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좋을 일?!?! 

나온 지 오래 됐지만 좀더 많이 읽혀야 하는 책이 아닐까? 

2권을 다 읽어가고 나에게는 3권이 남아 있다. 

오늘 읽은 5장(개인 속의 역사, 기억으로서의 역사)에서 밑줄. 




⌈우리는 '가족'이라는 고리가 너무 강하여서 '자각'을 한 여성들도 결혼을 하면 그 속에 묻혀 버린다는 것을 알고 고심했다. '의식 전환'은 아주 미약한 효과를 낼 뿐이다. 그런 면에서 어줍잖은 여성 해방적 지식은 자기 분열만 가져온다. '주변성'을 보다 확실히 할 필요가 있다. 여성들 자신이 가진 '주변성'에 보다 확실하게 정체성을 심어야 한다.⌋ (198) 



⌈억압의 상태에서 벗어나려면 해방의 언어만 배우면 된다고 간단하게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지배 언어의 눌림 속에 만들어진 그 '말 같지 않은 말'을 알아들을 수 없는 사람이 '해방의 언어'를 만들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얼마나 큰 착각인가? 그런 착각은 '해방의 언어'를 외부에서 끌어 오는 '식민지 엘리트'들이나 할 일이다. 이제는 오히려 지배 담론에서 비껴나 있는 그 '횡설 수설'하는 말을 바탕으로 새 말을 만들어 가야 한다. 억압 상황에서 '말 같지 않게' 사용되어 온 '말'을 살려 내지 않고서, '억압'을 줄여 가고 없애 갈 것을 기대하는 것은 너무 무지한 일이라는 것을 우리는 확인했다. 그 동안 '말이 아니라고 생각해 온 말'의 형태로 자신이 해왔던 말을, 또는 생각을, 주변성을 공유한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가기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204~205)



⌈다시 나의 실험 현장인 <또 하나의 문화>로 돌아와 매듭을 지어 보자. 외부에서는 이 모임에 대해 모든 것을 다 가진 '혜택 받은 사람'들만 모여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동인 중에는 어느 누구보다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산' 사람들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것은 실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중요한 것은 혜택을 받고 안 받고가 아닐 것이다. 각자 자신이 선 자리에서 삶의 실험을 하면서 충실하게 말을 만들어 가고 있는지, 그럼으로써 새로운 정치적 공간을 만들어 가고 있는지의 문제일 것이다.⌋ (207) 



⌈사회 운동이란 역사성을 되찾는 작업이며, 일상성 속에서 개인을 역사와 연결시켜 내는 것이다. 목소리를 통일하기보다 우선 목소리를 살려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다름'을 성급하게 없애는 것은 가장 위험한 일이다.⌋ (211)



⌈지식은 경험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론이라는 것도 자신의 경험을 성찰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다. 

...... 여기서 경험이란 경험 주체자가 가진 시선과 상호 작용하는 가운데 만들어진 성찰적 경험을 뜻한다. 역사란 그러한 자기 성찰적 경험을 쓰는 일이다. 경험 주체자의 적극적 기억 행위, 또는 서사 행위에 의해 새롭게 해석되고 또 경험되는 글쓰기 과정이 곧 역사 쓰기인 것이다.⌋ (213 /215)



⌈자기가 자기를 보기 어렵듯이 '중심'에서는 '중심'을 보기 힘들다. 더구나 자신이 가진 '중심'에 매달려서 그것을 놓치지 않으려고 하는 시선에는 새로운 것이 들어올 수 없다. '주변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으려 할 떄는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는 것만 보인다. 그러나 일단 그 자리를 인정하면 '있는 것'이 보이기 시작한다. 자신의 '가난한' 자리가 시선의 변화에 따라 매우 풍성한 자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않고는 실은 근본적인 변화를 이루어낼 수 없다.⌋ (220) 







+ 그리고 좋은 소식. 좋으니까 조금 큰 글자로.ㅎㅎㅎ (북플에서는 죄 같은 크기로 보이겠지만....) 




연휴라서 하루 일찍 발행했대요!!!!! ♥️😍♥️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에나 2023-05-05 10:1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와, 저도 이 시리즈 다 있는데 진짜..명저죠. 정희진 샘도 2권은 꼭 읽어보라고 강추하신 책이고요.

밑줄그으신 부분 저도 좋아하는 부분인데요.

이 책 후반부에서인가, 저런 여성들의 글을 모으려고 했으나 결국 실패하신 이야기를 하지 않나요. 그 부분에서 좀 마음 아팠어요..저 당시 주제별로 발간된 책도 찾아서 읽어보기도 했는데, 저도 어딘가 좀 부족하다는 느낌이 들긴 했어요. 수다나 하소연, 또는 약간의 자기 자랑에서 벗어나지 못한 글들이...여성이 자기의 주변성을 치열하게 탐색하는 글이란 진짜 어려운 것이구나....아흑... 조한 샘도 어느 책에선가 그 당시 글쓰기의 한계를 지적한 게 있었는데, 어딘지 기억은 안 나네요.

대신 저 시도가 2010년대 중반부터 아닐까, 저 책 나오고 약 20년이 지난 후에서야 여성들은 자기 언어를 봇물처럼 쏟아내게 된 걸까..그런 생각 했어요.

난티나무 2023-05-05 12:05   좋아요 2 | URL
맞아요! 명저! 정희진 샘이 2권 강추하신 이유 너무 잘 알겠고요.

여성들의 글, 그렇죠. 찾아서 읽어보셨다니 와 🙌
일상 대화에서도 그렇잖아요. 수다, 하소연, 자랑… 에 그치고 마는. 말이나 글이나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가 고민이고, 결국 경험을 성찰하는 단계까지 가야 하는 일이고요. (우리가 그래서 ‘통하는 대화’에 희열을 느끼지 않습니까.ㅎㅎ )
그런데 또 한편으론… 그렇게 수다로 하소연하는 일을 후려치면 안 된다는 생각도 해요. 그게 시작점이 될 수 있고 되어야 하니까요.
말씀하신 것처럼 20년 후가 되었네요. 그래서 조혜정 샘과 이 책이 더 우러러 보였어요. 학교 수업 이야기할 때면 아 나도 그런 수업 들었었다면 하고, 또하나의문화 이야기할 때면 아 나도 그런 공부하는 데서 공부했었으면 하고, 제 8-90년대를 돌아보기도 했고요. ㅎㅎ 오프라인 공부모임 만들고 싶다는 생각도 늘 하는 거고.^^;;

댓글 반가워서 또 말이 길었어요.^^ 말하고픈 건 더 많지만 ㅋㅋ 다른 부분도 인용해서 좀 올려봐야 겠습니다. 많이 읽으면 좋겠어요!

2023-05-05 13: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5-05 19: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5-05 22:1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5-09 05:01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공쟝쟝 2023-05-05 13:3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책들이 유수님이랑 페이퍼에서 등장해서 저도 샀어요!! 😤

난티나무 2023-05-05 19:25   좋아요 0 | URL
굳!!!!!! 👍👍👍

hnine 2023-05-08 15: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글읽기와 삶읽기 정말 오래된 책인데...저 책 1권 나왔을때 읽은 세대랍니다.

난티나무 2023-05-09 05:02   좋아요 0 | URL
우어!!!! 저는 이제야 알았… ㅎㅎㅎ 전 그때 어디에 살고 있었던 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