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책을 되게 아끼는 척 하지만, 분실도 자주 한다.
분실의 99%는 빌려 주었다가 소실되는 경우지만 이는 다시 몇가지의 소분류로 나눌수 있겠다.
(1) 누구에게, 언제 빌려주었는지 도통 기억이 나지 않는 경우
(전혀 남이 빌려갈 법하지 않은 책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다. 불가사의할 뿐이다. 10권짜리 책에서 4권, 6권만 없어지는 경우는 대체 뭔가.)
(2) 빌려준 사람과 연락이 끊겨버린 경우
(친구의 여자친구가 빌려갔는데 둘의 사이가 잘 안된다든지. 친구의 여자친구에게 까지 책을 빌려주는 나의 오지랖을 원망할 밖에)
(3) 빌려준 사람이 책을 잃어 버린 경우
(빌려준 사람이 그 책을 또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경우도 있다. 형의 친구의 형수님에게까지 흘러간 적도 있다. 책을 빌려가 놓고 그런적 없다고 잡아 떼는 놈들도 있다.)
이런 저런 이유든지 잃어버린 책들로 인해 나는 간혹 딜레마에 빠진다.
다시 읽고 싶은 책이거나 시리즈나 전집에서 이가 빠져 버린 경우 그 시름 시름은 깊어만 간다. 확 다시 사버리고 싶기도 하지만, 주머니 사정도 문제일 뿐더러 간혹 절판되어 버린 책들은 정말 속수무책인 것이다.
작년에 이사를 하면서 책꽂이를 새로 장만하였다. 그동안 여기 저기 쌓여 있던 책들이 제자리를 찾았다. 그러고 나니 집나간 자식들 생각에 더욱 마음이 아파진다. 그들의 빈자리가 나를 공허하게 한다. 94년에 샀던 완역 <서유기>(전 6권)는 1, 2, 3권이 온데 간데 없이 사라져 버렸다. 절판된 책이라서 구할수도 없는 희귀본이 되어 버렸다. (1)의 경우이다. <B급 좌파>와 <당신들의 대한민국>은 (3)의 사유로 내 곁을 떠나갔다.
(2)의 이유로 인해 잃어버린 셈 치고 있었던, 오랜기간 절판 상태여서 더더욱 마음이 아팠던 <바람계곡의 나우시카>가 재발간 되었다. 눈 딱감고 다시 사야겠다. 그나마 다시 나와주어서 다행이다. 으흑흑.
모질어 질지언정 책 대여는 삼가해야 할 일이다. 인생 어디로 갈지 누가 아는가.
내 품을 떠나는 순간 이미 인연은 끝날지도 모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