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천자문 유아 한자 1 마법천자문 유아 한자 1
신연미.이원경 글, 조준철 그림 / 아울북 / 201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초딩형아는 시켜도 안하는 한자공부이건만....
혼자 공부하기 좋아하는 특이한 6살 유치원생
자기도 사달래서 찾은 마법천자문 유아한자~
일주일도 안돼서 다 하고, 또 사달라길래
세번읽으면 사준다 딜했는데...
어느덧 다읽어내고.....
지금은 2,3권 주문하고 기다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래동화 컬러링북 최경일 쌤과 함께 노는 창의력 도서관 놀이터
공귀영 그림, 최경일 기획 / 테크빌교육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학년들에게 독후활동으로 독후화를 많이 하는데,해본 사람은 안다. 독후화가 얼마나 어려운지.... 이런 저학년에게 좋은 독후활동교재를 선물받았다. 6살 꼬맹이도 3학년입문자도 동화책읽고,문제풀고(아주 쉬운 단답형 2문제) 동영상까지!
한권으로 세가지활동가능하다. 친근한 그림체도 칭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계명작 컬러링북 최경일 쌤과 함께 노는 창의력 도서관 놀이터
이임하 그림, 최경일 기획 / 테크빌교육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읽기싫어하는 아이들....
왜인지아시나요?
책만 보고 듣고 끝나면 더 잘 읽을텐데..열에 여덟은 독후활동이 부담스러워서더라구요.
책으로 읽고 QR코드로 동영상도 보고,
단답식2문제와 선명한 밑그림은 아이들이 스스로 책을 찾아오게 하네요.
썩 잘 그리지않은 밑그림이 아이들은 더 자연스러운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깨비폰을 개통하시겠습니까? - 제22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고학년 부문 대상 수상작 창비아동문고 292
박하익 지음, 손지희 그림 / 창비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옛날 스마트폰이 없을 때는 어떻게 살았을까?

텔레비전이 그 자리였을 테고 그 전에는? 도깨비에게 홀려서 밤새 씨름을 했던 전래동화속의 한장면처럼 우리는 스마트폰을 부여잡고 밤을 지새우기 일쑤이다.

이런 모습이 분별력있는 성인의 모습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 스마트폰을 아이들에게 쥐어주고 스스로 자제하길 바란다.

이 책은 무작정 그런 기대를 하고 무서운 도깨비 방망이를 쥐어준 우리 부모들을 위한 책일듯도 싶다. 우연히 도깨비라는 존재에 끌려서 손에 쥐었는데, 한번 읽기 시작하니 흡입력이 굉장한 책이었다. 우연히 도서관에서 이 책을 접한 것처럼 우연히 학교도서관에서 주인없는 스마트폰을 얻게 되고, 도깨비들과 소통하게 되는 주인공. 기가 센? 다시 말하면 의지력이 강한 친구이기에 도깨비에게 홀리지 않고 그런 만남을 기를 바쳐?가며 지속하지만, 기가 약한 친구가 도깨비나라?에서 맥없는 모습을 통해 무언가 느끼게 된 주인공의 분별력있는? 역발상의 앱개발로 글은 끝나지만...

재미있으면서 아이들과 스마트폰사용에 대한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책이 아닐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래로 가는 희망 버스 : 행복한 에너지 미래로 가는 희망 버스 3
최영민 지음, 원정민 그림 / 분홍고래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극곰 이야기. 지구 온난화 이야기를 하면서, 아직은 희망이 있다... 고 말했던게 1학기였는데, 2학기에 nasa에서 우리는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 이젠 돌이킬 수 없다.고 공포했다는 말을 하게 되었던 게 작년이다. 6개월 사이에 또 얼만큼의 지구가 훼손되었을까?

아이들에게 에너지 이야기를 하고, 에너지를 너무 심하게 써서 오존층이 파괴되었고,

그래서 날이 덥고, 이상기온이 일어나고 이대로는 빙하가 녹으니깐 안된다고 외쳐봤지만, 동영상을 통해서 잠깐은 공감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또 교실 불을 켜놓고 가고, 빈교실에 선풍기와 에어컨은 켜져있고 문은 활짝 열어져 있는 반이 다반사이다.

지금 당장 불편하지 않기에 다음까지 생각하기는 힘들겠지만, 알아야 한다. 알리고 싶다. 그런데 어떻게 할까?어떻게 알릴까? 라는 고민을 나부터도 잠깐잠깐 하면서 다시 현실에 안주하면서 살고 있다.

지각하여 에어컨이 빵빵하고 멋진 미래형 첨단 버스대신 날개 없는 선풍기 뿐인 초라한 버스를 타게 된 서연이. 이미 이 책의 의도를 알고 있는 어른들로서는 미래형 첨단 버스와 초라한 버스의 보상이 어떤 식으로든지 다르게 나타날 지는 예상을 하고 있을 것이다.

타임머신처럼 과거 불씨가 중요했던 원시시대부터 화석에너지 석탄, 석유, 그리고 핵과 신 재생 에너지까지 함부로 내가 좌지우지 할 수는 없지만, 그야말로 견학할 수 있게 이야기형식으로 에너지의 과거와 현재까지 아이들의 여행을 통해 풀어낸다. 중간에 서연이의 미래형 첨단버스로 바꿔타는 이야기적인 요소도 집어넣으면서 말이다. 과거 북한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서 에너지고갈이 되었을 때 사람들의 모습을 간접 경험하고, 에너지의 미래까지 생각해보게 하는데...

딱히 해결방법이 나와있는 것은 아니다. 실천과 모색을 해야 하는게 숙제라는 메세지가 있지만..

어렵기만 한 에너지의 과거,현재, 미래를 아이들이 좋아하는 이야기로 풀어낸 것은 좋은 계기인 것 같다. ^^ 마지막 전기를 얻기 위해 자신의 지역이 아닌 곳에 송전탑을 건설하고 그로 인해 농성중인 현장에서 '전기도 별로 쓰지 않는데 송전탑 대문에 땅을 빼앗기거나 전자파 속에서 살아야 하는 사람들은 억울한 마음이 들 것 같다. 그걸 지역 이기주의라고 할 수 있을까?"라는 말이.. 마음속에 왠지 콕 찔린다. 아이들과 이야기해볼 요소인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