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버지가 없는 나라
양 얼처 나무.크리스틴 매튜 지음, 강수정 옮김 / 김영사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에게 사랑이란 건 참 복잡하다~
왜일까?
남녀간의 사랑~ 연애할땐 밀고 당기기를 잘해야 하고, 결혼해선 기선제압을 잘 해야 하고, 교육을 잘 시켜야 하고.. 등등등..
아버지가 없는 나라가 사랑이야기냐고 물어볼수도 있는데..
내가 이 책을 덮고 나서 기억에 남는 말은 "밖으로 나왔을 때 사랑이 참 복잡해졌다."라고 하는 주인공 나무의 말이었다.
우리에게 복잡한 사랑이 왜 나무네 부족에겐 복잡하지 않을까?
사랑엔 책임이 따른다. 그것도 아주 막중한~ 하지만, 모쒀족을 봤을 때 그들은 서로를 구속하지 않는다는 걸 느꼈다. 사랑을 나누기전부터 책임에 매여야 하는 우리와는 다르게..
중국의 소수민족 중의 한 부족인 모쒀족~ 성인식을 치르고 난 여자들만이 방을 갖게 되고, 남자나 어린아이들은 그냥 공동생활구역에서 생활을 하게 되고, 애인이 생기면 그 여자들의 방에 가서 문을 톡톡 두드리고, 그 문이 열리면 거기서 자고, 남자들은 다시 자기 집으로 돌아오는 주혼이라는 풍습을 가진 부족이다. 소위 문명이란 걸 가진 우리들의 기준에서 보면, 성이 문란하고 그럴 꺼라 생각할 수도 있다. 그렇기에 중국 정부에서도 문화혁명때 일부러 부부는 같이 살아야 한다고 계몽운동을 하고 강제로 그들의 문화를 문명의 세계와 비슷하게 끼워맞추려고 했으나. 결과는 실패했다고 한다.
아버지가 없는 이 나라는 어머니의 역할이 크다. 여자들은 남자 못지 않게 힘을 키워서 가축도 잡고, 장작도 패고 그러나 여성성은 잃지 않고, 자신들이 사랑하는 남자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어렸을 때부터 교육을 받는.. 뭐, 그런..
이 책은 이런 문화속에서 태어난 양얼처나무가 그 세계에서 우리 문화속에서 살아가기까지의 이야기를 아주 흥미있게 풀어낸 책이다.
음.. 문장력이 뛰어나다거나 꼭 읽어보라거나 그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책은 아니지만,
나무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매튜의 이야기를 듣고 있노라면,
아주 다른 문화이지만.. 그 속에서 자라난 나무의 삶을 통해 한 민족의 삶을 이해하게 되고, 그들의 삶과 문화에 동화된다고 해야 하나.. 아무튼 그런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된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다. ^^
신도 버린 사람들을 번역했던 작가가 이 책도 번역을 하였다. 신도 버린 사람들의 대상이 되었던건 인도의 한 유명한 남자라면, 이 책은 중국의 오지에서 태어나서 지금은 서양 세계에까지도 그 역량을 발휘하고 있는 여자의 이야기라고 대비해서 소개할 수 있겠다.
나이가 들면서 나도 언젠가 어머니가 될꺼란 생각을 점점 강하게 하게 될 수록, 어머니에 대한 깊은 존경심이 드는건 어쩔 수 없다. 내가 여자이기에 더욱 더~
세상의 모든 어머니는 같은 것 같다.
어머니, 여자의 삶에 대해서- 운명에 대해서- 힌번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를 줄 수 있을 책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