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의 밤 - 당신을 자유롭게 할 은유의 책 편지
은유 지음 / 창비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임에서 정해서 읽게 된 책. 해방의 밤? 제목부터 매우 운동권적이다? 강하다?라고 생각했는데...

1부 관계와 사랑을 읽어내는 데 되게 힘들었다. 정말 단편적으로 엄마로서 살아가면서 책을 읽는 순간 해방감을 느낀다는 작가의 자전적인 책이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모임에 갔는데.. 왠걸... 난 무엇을 읽었던 것일까? 1부만 읽고 가볍게 치부해버리고 덮어버린 내가 부끄러웠다.


"해방의 밤을 느끼게 해 준 책이 있나요?" 띵~~~ 네?

아.. 책들을 통해서 이사람 저사람과의 관계 속 하고 싶은 세상사의 이야기를 이렇게 심도있게 다른 시선을 볼 수 있게 연마해주는 책이었다니...

책에 띵~ 하는 순간이 있을 때마다 띠지를 붙이다 보니, 빼곡하게 쌓였구나~

편견에 사로 잡히고, 어른으로서의 생각을 아이에게 주입하려 들고 모르는 사이에 내가 맞다고 고집하고.. 아... 나도 생각이 참 굳어있는 사람이었구나.. 이렇게 책을 통해서 내가 그런 사람이었고 이런 생각이 이런 문제가 있구나!를 느끼게 하는 연장으로서 책을 언급했다.

해방의 목록에 가득한 책들을 당장 사서 하나씩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러다가 자신이 없어졌다. 과연 저 책들을 읽으면서, 은유작가처럼 사색할 수 있을까?

삶을 살아가는 것이 나만 생각하면 되던 때보다 지금은 많이 복잡하다. 당장 내 눈앞에서 갈등을 겪고 있는 사춘기 아들과 아빠를 보면서도 내가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지도 잘 모르겠다. 삶에서 무엇을 추구하고 어떻게 지키고 살아가야 하는지 배우면서 욕심부리지 않고 살아가고 싶지만, 하루하루 감사하며 살고 싶지만 힘들때가 많다. 그럴때면 나는 은유작가처럼은 아니더라도 위로를 받고 해결책을 찾기도 했던 것 같다. 책이 나의 해방까지는 되지 않더라도 실마리는 던져주고 있으니...책을 찾지 않는 이보다 나는 더 잘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저자는 가족의 폐단을 세가지로 꼽는다. 첫째, 부와 빈곤을 세습하는 것. 둘째, 사생활권이라는 미명 아래 개인의 개성과 인권을 억누르고 갈등을 은폐하는 것. 셋째, 모성 역할과 가사노동에 여성을 속박하는 것. (41p)


삶은 유동적인데 안정적인 관계란 게 가능할까요? (65p)


관계에 예와 성을 다하는 한결같은 태도를 본받고 싶었고요. (71p)


어떻게 살아야 할까의 문제에 힌트를 얻은 거지. 콘크리트처럼 굳어가는 사람이 아니라 남의 말이 스며드는 고운 흙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 (104p)


친절한 사람이 아니라 친절한 사람이 괴기 어려운 구조를 파악하는 사람. 그렇게 용쓰다보면 주름이 늘듯이 말투와 표정에 친절의 함량이 높아지길 기대합니다. (109p)


생각과 감정은 자꾸 표현해야 섬세해지고 발달하는데 그럴 기회가 없었던 거예요. (138p)


때로는 (성)취하는 삶보다 해하지 않는 삶을 사는 것도 세상에 기여하는 방법 같습니다. (145p)


실패하는 건 배우는 사람의 특권이므로 부담 갖지 않아도 된다고 했죠. (149p)


"내 옆의 동료나 친구에게 같이 마음 나누어줄 수 있는 사람으로 늙어가길 기원해요." (163p)


지나친 배려는 때론 배제가 되죠. ~ "사람들이 깊은 슬픔에 빠지게 되면 하나의 인식에 도달하는데, 그 대상은 결코 슬픔의 감상이 아니라 바로 사회적 삶의 조건들에 눈뜨기 쉽다는 것입니다." (176p)


결국 내가 사람답게 사는 사회에서 살고자 한다면, 억울하게 죽어가는 사람들이 당한 고통을 외면하지 말라는 뜻으로 저는 이해했어요. 사람들은 여전히 묻습니다. 왜 타인의 아픔에 관심을 가져야 하느냐고요. 그럴 때 선생님에게 배운 아도르노의 말을 전합니다. "나의 상처로부터 해방이 되려면 이 사회적인 상처를 볼 줄 알아야 된다."


선생님은 모르는 게 창피한 게 아니라 배우려 하지 않는 것이, 남을 먹일 음식 하나 할 줄 모르는 게 부끄러운 삶이라는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 (200p)


저는 설명되지 않는 것들에 늘 관심이 갑니다. 엉켜 있고 덩어리진 인간 감정의 복잡함을 최대한 명료하게 표현하려는 노력이 작가의 임무일테니까요. 삶을 짓누르는 바윗덩이 같은 압박감만이 아니라 신발 속에 든 쌀알 같은 거슬림도 사람을 지치게 합니다. 사소해 보이지만 사소하지 않다는 것을 표현할 수 있을 때 우리는 그 감정에서 풀려날 수도 있겠지요. (235p)


글쓰기는 경험을 재구성하고 재해석하는 작업이죠. 의지보다 기술의 영역이라서 생각을 연마할 연장이 필요하답니다. 내면의 낡은 생각을 부수고 새로운 사유를 만들어 나가는 도구, 이걸 니체는 '망치'라고 했고, 카프카는 '도끼'라고 했습니다. (241p)


앞으로 일어날 것은 잘될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의 것이 잘 있으므로, (323p)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을 몰아세우지 않으면서 대화하는 건 언제나 어렵습니다. 반대 의견이 너무 강해도 너무 약해도 말길이 끊기죠. 말들이 순환하지 않으면 배움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327p)


사람은 변합니다. 변화란 거저 오는 건이 아니라 애써서 만드는 것이라고 하죠. 비난으로는 변하지 않고 애씀으로 변하는 것 같아요. (331p)


"세상은 안 바뀌는 거 같지만 제가 바뀌었거든요. 저도 세상의 일부이고 적어도 제 몫만큼은 변했잖아요. 조급하게 생각하지 않고 제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333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