은 두 가지 투기성 도박이 모두 맞아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시장이 어떻게 될까 봐 매력적인 주식 매수를 뒤로 미루는 행위는 수년이 지나면 큰 손해라는 걸 알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을 포함한 다른 모두가 현재 알려진 바에 의하면, 그저 짐작일 뿐인 상대적으로 약한 힘 때문에, 투자자 자신은 긍정적이라고 알고 있는 강력한 영향을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필립 피셔(Fisher, 1996)

뛰어난 기업에 투자해 주가가 두 배 되었다고 자동으로 주식을 팔아버리지 않는다. 오히려 "수익 실현해서 망한 경우는 없다" 식의 통념을 비웃는다. 대신 "상승주는 달리해 놔둬라"와 "차익 실현은 주저해도 좋다", "상승주는 너무 일찍 파는 것보다는 너무 늦게 파는 게 낫다" 등의 격언들은 수용한다.
원금을 회복하려는 희망을 품고, 손해를 보고 있는 주식을 계속해서 들고 있는 행태가 투자의 세계에서 아마 가장 치명적인 실수라는게 대가들의 말이다. 형편없는 경영으로 현금흐름이 좋지 못하고 경영진의 신뢰도도 떨어지는 기업은 효율적인 시장이라면 사정없이 공격당할 것이고 주가배수가 높을 이유도 없다. 대가들은 신뢰를 잃은 기업의 주식은 곧바로 처분한다. 손실이 아무리 커도 그렇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