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식인의 서재 -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한정원 지음, 전영건 사진 / 행성B(행성비) / 2011년 5월
평점 :
절판
지식인의 서재. 작가, 디자이너, 정치인, 연예인들의 서재를 이따금 잡지나 비슷한 주제의 책들을 통해 접해왔다. 그들의 서재는 대체적으로 현대적이거나 고전적인 아름다움이 느껴졌다. 소장권수도 일반인과는 사뭇다른 마치 작은 도서관을 옮겨놓은 듯한 양적, 그리고 질적인 차이에 그저 부러워만 했던게 사실이다. 때문에 지금 껏 보아왔던 유명인사들의 서재에서 우리가 느낀것은 '책'이 아닌 '책을 포함한 또하나의 차이'였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지식인의 서재에서 느껴지는 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그들은 누군가의 책이 되었다.
책의 부제가 이토록 잘 어울릴 수가 있을까. 그들의 이야기는 어느새 내 눈을 통해 들어와 내 머릿속에 계획해 두었던 필독리스트를 변경해 놓았고 마음속에서는 '읽기의 자유로움, 즐거움' 을 선사해주었다. 그렇게 책이 되어준 그들은 또한 이웃과 소통할 수 있는 소통의 매체로서 '책'의 역할도 빼놓지 않았다. 그들에게 있어 공통된 책의 역할은 '소통'이었다. 그리고 '나눔'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책을 통한 자기정화라고 생각이 된다. 법학자이면서 인문학과 시를 좋아하는 그도, 공학도면서 다양한 방면과 학술적 콜라보레이션 격으로 학문의 결합을 즐기던 그도, 소장하고 있는 요리책에 요리를 전부 요리했던 그를 보아도 알 수 있다. 그들의 독서습관이나 방식은 현재의 그들의 직업이나 가치관을 말해주는 좋은 계기가 되었다. 내가 그토록 알고 싶었던 몇몇 지식인들의 서재는 그야말로 '또 하나의 세상'이라고 생각된다. 그안에서 쓰여지는 글들과 강의록, 작품세계, 경영방식은 책을 좋아하는 자들에 비해 훨씬 이상적이다. 그들이 우리가 꿈꾸는 '이상적 삶'에 가까운 까닭도 그 때문이라 생각된다.
'나 그 책 읽었어.'
장진감독의 말은 수많은 책, 도서리뷰 블로거들의 존재의 의미를 알려준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상품리뷰와 영화리뷰등도 가치있지만 특히 도서리뷰의 가치는 그만큼 중요하다. 책은 물질이지만 물직이라고 치부하기에는 너무 많은 정신적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음으로써 내게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어떤 지혜를 구할 수 있었는지, 책 블로거들은 그렇게 자신의 가치를 표현하는게 아닐까 싶다.
이 책을 궁금해 하는 그대에게.
더 많은 책의 내용을 소개하려고 맘먹고 시작했다가 이내 마음을 거두었다. 이 책이 궁금해서 찾아본 이들이라면 주저없이 자신의 서가에 꽂아두었으면 싶기 때문이다. 인문학이 화두가 된 요즘 다양한 리스트가 이리저리 추천되고 나름의 가공을 거쳐 그 권수가 수만권에 다다른다. 뿐인가. 경제학을 비롯 문학작품에 이르기 까지 우리가 흔히 표현하는 '읽어야 할 책'이 너무 많아졌다. 그러다보니 필독리스트가 왠만한 도서관과 서점의 '소장리스트'와 별반 차이가 없어졌다. 많이 읽을 수록 좋다지만 제대로 그 책을 소화하고 그의 말처럼 저자와의 만남이라고 생각한다면 기필코 많은 책을 읽는 것이 더 낫다고는 볼 수 없다. 그저 '지식인의 서재'에서 소개된 지식인들의 추천도서만 읽어도 분명 더이상의 필독리스트는 필요없을 것이다. 책을 고르는 눈이 분명 생겨날 거라 믿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