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 헌터 모중석 스릴러 클럽 5
존 더글러스.마크 올셰이커 지음, 이종인 옮김 / 비채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채널 CGV에서 <크리미널 마인드>라는 미국 드라마가 방송되고 있다. 바로 프로파일러에 대한 이야기다. 그 방송을 가끔 심야시간에 즐겨보는데 여기 나오는 존 더글라스와 꼭 닮은 듯한 인물인 제이슨 기디언이 나온다. 그리고 이 책에서 소개되어 있는 소재가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해서 깜짝 놀랐다. 이 책과 드라마는 많이 닮아있다.

  프로파일링과 연쇄살인, 내가 가장 좋아하는 분야다. 연쇄살인범이 잡히지 않을때, 그가 어떤 인생을 살아왔고 왜 그런 범행을 저질렀는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로파일링이 필수적이다. 과거의 경험이 살인범에게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인간은 과거의 경험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학대받고 무관심속에서 살아가는 아이는 100%는 아니지만 어떤 스트레스 요인이 일정치가 넘게 되면 범죄를 저지를 확률이 높다는 것이 이 책의 설명이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 사회와 가정과 개인의 사랑이 꼭 필요하다고 역설하고 있다. 교도소를 늘리고 경찰을 증원하고 하는 등의 일은 이미 일어난 범죄에 대한 대처일 뿐이다. 100% 예방할 수 없지만 우발적 범죄가 아닌 연쇄살인과 같은 범죄는 우리 모두가 서로에게 관심을 기울이면 범죄자가 어릴 적에 방지할 수 있다. 말처럼 쉽지 않은 일이지만 긴급출동 SOS 등을 보면서 추악한 어른의 현실이 아이를 커서 연쇄살인자를 키울 수도 있구나 싶었다.

  또 한가지 드는 생각은 아직 프로파일이 수사의 한 부분이 되지 못하는 한국의 현실이 안타깝기도 했다. 그것은 아직 그만한 연쇄살인이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근자에 들어 심심치않게 연쇄살인을 저지른 인간이 나오고 있다. 유영철만 봐도 그렇지 않은가. 노인과 여자를 대상으로 연쇄살인을 저지른 그는 이 책을 읽고나면 연쇄살인범의 가장 전형적인 유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도 미국처럼 프로파일이 발달되어 있었다면 스무명이 넘는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이 책은 소설이 아니지만 소설 못지않게 사람을 끌어당긴다. 잭 더 리퍼나 찰스 맨슨과 같은 유명한 연쇄살인범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하면서 연쇄살인범들을 어떻게 잡아냈는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존 더글라스의 경험을 바탕으로 논리정연하게 연쇄살인에 대해 소개된 정말 유익한 책이다. 프로파일이라는 것이 언제 어떻게 등장하게 되었고 그것을 수사의 한 기법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이 노력을 했으며 프로파일링으로 잡은 범인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프로파일이라는 기법을 단지 드라마에 나오는 수사기법이 아닌 손에 잡힐 듯이 설명되어 있어 추리나 스릴러 매니아라면 꼭 읽어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존 더글라스와 그 외 프로파일이라는 개념을 위해 애쓴 모든 이들, 그리고 지금 이시간에도 범죄자를 잡기 위해 애쓰는 모든 사람들에게 경의를 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