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는 과학이다 - 아기 돌보기부터 훈육까지 뇌 성장.발달별 육아 과학
마고 선더랜드 지음, 노혜숙 옮김 / 프리미엄북스 / 2009년 8월
평점 :
품절


"육아는 과학이다." 음~ 아주 감성적일 수 있는 부모들의 육아법에 정지!를 외쳐주는 제목이다.
이제 육아가 점점 다가오는 시점에서 진지하게 읽어지는 책이었다. 그 전까지는 집중하기가 쉽지는 않았다. 나와는 동떨어져있기도 하지만, 나는 육아가 아닌 아동들을 상대하기 때문에 육아라는 단어가 조금은 낯설었다고나 할까? 

오랜 경력은 아니지만... 난 아이들이 행복한 사회를 만들고 싶다. 그러기 위해서 내가 있는 현장에서 열심히 나름 노력하는 것이 내가 해야 할 일일이라고 생각하면서.. 내 이론은 아이들이 행복할 수 있게 하려면 관심이 필요하다는 거였다. 아주 삐뚤어진 아이들을 보고 있노라면, 그 아이들이 천성이 그런 것이 절대 아니었다. 그 아이들은 사랑을 너무나 요구하고 있는데 그걸 어른들이 읽어내지 못하고, 아이들은 또 상처입은 그 감정을 다스리지 못하여 그렇게 행동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이다. 그래서 아이들에게는 아이들의 마음을 이해해주는 어른이 가장 훌륭한 치료제이자 친구라고 생각한다.  아공.. 이게 아닌데.. 

암튼.. 사설이 길었고.. 이 책에서 내가 알게 된 것의 가장 큰 맥락은 다 차치하고, 바로 저것이었다. 인간의 세 가지 두뇌를 이해하라는 것! 인간의 뇌는 지금처럼 크지 않았다. 처음에는 파충류처럼 작은 뇌, 그리고 조금 커진 포유류, 그 다음이 지금의 뇌를 말하는 것이다.
근데.. 이게 진짜 신기하게도 맞는 말 같다. 육아라는 말이 어울리는 아이들은 파충류와 포유류의 뇌를 이해하면 된다. 가장 작은 뇌~ 가장 본능에 충실한 뇌가 가장 안쪽에 있는 뇌의 역할이고, 우리 갓난쟁이들은 그때 그 뇌가 깨어나서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 아이들에게 인지적인 내용을 언급하면서 아이가 이해하길 바라는 것은 조금 어불성설이라는 거다.   

그래서 배고파서 우는 아이들에게는 젖을 주면 되는 것이고, 배변의 찝찝함을 경험하고 있는 아이들에게는 상쾌함을 주면 되는 것이다. 또한, 인간으로서 다른 이와의 사회적인 삶을 살도록 눈을 마주쳐 주는 것이 바로 갓난아이들에게 해줘야 할 일. 

조금 크면 포유류의 뇌가 활동을 하게 된다. 파충류보다는 낫지만. 이 뇌는 감정에 아주 충실하다. 자기가 하고 있던 걸 못하게 하는 순간, 그것은 적이다. 나쁜 것이다. 이 뇌를 다스리는 방법은 그 감정을 읽어서 보여주는 것이다. 그게 가장 좋은 것이다. 아이가 울면 가서 달래줘야 하고, 아이를 울도록 그냥 내버려두면 안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그 뇌의 한 부분이 상처입고, 나중에 커서는 그 부분의 역할을 자기도 모르게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뇌스캔과 함께 제시된 부분을 보면 놀랍게도 진짜 과학적이다.  그래서 아이가 포유류와 파충류의 뇌가 잘 큰 다음 가장 바깥부분인 대뇌피질 쪽에서부터 아이와의 대화, 사회성 등의 교류와 학습이 가능 하다는 것이다. 

음~ 세 가지 뇌를 기억하고.. 어린 아이를 어린이 다루듯이 하면 안되고, 어린이를 어른 다루듯이 똑같이 하는 누를 범하지 말아야 겠다. 난 우리 아이가 행복했으면 하니깐. 자기가 행복한 아이라야 다른 사람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고, 그래야 이 사회도 건강해 지지 않을까? 

"스트레스를 잘 다스리지 못하면 삶은 끊임없는 투쟁이 된다. ~~ 스트레스를 다스릴 줄 아는 사람들은 힘든 상황에서도 이성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들은 행운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