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좋을 일?!?!
나온 지 오래 됐지만 좀더 많이 읽혀야 하는 책이 아닐까?
2권을 다 읽어가고 나에게는 3권이 남아 있다.
오늘 읽은 5장(개인 속의 역사, 기억으로서의 역사)에서 밑줄.
⌈우리는 '가족'이라는 고리가 너무 강하여서 '자각'을 한 여성들도 결혼을 하면 그 속에 묻혀 버린다는 것을 알고 고심했다. '의식 전환'은 아주 미약한 효과를 낼 뿐이다. 그런 면에서 어줍잖은 여성 해방적 지식은 자기 분열만 가져온다. '주변성'을 보다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여성들 자신이 가진 '주변성'에 보다 확실하게 정체성을 심어야 한다.⌋ (198)
⌈억압의 상태에서 벗어나려면 해방의 언어만 배우면 된다고 간단하게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지배 언어의 눌림 속에 만들어진 그 '말 같지 않은 말'을 알아들을 수 없는 사람이 '해방의 언어'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얼마나 큰 착각인가? 그런 착각은 '해방의 언어'를 외부에서 끌어 오는 '식민지 엘리트'들이나 할 일이다. 이제는 오히려 지배 담론에서 비껴나 있는 그 '횡설 수설'하는 말을 바탕으로 새 말을 만들어 가야 한다. 억압 상황에서 '말 같지 않게' 사용되어 온 '말'을 살려 내지 않고서, '억압'을 줄여 가고 없애 갈 것을 기대하는 것은 너무 무지한 일이라는 것을 우리는 확인했다. 그 동안 '말이 아니라고 생각해 온 말'의 형태로 자신이 해왔던 말을, 또는 생각을, 주변성을 공유한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가기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204~205)
⌈다시 나의 실험 현장인 <또 하나의 문화>로 돌아와 매듭을 지어 보자. 외부에서는 이 모임에 대해 모든 것을 다 가진 '혜택 받은 사람'들만 모여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동인 중에는 어느 누구보다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산'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것은 실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혜택을 받고 안 받고가 아닐 것이다. 각자 자신이 선 자리에서 삶의 실험을 하면서 충실하게 말을 만들어 가고 있는지, 그럼으로써 새로운 정치적 공간을 만들어 가고 있는지의 문제일 것이다.⌋ (207)
⌈사회 운동이란 역사성을 되찾는 작업이며, 일상성 속에서 개인을 역사와 연결시켜 내는 것이다. 목소리를 통일하기보다 우선 목소리를 살려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다름'을 성급하게 없애는 것은 가장 위험한 일이다.⌋ (211)
⌈지식은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론이라는 것도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 여기서 경험이란 경험 주체자가 가진 시선과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만들어진 성찰적 경험을 뜻한다. 역사란 그러한 자기 성찰적 경험을 쓰는 일이다. 경험 주체자의 적극적 기억 행위, 또는 서사 행위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고 또 경험되는 글쓰기 과정이 곧 역사 쓰기인 것이다.⌋ (213 /215)
⌈자기가 자기를 보기 어렵듯이 '중심'에서는 '중심'을 보기 힘들다. 더구나 자신이 가진 '중심'에 매달려서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고 하는 시선에는 새로운 것이 들어올 수 없다. '주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으려 할 떄는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는 것만 보인다. 그러나 일단 그 자리를 인정하면 '있는 것'이 보이기 시작한다. 자신의 '가난한' 자리가 시선의 변화에 따라 매우 풍성한 자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않고는 실은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어낼 수 없다.⌋ (220)
+ 그리고 좋은 소식. 좋으니까 조금 큰 글자로.ㅎㅎㅎ (북플에서는 죄 같은 크기로 보이겠지만....)
연휴라서 하루 일찍 발행했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