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을 낳은 후궁들 표정있는 역사 8
최선경 지음 / 김영사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왕의 여자..중전을 비롯한 내명부에 관련된 사극이 참 많다.
사극에서 보면 정치를 하는 것은 남자들이지만, 그 배후에는 항상 그녀들이 있었다.
그러다 보니 소설이든 사극이든 항상 초점이 그녀들의 암투와 세자 책봉 또는 왕위옹립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주로 다루어졌던 것이 사실이다.
이 책은 그러한 후궁들의 이야기 중에서 여자로서보다는 왕의 어머니로써의 그녀들의 인생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처음에 이 책을 보관함에 넣었을 때는 작가의 서문처럼 후궁이라는 주제에 대해 삼천궁녀를 떠올릴 만한 흥미있는 스캔들을 기대했던 것이 사실이다.
역사속 비사란 참 흥미있지 않은가..
그렇지만, 이 책은 조금 더 고증적이고 역사적인데 집중을 두고 있어 픽션적인 면은 찾아볼 수 없다.
장희빈의 아들 경조, 후궁출신이었던 폐비 윤씨의 아들 성종정도로 알고 있는 것이 다였는데..
사실 나는 폐비 윤씨와 인현왕후 사이에 한 궁녀가 있었다는 이야기는 알지만, 그가 바로 영조의 어머니 숙빈 최씨였는지는 이번에 다시금 알게 되었다.
조선왕조 초반부의 그녀들은 야욕에 사로잡히거나, 조금은 더 사랑에 집착하는 면을 보였는데..
후반부에 가서 그녀들은 한 걸음 물러서서 모든걸 관망하며, 자신의 아들을 조용한 카리스마로 지켜내는 법을 알게 된다..
후궁으로써, 왕의 어머니였지만.. 그러한 대접은 못 받은 그녀들..
어찌보면... 슬프고 짠하지만.. 또 어찌보면 다른 어떤 궁녀들보다도 복받은 그네들이 아닌가 싶다.
숙원, 소원, 숙용, 소용, 숙의, 소의, 귀인, 빈에 이르는 내명부 지위체계도 익히게 하고, 가십거리나 흥미거리로 생각하던 그녀들의 이야기를 역사적으로 서술하려한 작가에게 페미니즘적인 측면으로 감사드린다.. 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