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대한 가치투자자 캐피탈 그룹 ㅣ 굿모닝북스 투자의 고전 9
찰스 D. 엘리스 지음, 김홍식 옮김 / 굿모닝북스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캐피탈 그룹 ?
이 도서는 여타 다른 투자도서들과 같이 성공한 투자자의 일대기 혹은 연대기를 기록하는 것이 아닌, 캐피탈 그룹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캐피탈 그룹은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우리나라에서도 가치투자로 많은 우량주들을 보유하고 있는 자산운용 명가이지요.
캐피탈 그룹이 여타 다른 그룹과 차별화되는 점은 스타매니저를 양성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운용사들이 스타매니저를 전면에 내세우고 육성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입니다. 스타펀드매니저가 있어야 자금 모집도 쉽고 고객을 설득하기도 쉬울텐데요. 저 역시 펀드 가입시, 어떤 펀니매저가 운용하는지는 주요 고려사항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캐피탈그룹은 그렇게 될 시 기업 문화가 소수에게 너무나 의존적이게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합니다. 소수의 몇 명에게 의존적인 그룹이 된다는 것은 위대한 기업이 그저그런 기업이 되게되는 첫 걸음이 될 수 있지요. 캐피탈 그룹은 그런 일을 없애기 위해 스타매니저를 양성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캐피탈 그룹은 독자적인 문화를 세우고 원칙에 따라 했기에 소수의 유능한 자산운용사로 남을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인재 채용까지 오랜 시간을 들이고 많은 면접 절차를 거치는 등 까다롭게 인재를 선발합니다. 이는 자산운용사의 본질이 사람이기 때문이지요. 이는 본문서도 지적하고 있습니다.
최근 50년 사이 수백 개에 달하는 자산운용회사들이 설립됐다. 전체적으로 볼 때, 전문가들을 채용하는 이들의 방식에서도 데이비드 오길비(DavidOgilvy)가 경고한 섬뜩한 논리가 여지없이 드러난다. ˝거인만이 거인을 채용한다."
아마존이나 알리바바 같이 성공한 기업들의 이야기만을 보아왔었는데, 이번 기회에 자산운용사에 대한 이야기를 보아서 흥미로웠습니다. 물론, 제가 그동안 읽어왔던 투자자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자산 운용사에 대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촛점이 맞춰진 부분은 다소 다릅니다. 그럼에도 읽는동안 재미있게 보았답니다. 마젤란 펀드로 유명한 피델리티 이야기도 기회가 닿는대로 꼭 보고 싶더군요. 도서에서도 지적했듯이 유능한 성과를 내는 것은 유능한 인재이지만, 인재가 유능해지는 것은 기업 문화나 기타 토양이 뒷받침될때의 이야기입니다. 투자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또, 사명이라는 것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사명. 그리고 비전
성공하는 조직은 한결같이 명시적으로는 암묵적으로든 기본 사명을 같고 있다. 경영진의 핵심 과제는 이 사명을 명확히 하고, 어떻게 이 사명을 달성할것인지 그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장 이상적인 방식은, 조직의 기본 사명을 달성하려면 어떤 전략이 옳은가를 판단하는 자체적인 ˝지평 모델(horizonmodel)‘을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조직의 모든 전략과 구조를 하나씩 논리적으로 도출하는 것이다.
사람은 무목적을 가지고 태어날 수 있지만, 기업은 다릅니다. 무언가 사회가 요구하는 무언가를 해결하기 위해서 탄생하는게 기업이기 때문이죠. 한 사람이 이루고자 하는 것은 꿈이되지만, 다수가 모이면 그것은 비전이 됩니다. 우리가 말하는 성공한 기업들은 대개 이 사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명이 구성원의 마음을 울리때에 단순한 돈벌이에 넘어 구성원이 그 사명에 헌신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죠.
모든 운용사의 사명은 무엇일까요? 고객에게 만족할만한 운용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의 자산을 불리는 것일겁니다..
출처: https://pjw1307.tistory.com/607 [우기ya의 투자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