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귀고리 소녀
트레이시 슈발리에 지음, 양선아 옮김 / 강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빛의 작가 베르메르의 진주귀고리 소녀를 매개로 하여 소설화 시킨 도서이다.
50%DC의 기회가 있어서 덜컥 사놓고.. 2년만에 읽었다.
겉표지의 저 소녀의 눈빛과 빛을 반사시키는 진주 귀고리때문에 무척이나 끌렸는데..
이 소녀를 그리면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것. 저 표정 속에 얽힌 이야기들이 .. 소설화 되어있다.
사실이라고 단정지을 순 없다.  

바람의 화원처럼 그림을 매개로 하여 펼쳐지는 작가의 상상력이 맺어낸 소설 . 팩션이라고 할까? 

귀족인지 하녀인지 알 수 없는 복장에서 하녀로 주인공 당첨. 이름은 그리트~
빛을 끌어들이면서, 관중을 소녀의 얼굴로 한눈에 끌어들이는 저 진주 귀고리..
순수한 듯 매혹적인 소녀의 눈빛에서, 촉촉하면서도 살짝 벌어진 매혹적인 입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의문이 이 소설의 출발점 인듯 싶다.

베르메르의 집 하녀로 들어가게 된 그리트가 베르메르의 부인인 카타리나, 카타리나의 어머니 마리아, 카타리나의 아이들, 또 다른 하녀, 베르메르와 베르메르의 후견인 반 라위드, 현미경의 창시자이자 베르메르의 절친인 반과 얽히게 된다. 빛의 작가 베르메르의 화실을 청소하면서, 그의 작업실을 그대로 재현할 줄 아는 눈썰미를 가진 그녀. 비밀리에 그의 부인이 마음대로 출입할 수 없는 화실의 보조로 큰 역할을 하게 되고.. 눈이 크고 묘한(?)매력을 가진 그녀는 베르메르의 후원인인 반의 눈에 들게 되어 그림의 모델이 되게 된다. 하지만, 모델이 된다는 것의 의미는..  

그림 속에 절묘하게 등장하는 이야기속의  주인공들, 베르메르의 그림들이 이 책의 묘미라고 하겠다.  바람의 화원을 본 이라면, 쉽게 이해가 될 듯 싶다.
귀족과 하녀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예술가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딱 명료하게 떨어지기 보다는 여운을 남기는 결말이.. 조금 있긴 하지만.. 마을의 중심 바닥에 그려진 팔각별의 여러 방향 중 그리트가 스스로 택한 길은 마음에 드는 결말이다~^^

그림을 통해 그려낸 상상력의 세계가 또 한번 나를 흔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