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보 빅터 - 17년 동안 바보로 살았던 멘사 회장의 이야기
호아킴 데 포사다.레이먼드 조 지음, 박형동 그림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전부터 읽고 싶었는데.. 못 읽었던 책을 남동생이 샀다고 주어서 읽게 되었다.
오랜 세월동안 자신이 바보라고 믿고 살아왔던 빅터! 알고보니 아이큐73이 아닌 173의 수재였다 . 아이큐 73이라고 믿고 살아왔던 지난 날에는 되는 일, 하고 싶은 일, 할 수 있는 일도 딱 73가지였으나, 아이큐 173이라 믿는 순간 그에게는 173가지의 가능성이 눈을 뜨고 정말 그에 맞게 살기 시작했다.
그와 비슷한 대조군으로 선택된 로라! 그녀는 너무 예쁜 얼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항상 빈정대기 일쑤고, 못생겼다고 말하는 가족들 사이에서 살면서 자신의 얼굴에 컴플렉스를 가지고 살아간다. 그런 그녀에게 모든 것이 자신이
어느날, 가족과 함께 토크쇼에 나가 어릴 적 유괴당했던 경험때문에 충격을 받은 부모님의 선택과 그로인해 변해버린 그녀의 삶이 제자리를 찾아가게 된다.
로라와 빅터의 공통점은 바로 자신을 믿지 않고, 다른 이의 기준을 가지고 자신을 바라보았기 때문이다. 자신을 믿으라는 말이 빅터가 박차고 나온 학교의 머릿돌에 새겨져 있었다.
하지만, 정말 그 머릿돌을 진심으로 이해하면서 학교를 다닌 이는 없었던 듯하다.
그런 그들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게 계속 충고해주고, 지지해준 이가 있었으니, 레이첼 선생님이었다. 그녀는 끊임없이 자신의 줏대를 가지고 그들을 바라보고 이끌어주려 하였다. 그녀는 남들이 모두 안된다고 했을 때 예스를 주장하여, 자신의 인생을 성공으로 이끈 케이스로 선택된 캐릭터같다.
별 5개를 줘도 될 만큼 좋은 내용이고, 쉽게 읽어버릴 책 내용이지만, 별 한 개를 뺀 건.. 너무나 상상이 가능한 스토리 전개였기 때문이라고 할까?
우리가 죽어서 하늘로 가면 하늘문 첫 머리에서 하는 질문이 있다고 한다.
"너는 너 자신처럼 살았느냐?"
과연 이 물음에 나는 어떻게 대답할 것인가?를 생각해봐야겠다. 우리는 항상 나를 남처럼.
간디처럼, 또는 또다른 누구처럼. 살지 못하고 있는 것만을 생각하고 안절부절하여 현실을 바라보지 못하고, 항상 행복할 수 있는 길이 있는 데 그 이면의 불행의 길을 기웃거리는것이 아닌 가 싶다.
남들의 눈을 의식하지 않고 살아가는 것은 어렵다. 그리고, 그래서도 안된다. 하지만, 적어도 남들이 보는 잣대에 맞게 살아가기 위해서 스스로를 아프게 하지 말고, 줏대를 세워 튼튼하게 건강하게 살아가는 삶을 선택했으면 좋겠다. 남들의 잣대에 맞게 자신을 딱 그 잣대만큼만 기준지어버리는 정신적인 게으름뱅이가 되지 말았으면 좋겠다. 그리고, 레이첼 선생님처럼 줏대를 가지고, 자신을 바라보며 사는 이가 늘 수 있도록 항상 응원해주는 이가 되도록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