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찍는 사진 보다 함부로 찍지 않는 사진을 먼저 얘기하는 사람.
달팽이 사진골방을 운영하는, 전 한겨레신문 사진기자 임종진씨가 지난 10년 동안 찍은 사진들을 모아 '천만 개의 사람꽃'이란 제목으로 사진전을 엽니다.
이번 사진전은 부산민주공원 잡은펼쳐보임방(기획전시실)에서 5월 12일(토)부터 6월 3일(일)까지 열립니다. 가족들과 학생들과 함께 찾아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보도자료에 수록되었던 사진 몇 점을 살짝 올려두고 갑니다.
사진전에서 뵐께요.^^
천만 개의 사람꽃
반띠에이뿌리웁 학교 / 달팽이사진관 / 작은 우주, 어린이
반티에이뿌리웁 학교

내일 아침이면 정든 학교를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야 하는 날. 이름 아침 졸업식을 치른 학생들이 마지막 하루인 오늘, 팀을 나누어 체육대회를 열었습니다. 이어달리기 마지막 주자가 바통을 대신 하는 붉은 꽃을 입에 물고 마악 결승점을 향해 달려가는 중입니다. 꽃바통을 놓치면 큰일이지요. 그래서 주자들 모두 입을 앙 다물고 달려갑니다. 2011. 12. 반티에이뿌리웁. 캄보디아

처음 학교에 입학하던 날, 소피아는 잔뜩 긴장한 얼굴로 내내 말이 없었습니다. 친구들과도 조용히 대화를 나눌 뿐 언제나 묵묵히 그리고 열심히 수업을 듣기만 했었지요. 이후 1년 과정의 재봉 교육을 모두 마친 소피아는 환하게 웃고 있었습니다.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일이 생겼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원낙 솜씨가 좋은 탓에 학교의 재봉프로덕션에 취직도 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소피아 스스로 원래 가지고 있는 밝은 얼굴을 되찾은 것이기도 하지요. 2011. 1. 반티에이뿌리웁. 캄보디아
달팽이 사진관

하루 2백여 대의 트럭이 매립장에 쓰레기를 풀어놓습니다. 도시에서 버려진 온갖 쓰레기들을 종류별로 분류해서 나누어 정리하는 것이 이들의 몫입니다. 혹시나 되팔아도 될만한 물건이 있으면 먼저 챙기는 것이 임자인 탓에 나름 몸싸움도 치열합니다. 트럭이 들어오면 어른과 아이 할 것 없이 아주 잠깐 동안은 그렇게 다툼이 벌어지기도 합니다. 2006. 7. 스떵멘쩌이 쓰레기매립장. 캄보디아

점심을 먹고 나면 한낮의 더위를 피해 아이들이 낮잠을 잡니다. 워낙 어린 꼬맹이들인지라 깨어있을 때는 온통 정신이 없지요. 아무데나 오줌도 깔기고 웃다가 울다가 아주 난리입니다. 이 마을에 살면서 탁아소에 보모로 오는 어머니들은 아이들 낮잠 시간에도 파리를 쫓느라 가만히 쉬지를 않습니다. 다 낡아 구멍이 난 모기장 틈새로 곤히 잠든 아이들의 얼굴이 살짝 보였습니다. 2011. 12. 얼롱깡안 언동마을 탁아소. 캄보디아
작은 우주, 어린이

소수민족인 쿠이족 마을 학교에서 줄넘기놀이에 빠진 아이들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있습니다. 우리네 풍경과 다를 바 없는 아이들의 놀이에 덩달아 저도 자리를 떠나지 못했지요. 아이들이 공중으로 뜰 때마다 화들짝 놀란 그림자는 제 주인의 몸이 어디 갔는지 정신을 못차렸습니다. 아이들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얼굴 가득 웃음꽃을 피웠습니다. 2008. 5. 스레이프레앙 마을. 프레아비히르 주. 캄보디아

선생님의 재미난 수업에 아이들이 신이 났습니다. 박수도 치고 얼굴 가득 미소도 가득합니다. 가난한 시골마을인 탓에 나뭇가지로 지은 낡고 허름한 교실이지만 문제될 것은 전혀 없습니다. 이 나라의 오늘과 미래를 향한 아이들의 속삭임이 더없이 아름답기만 합니다. 2008. 11. 깐달 주. 캄보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