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션 영화, 전쟁 영화 등의 장르에 국한하고 미스터리 소설이나 스릴러, 서스펜스 소설에 국한해서 이야기 해 보자면 '고전'이라 칭할 만한 시대의 작품과 현대물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일까. 아마도 '속도감' 아닐까?
현대물에 익숙한 관객의 입장에서 보자면 불멸의 고전이라 불리우는 영화들도 지루하기 짝이 없게 보일 수도 있다. 4~50년대 최고의 대중영화로 인기를 끌던 존 웨인이 등장하는 서부 영화들은 도데체 총싸움은 언제 할건지, 서설이 길기도 하다. '하이눈'의 게리 쿠퍼도, '셰인'의 알란 라드도 총을 들고 있는 시간은 많지 않다. 그러나 스파게티 웨스턴의 시대를 활짝 열어젖힌 세르지오 레오네의 영화를 보라. 클린트 이스트우드는 등장부터 멋진 권총 솜씨를 뽐낸다. <석양의 무법자>는 첫 장면 부터 흥미진진하다.
가장 극적으로 내게 '현대'와 '고전'의 차이를 명징하게 보여주었던 영화는 <코만도>였다. 중학생 시절, 바글거리는 극장에 자리가 없어 계단에 앉아서 보았던 영화지만 보면서 자리가 불편하다는 생각을 미처 할 겨를이 없을 정도였다. (그 시절 우리 동네의 극장들은 개봉관이라 할지라도 고정 좌석제가 아니었다.) <코만도>의 액션이 시작하는 시점은 영화가 시작한지 불과 5분도 되지 않아서 였을 것이다. 그리고 러닝타임 내내 그 액션은 끊기지 않았다. 1년 정도 앞선 시기에 개봉했던 <터미네이터>와 비교해 보아도 큰 차이가 난다. 작품성이나 스토리의 밀도감은 별 볼일 없는 영화였지만, 당대 액션 영화의 흐름에 큰 영향을 주었던 영화임에는 틀림없다. 이른바 '처음부터 관객들에게 숨쉴틈을 허용하지 않는다'라는 목표의식이 영화계를 지배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고전이 무조건 현대의 영화에 비해 재미없고 지루한 것만은 아니다. 고전은 고전 나름대로의 흥취와 멋이 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나 <콰이강의 다리>, <벤허> 같은 영화는 <터미네이터>시리즈나 <인디애너 존스>, <반지의 제왕>같은 영화들이 주는 재미와는 또 다른 재미를 갖고 있다. 그렇다면 현대의 스피드와 스펙터클에 젖어있는 관람객이 고전 영화들 속에서 찾는 재미는 무엇일까.
소설도 마찬가지다. 특히 미스터리 스릴러 장르는 이런 차이가 더욱 두드러진다. 갈수록 잔혹해지고 치밀해지고 복잡해지고 현란해지는 현대물에 비하면, 도일이나 크리스티, 퀸의 세계는 한가롭고 따분해 보이기까지 한다. 탐정도 순진하고, 범인도 순진하며, 당시의 독자들도 순진했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걸작 <나일강의 죽음>같은 경우는 450여 페이지짜리 소설에서 첫번째 살인이 발생하는 시점은 무려 200페이지가 넘어서이다. 참을성 없는 독자라면, 책을 덮어도 열번은 덮을 수 있는 분량이 본론에 앞서 펼쳐진다. 반 다인의 소설은 어떤가. 그 끝없이 펼쳐지는 파일로 번스의 잡설과 무수한 각주들을 참아 넘겨야 사건의 진상과 결말을 맛볼 수 있다.
그 뿐인가. 그 당시에는 센셰이션을 불러 일으킬 만큼 놀라운 트릭들도 현대물에 익숙한 독자들에게는 그다지 새로울게 없다. 온갖 기상천외한 범행 트릭과 갖가지 서술 트릭이 난무하는 일본의 신본격소설이나 다중반전이 밥 먹듯 일어나는 미국의 최신 스릴러 소설을 섭렵한 독자가 과연 <애크로이드 살인사건>이나 <Y의 비극>을 읽으면서 놀랄 수 있을까.
'고전'을 접하는 독자들은 뭔가 좀더 다른 '시각'과 '시선'이 필요한 건 아닐까.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