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53&aid=0000011965  

  일본 소설 열풍에 대한 분석글을 보면서 특히나 일본 미스터리가 이렇게 각광받고 있는 이유에 대해 잠시 생각해보았다.

  히가시노 게이고와 미야베 미유키를 위시한 일본 미스터리 작가군들이 진을 치고 있는 한국 출판 상황을 보면서, 그와는 다르게 영어권 미스터리, 스릴러 작품들은 그 명성에 비해서 한국 시장에서 약발이 덜하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일단, 일본 미스터리는 먹히는데 영어권 미스터리는 잘 안먹히는 이유는 번역에 문제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일본어는 한국어로 번역하는데 크게 문제가 없다. 물론 번역이라는 것이 또 하나의 창작활동이어서 쉬운 일은 아니지만, 한자문화권이고 어순이 거의 같으므로 영어권 문학의 번역보다는 수월한 것이 사실이다. 영어권 인문도서를 읽다보면, 특히나 심리학 책이나 종교에 관한 책을 읽다보면 번역 때문에 책을 끝까지 읽을 수가 없을 때가 너무 많다. 전문적인 내용이라서 번역 전문가가 아닌, 영어가 좀 되는 그 방면 전문가가 번역자로 떡하니 이름이 올라가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전문 번역가의 도움이 있겠지만 대체 주어가 뭐고 뭐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는지, 독자를 매우 불편하게 하는 책이 많다. 인문 도서 번역이 잘되었다는 생각이 드는 작품은 정말 드물다. 영어권 미스터리도 이름 있는 번역가의 번역은 그래도 믿을만 하지만, 중소 출판사의 그저그런 번역을 보고 있자면, 하.. 내가 이걸 왜 읽고 있는건지 싶은 생각이 많이 든다. 차라리 힘들어도 원서로 읽을까 싶을때도 한두번이 아니다. 단어의 맛은 둘째치고 무얼 서술하고자 하는지도 불분명하면 진짜 책 던지고 싶다. 특히 하드보일드 소설에서 분위기에 대한 묘사는 정말 그 맛을 잘 살리기 힘든데, 중간도 못하는 작품을 보고 있으면 절로 일본 미스터리에 더욱 손이 갈 수 밖에 없다.

  일본 번역 책도 물론 거슬리는 점이 있다. 특히 일본식 한자 단어를 쓸 때는 심히 거슬린다. 분명히 대체할 한국식 한자어도 있는데 성의없이 그대로 방치했다는 생각이 들 때가 많다. 물론 한자어로 이루어져있는 단어이므로 뜻을 아는데 별 무리는 없지만 사람들이 뭣도 모르고 '야채, 야채' 하는 것과 공들인 번역이 뭐가 다르단 말인가. 야채는 분명히 일본식 한자어다. 한국식 한자어인 채소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미 사람들은 야채라고 말하고 있다. 번역은 그런 오류를 범하지 않았으면 한다. 분위기를 살린답시고 일본식 한자어를 방치하는 처사도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문화의 차이에서 오는 괴리감 때문에 영어권 미스터리보다는 일본 미스터리가 더욱 사랑받고 있는것은 자명한 일이다. 하지만 번역의 문제도 내게 미스터리를 고르는 중요한 문제임을 생각해보면 많은 영어 번역자들이 있지만 생각보다 잘하는 번역자는 별로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일본 작품은 대충만해도 반은 갈 수 있지만 영어 작품은 정말 정성들이지 않으면 문장이 허공에서 떠돌고 있는 느낌을 지울 수 없을테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