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 존 가트맨.최성애 박사의
존 가트맨.최성애.조벽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의 앞에 나오는 저 제목.. 너무 뜨끔하고 깊이 꽂히는 말이다.
태교를 해야 할 시기인 지금.. 사실 나와 남편은 별다른 건 하지 않는다.. 다만,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스스로 행복할 줄 아는.. 그래서 존재만으로 옆사람에게 행복을 전해줄 수 있는 아이로 컸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지금은 그렇다. 특별히 훌륭한 사람이 되지 않아도, 스스로 살면서 자신의 가치를 알고, 지금 이 순간에 행복해하는 사람이 되었으면 한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하게 된건... 아이들을 보면서 느낀 점이다.
우리 아이들.. 전보다 경제적으로 물질적으로 풍부해졌을 지 모르지만.. 우리때보다 더 행복해보이지는 않는다.. 집에 가면 있어야 할 엄마, 아빠가 없어서 혼자 지내야 하는 그 시간의 외로움 속에서 헤매는 모습. 학원으로 돌아다니면서 불행해 하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마음이 너무 아팠다.. 그런 모습이 아니더라도 집에 가면 놀아줄 수 있는 엄마가 있고, 자신이 하고 싶은대로 지원해주는 부모님이 있고, 부족할 것 없더라도 항상 불평불만과 불행함을 연발하는 아이들이 많다. 그런데, 상담을 해보면 비로소 자신이 가진 것들에 대해 바라보고, 싫어를 연발하던 자신의 이유조차 모를 때가 많다. 왜 그럴까? 바로 자신을 들여다보지 못해서가 아닐까 싶다.
자신의 감정을 들여다 볼지 모르는 것.. 이것은 부모의 잘못이기도 하다. 우리들이 그런 것에 대해서 배워본 적이 없기 때문에 아이들에게도 우리가 배웠던 것과 똑같이 투사하기 때문에 아이들마저도 우리와 마찬가지고 감정을 읽을 줄 모르는 것이다.
내아이를 위한 감정코칭은 어른과 아이를 위해서 모두 필요한 것 같다. 0세부터 시작해서 실질적인 상황을 예로 들어서 감정코칭의 방법을 알려주고 있지만, 모든 교육서를 통달(?)한 어머니들 선생님들은 알것이다. 바로 인정이다. 아이를 가르치려고 한다거나 내 감정을 심으려고 하지 말고,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주는 것 (미러링), 읽고 스스로 해결점을 찾도록 컨설턴트가 되어 주는 것. ㅎㅎ 아는 것과 실제가 틀리다는 것은 모두 알 것이다. 하지만, 아는 것이 쌓이고 쌓이면 어느날 툭 치면 툭 나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계속 이런 책을 읽어본다. ^^;
내가 아이를 잘 키울 수 있을까? 아직도 불완전한데.. 미완성된 불완전한 나를 위해 내게 아이라는 존재가 다가왔나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