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박태원 단편선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 15
박태원 지음, 천정환 책임 편집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태원 단편선의 첫 작품 <수염>에서 주인공은 한국인 특유의 내시같이 듬성듬성한 콧수염을 친구들이나 가족들에게 핀잔을 들어가며 길러보겠다는 욕망을 숨기지 않는다. 면도해 주는 이발사가 '이거.. 기를 생각이십니까?'라고 대놓고 물어보진 않지만 창피함을 무릅쓰고 콧수염을 지켜내다가 결국 멋들어진 수염이 자리잡은 것을 보고 희열을 느끼면서 단편은 마무리된다.  

  초창기 단편이라 그런지 그 이후의 작품들이 보여주고 있는 일관성과는 조금 동떨어졌다는 느낌을 받은 <수염>이다. 하지만 이 단편소설을 맨 처음 배치된 것 역시 이해가 된다. 박태원은 약국을 경영하던 집안에서 태어나 유복하게 자라난다. 이광수에게 문학을 사사받을 정도로 엘리트로 성장하고 작가가 된다. 그런 그가 사조가 아닌 유행이라는 측면에서의 모더니즘의 광풍 속에서 콧수염과 지팡이와 양복을 추구하면서 패션의 선두에 서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그리고 박태원과 거의 동일선상에 있는 화자가 수염을 기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은 이 단편선의 시작점으로 나쁘지 않다. 

  하지만 그 이후 박태원의 행보로 선택된 나머지 단편들은, 작가가 되었고 그래서 모더니스트라고 자칭하고 다녀도 하등 이상할 것이 없는 소설가가 되었지만 식민지인이라는 현실 속에서 모더니즘의 키워드라 할만한 욕망은 억압을 받게되고 점점 소설 속 화자들은 이중성을 겪으면서 번민하다가 결국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체념하거나 길들여진 것에 순응하고 마는 식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서는 세속적 욕망에 대해 거부감을 드러내지만 한편으로는 자신이 가지고 있지 못한 가족과의 행복, 돈, 여인의 사랑등을 끊임없이 생각하고 그 허전함을 벗을 통해 찾으려 다방을 하루에 4번이나 들락거리는 인물의 하루가 그려져있다. <애욕>에서는 구보의 친구 하웅에게 여자가 생겼는데 좁은 종로바닥에서 그 여자에 대한 소문이 많이 안좋다. 이 남자 저 남자 만나면서 하웅은 그저 심심풀이 땅콩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하웅은 고향으로 내려가 어머니께서 점찍어둔 처녀와 결혼하여 정착하려고 하는데 결국 그 여자가 찾아오자 다 내팽겨치고 그 여자를 만나러 뛰쳐나가면서 끝이 난다. <길은 어둡고>에서는 카페 여급일을 하는 여자가 같이 사는 샌님같은 남자가 지긋지긋해서 군산으로 떠나려고 하지만 결국 군산행 기차에서 내려 다시 그 남자가 있는 집으로 되돌아가고, <비량>에서는 <길은 어둡고>와는 반대로 남자가 동거하는 카페여급이 지긋지긋해서 동거를 그만두려다 결국 현실에 순응하고 만다. 

  끊임없이 고민하고 현실에 대해 지쳐가지만 결국 한바퀴 돌고 제자리로 돌아오는 생활인들의 이야기가 이 단편선의 주를 이루고 있다. 주변인물들은 하나 같이 세속적이어서 아버지는 매춘하는 딸을 모른척 할 수 밖에 없다. 이는 다 식민지 시대라서 벌어지는 일이라고 치부해버려도 될까. 자본주의 사회라면 그곳이 식민지 상태든 아니든 가난한 예술가가 있고, 그 주변에 성을 파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그 사람 때문에 한끼 겨우 먹어 삶을 이어가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예술가랍시고 자본주의의 총아가 된 사람도 있을 것이고...... 이 단편선에서는 지금도 존재하고 있을 법한 사람들을 서술하고 있다. 현실이 마음에 안들어 벗어나보려하다가 벗어나게 되더라도 다시 돌아가고 마는 소시민이 내가 아니라고 하지 못한다. 욕망은 있지만 그 욕망을 실현시킬 수 없게끔 사회는 제기능을 못하는 것부터가 현재와 식민지 시대와 다를바가 없다.

  식민지라는 상황이 욕망과 현실이라는 이중성을 더욱 비극적으로 부각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제 막 자본주의와 모더니즘이 흘러들어온 식민지 한국 사회에서 억압받고 강제된 자본주의와 모더니즘은 더욱 비틀어진 모습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식민지 한국이 아니라고 해도 비루하다고 할 수 있는 인생을 사는 사람이 없을 수는 없다. 돈이라는 것이 존재하는 한은...... 

  특히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은 <광장>을 쓴 최인훈 뿐만 아니라 여러 작가들에 의해 패러디된 작품이다. 왜 그렇게 재해석되고 재창조되는지 이 단편선을 읽어본다면 알 수 있다. 현대를 살고 있는 우리에게도 전혀 어색하지 않은 시대를 살고 그것을 표현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대문도서관 2010-07-27 1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 동대문도서관 입니다^^
『근대의 책 읽기』 저자 천정환 교수님의 강좌 <독자, 그들의 대한민국 - 근현대 문학과 독자의 문화사>가 9월 7일부터 매주 화요일 7시에 동대문도서관에서 열립니다.

강의에 관한 더욱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blog.daum.net/ddmlib/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