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생이 온다 -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임홍택 지음 / 웨일북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배달앱은 분명 간편성도 있긴 하지만, 단순히 그것 때문에 배달앱을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배달앱의 가장 큰 특징은 후기를 남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화로 주문을 하면 서비스가 엉망인 경우가 많았죠. 쿠폰을 빼먹는 경우도 많고요. 그래서 이제는 꼭 후기를 남깁니다. 소비자인 우리의 피드백이 솔직히 반영된다는 것이 앱을 통한 주문의 이유입니다."

P&G의 브랜드 구축 최고 매니저인 마크 프리차드는 인터뷰를 통해 "결국 미래의 기업은 마케팅이 아니라 브래드 구축의 시대로 회귀한다"라고 말했다. 또, "진실된 것, 즉 인간에 대한 인사이트에 기반해서 사람들이 진정으로 관심을 갖는 곳에 관심을 기울이라. 그리고 연관성 있는 대화 속으로 뛰어들라"라고 조언했다.

물론 기본적인 조사에서 소비자들의 아이디어를 얻고, 특정산업에 대한 인식을 얻는 것에는 도움을 받는다. 그러나 실제로 소비자가 제품과 서비스를 어떻게 사용하며 무슨 생각을 하고 어떤 느낌을 갖는지는 파악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요즘과 같이 복잡한 사회에서 소비자들은 자기가 원하는 게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고, 안다고 해도 직접적인 언어나 구체적인 척도로 표현하지 못 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세대들이 더 이상 고객센터로 전화하지 않고, 홈페이지에도 적극적으로 글을 남기지 않는다는 것이 그들에게 의견이나 불만이 없다는 증거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앞으로는 점차 듣기 힘들어진 90년대생들의 의견을 어떻게 직간접적인 참여
로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그들의 성향과 감성에 맞는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해낼 수 있는지에 기업들의 성패가 달려 있다.

우리가 받은 사회의 혜택과 따스한 호의는 반드시 사회를 향해, 모두를 향해 돌려주고 나누기 위해서 우리는 오늘의 아픔을 내일의 땀과 꿈으로 넘어선다.

내가 가는 길에 확신이 들지 않을 때마다 되뇌던 문장이다.
우리의 삶은 같은 길을 돌고 도는 원형과 같이 보이지만, 실상은
조금씩 위로 올라가는 나선형의 모양을 취하고 있다고 믿는다.
기성세대가 되면서 느끼는 진리는 이 세상 속에서 나의 힘 하나
로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이다. 나는 기존 세대의 호의와 사회적 혜택을 통해 지금까지 자라왔다고 생각하고,
다음 세대가 더 나은 세상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믿는다. 그들에게도 그러 믿음을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