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떠났던 날은 5월 29일이었다.
일요일 아침, 그와 만나기로 약속을 한 터라 서둘러 머리를 감고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있을 때였다. 함께 만나기로 했던 대표님의 전화, 그의 부음을 듣고 다시 옷을 갈아입었다.
장례식장으로 달려간 우리는 텅 빈 빈소에서 넋을 잃고 앉아계시던 아버님을 만났다.
자신의 품에서 숨진 아들 얘기를 들려주는 아버님 앞에서 흐르는 눈물을 훔치고 입술을 깨물었다.
평생 아팠던 자신으로 인해 가족들이 겪어야 했던 경제적 어려움을 힘들어했던 고인을 생각하며 그를 만나 함께 활동했던 이들과 장례위원회를 구성하였고, 그와 인연을 맺은 분들에게 십시일반 그의 장례를 함께 치르자고 부탁했다.
그저 한번 만났을 뿐인 짧은 인연을 소중하게 간직한 한 활동가는 장례비라도 보탤 수 있어 다행이라고 했지만, 자신이 속한 단체의 활동가들과 이사들 이름까지 줄줄이 올렸던 한 유명인사는 장례가 끝나고 난 후에도 장례위원 분담금을 납부하지 않았다. 독촉전화를 했을 때, 그는 그가 낸 조의금으로 퉁치자는 기가 막힌 소리를 했다. 끝까지 그는 장례위원 분담금을 내지 않았다.
가끔씩 그가 떠났던 날이, 빈소의 풍경이, 출상하던 날 아침이 떠오른다.
빈소에서 눈물을 짓다가 야유회 온 모양 자갈치로 회먹으러 가던 어떤 단체 회원들-부산에 왔으니 자갈치에 가서 회는 꼭 먹어야 한다며, 빈소에서 술 취해 어설픈 부산 사투리를 흉내내며 깔깔거리던- 미국 대학원 진학을 위해 서울의 한 단체에서 인턴을 하고 있다던 사람도 있었다. 자신을 이용했던 사람들이라며 다시는 보고 싶지도, 함께 뭔가를 도모하고 싶지도 않다고 했던 사람들도 찾아와 조문하고 언론앞에서 그와의 막역한 친분 운운했었다.
그의 빈소를 지키다 너무 속이 상해서 토성동 길바닥에 주저앉아 서럽게 울었다.
그가 떠나고 10년. 어제 10주기 추모제가 열렸다.
그리고 그를 기억하며 '김형률을 생각하는 사람들' 이라는 작은 모임을 만들었던 몇 몇 사람들은 수년간 조금씩 모았던 회비로 추모식수와 표지석을 세웠다. 그를 잊지 않고 먼 길 오신 분들에게 따뜻한 밥 한끼를, 그를 대신해 대접했다. 그저 이렇게라도 그를 위해, 그의 부모님을 위해 하고 싶었다.
가끔씩 그가 생각나는 날이면 들여다 볼 사진 한 장도 생겼다.
'삶은 계속되어야 한다'고 외치던 김형률, 그가 소망하던 특별법은 언제쯤이면 제정될 수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