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무엇이 역사를 결정하는가?

빅 히스토리로 유명한 총,균,쇠 입니다. 무엇이 인류의 역사를 변화시키고 이끌었는 가에 대해 다룬 도서입니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이후, 제국주의를 옹호했던 사람들은 인류의 역사 차이는 종의 우월성에 근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힘이 있는 민족이 힘이 없는 민족을 지배하는 것은 유전적 우월성에 그 철학적 근거를 두고 있다고 보았죠.


이제 인류의 역사에서 각 민족별로 차이가 나는 것은 '그 당시 특정짓기 힘든 우연의 산물들로 이어진 것이다' 정도로 변화한 것 같습니다. 대표적으로 서양권보다 몇 천년 전 부터 문명이 앞서있던 아시아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난 것이 아니라 왜 서구 지역에서 산업혁명이 일어났는가?에 대한 대답입니다.


그것은 자연환경이라는 우연적 요소에 의한 것이었습니다. 일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에 서양권의 환경은 동양권보다 더 척박했습니다. 자연스럽게 새로운 기술 등에 더 개방적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또, 금이 풍족했던 남미와 달리 금이 없었기에 모든 금속을 금으로 바꾸려는 연금술도 발전한 것이죠. 


또, 역사의 대부분을 통일된 중앙집권체제를 유지해왔던 중국과 달리 중앙화된 집권체계가 없기 때문에 콜롬버스와 같은 대탐험가들을 '각 국가별로 마음대로' 지원할 수 있었
습니다. 다른말로는 충분히 지금의 영토로도 살만했던 아시아권과는 달리 지금의 영토에서는 살만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양의 세력이 외부로 팽창했던 것이죠.


비슷한 맥락으로 이렇게 보나 저렇게 보나 축복받은 아프리카 대륙에서는 그닥 문명화된 발전이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원인과 결과

원인과 결과가 명백하게 특정지어지는 과학 교과서와 달리 현실의 세계에서는 인과관계를 설명한다는 것은 쉬운일이 아닙니다. 그것이 듣기에는 너무나 당연하게 보인다고 하더라도 말이죠. 하나의 역사서를 보는 기분으로 보시기에 추천드립니다. 물론, 가볍게 읽기에는 좀 무게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출처: https://pjw1307.tistory.com/620 [우기ya의 투자블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