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중국은 세계의 패권을 쥘 수 없는가 - 중국 낙관론을 정면으로 반박하는 31가지 근거
데이빗 매리어트 & 칼 라크루와 지음, 김승완.황미영 옮김 / 평사리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중국이 세계의 패권을 쥘 수 없다는 의견에 동의하는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읽으면서 여러모로 공감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 국내는 물론 국외에 다양한 언론을 막기만 하는 중국정부로 인해 알 수 없었던 사실적인 근거들을 31가지나 구체적으로 제시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중국의 경제적 발전과 점점 더 막강해지는 파워를 느끼며 그들의 위협적인 성장이 이젠 두렵기 까지한 이들이라면 이 책을 읽고 그런 불안함과 두려움이 사라질까? 아니다. 전자도 후자도 아닌 나조차 이책을 읽으면서 오히려 중국이 더더욱 두려워졌다. 31가지의 근거는 그야말로 고통스러울 정도다. 부록에 실린 사이트나 도서목록을 별도로 손대기 주저할 정도로 중국의 현실은 고통스러웠다. 물론 이전에 읽었던 중국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책을 읽긴 했지만 책, 왜 중국은 세계의 패권을 쥘 수 없는가에서 다루는 것은 그야말로 중국전체의 치부를 드러내놓고 있다.

우선 저자가 우려하는 집단, 남아선호 사상으로 인해 깨어져벼린 성비로 인한 사회적문제, 가구당 1인 출산을 장려한 까닭에 지나치게 부모의 힘에 의존하는 무력하면서도 이기적인 소황제, 소황녀들, 농촌에서 더이상 밥벌이가 어려워 도심으로 몰려드는 농민공 등 중국의 사회에 일촉즉발의 위험을 가진 위협적 집단의 존재이다. 이들은 지금 겨우살이를 하고 있는 존재들이다. 이들보다 더 위험해 보이는 집단은 다름아닌 '자유'를 빼앗긴 티벳을 비롯한 소수민족들이다. 중국은 역사적인 배경을 무기로 폭력적으로 그들의 영토와 문화를 정복을 넘어 훼손하고 있다. 제3자의 시선으로 보아도 분명 악위적이며 폭력적인 대치를 해외의 대부분의 나라가 묵인해주고 있다. 뿐만아니라 멀리 떨어진 대만의 경우만 보아도 중국의 위협적인 권유에 미국을 비롯한 강대국들이 중국의 손을 들어주고 있다는 사실이다.

읽으면 읽을 수록 중국사회에 대해 의아해져만 갔다. 영토가 큰 만큼 사건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2분마다 한명씩 자살하고 묻지마 살인이 여기저기 터지고, 탄광에서는 오늘도 수십명 혹은 수백명의 노동자들이 죽어가는 데 여론탄압에 의해 중국에 살고 있는 중국인들마저 그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인터넷을 통한 국민의 알권리가 어느 정도 보장되는 듯 기대했지만 중국은 구글을 비롯한 해외기업들에게 압력을 가해 이젠 그나마도 전부 차단된 상태이다. 인터넷 실명제를 도입한 이후 중국의 언론과 알권리는 송두리째 빼았겼다. 사건은 일어나고 내 이웃은 죽어가지만 집안에 갇혀있는 대다수의 중국인들은 이 사실을 모르고 살아가는 것이다.

저자들이 말한 중국의 현실이 사실인지의 여부는 크게 중요하지 않았다. 그들의 말대로 사랑하는 중국이 세계적으로 강대국이 되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 위험집단의 갈등해소는 물론 소수민족과의 대립도 원만하게 해결 해야 된다고 본다. 지금은 어느정도 안정기에 놓인 듯 보여도 이웃하는 여러 나라도 풍전등화나 다름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저자가 www 발명을 두고 가정한 중국정부의 행태는 오래도록 기억에 남을 것 같다. 국민이 아닌 군을 위해 철저하게 숨겼을거란 예상이 나 역시 지금의 중국을 본다면 능히 그럴 수 있을거라 믿게 되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