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싶은 책들을 꺼낸다. 자꾸 꺼낸다. 어느 순간 행동을 멈춘다. 다시 꽂는다. 행동을 반복한다. 이것은 루틴이 아니라 습관이며 욕심이다. ㅋㅋㅋㅋ 


책꽂이에 아직 읽지 않은 책들이 수두룩하게 꽂혀 있다는 사실이 위안이 된다. 나는 아직 읽을 책이 많아! 그러니 눈도 아껴야 하고 체력도 비축해야 해! 목과 허리 완전 쇼듕하고!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안 읽은 책(음 읽고 싶은 책이라고 하자, 엄밀히 말해 안 읽은 책은 늘 있기는 했으니까. 다만 그것이 내 관심사가 아니었을 뿐...)이 없어서 읽은 책 또 읽기를 반복했으니 지금은 얼마나 다행이냔 말이야. 아, 이 시점에서 그 반복 읽음이 철학서이거나 페미니즘이론서였으면 참으로 정말이지 좋았을 거란 짧은 생각을 해본다. 어쩔. 소설들이었지만 그 또한 열 번 이상을 읽었다면 그 안에서 뭘 찾아도 찾았을 텐데, 그렇다, 어떤 소설도 열 번까지는 못 읽었다... 


이건 좀 다른 이야기지만 책과 관련이 있는 이야기므로 잠깐 해보자면, 여러분의 눈은 안녕하십니까? 나는 좀 안녕하지 못한 것 같다. 요즘 눈동자의 각도에 따라 자주 어지러움을 느낀다. 안경을 써도 안경을 벗어도 그렇다. 뒷머리를 자른다고 눈알을 있는 대로 옆으로 돌렸더니 그만 확 어지러워졌고, 김밥을 만다고 아래를 계속 내려다봤더니 어지러웠고, 바깥에서도 갑자기 예고없이 어지러웠다. 작년에 비슷하게 어지러웠던 적이 있다. 그땐 그런 증상이 처음이어서 눈에 이상이? 뇌에 이상이? 혹시 귀에도 이상이? 막 이러면서 건강을 걱정했는데, 지금은 아이고 내 눈 또 늙는구나, 한다. 참 다행히도 책을 읽을 때는 어지럽지 않... 다고 말하려 했더니 글쎄, 가끔 어지럽네? 독서대의 높이를 올려야 겠다. 눈이 아래로 가면 어지러워... 왜때문일까? 눈이 안녕한 생활이면 좋겠다. 뭐 눈 뿐이겠어. (노안과 관련해 어지러운 증상 겪으신 분들 체험담이 궁금합니...)


일단 읽고 싶은 책을 꺼내보았다. 




다시 말하지만, 읽을 책 아니고 읽고 '싶은' 책이다. 

이렇게 찍어놓고 다시 이 책 저 책 들쑤시다가 조용히 세 권을 뺐다. 나의 4월은 유한하고 할 일도 많은 달인 것이다. 뺀 책은 <여성의 수치심>과 <상상적 신체> 그리고 <당신의 자리는 어디입니까>. <여성의 수치심>은 지금 읽고 있는 <정동 이론> 3장이 수치심 챕터여서 급 생각나 꺼냈고 <상상적 신체>는 이 전에 읽은 책(이 뭔지 지금 기억나지 않는데 ㅠㅠ)에도 나왔고 읽고 있는 책들에도 가끔 언급되는지라, 안 그래도 꺼냈다 넣었다 했던 책인데 이번에도 미뤄지게 생겼다. ㅋㅋ <당신의 자리는 어디입니까>는 음 나중에 가볍게 낭독으로 함께 읽어도 좋을 듯해서 일단 뺌. 


그래서 4월에 시작하(려)는 책은 <행복의 약속>(여성주의읽기 4월), <말과 사물>, <미디어의 이해>이다. 4월 완독이 목표가 아니라 4월 시작이 목표다. <행복의 약속>은 조금 어렵게 느껴지기는 하지만 문장 자체가 어려운 건 아니라서 읽을 수 있을 것인데, <말과 사물>은 솔직히 조금 자신없다. 얼마 전에 2장 앞부분까지 읽으면서 물음표를 마구 찍어댔던 흔적이(기억이 아니고 흔적이 ㅎ) 있더라. 흠. 어떻게 읽을 것인지 대책은 없지만 일단 시작해 보는 것으로. 

<미디어의 이해>는 이번에 구비한 사람이 많을 듯하다. (나도 그랬..) 이 책은 함께 읽으면 좋을 것 같은데. 토론도 하고. 

<말과 사물> <미디어의 이해> 두 권을 어떤 방법으로 언제부터 읽을 것인지 고민 좀 해보고 결정해야 겠다. 4월 안에 시작하면 다행일 듯. 



읽고 있는 책들(이 뭐 이것뿐이겠냐만은...)도 일단 이만큼. 



3월 안에 다 읽으려고 용(?)을 썼으나 결국 하지 못한 <마녀>, 조금 남았다.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무엇이든 가능하다>(이거 상품에서 찾으려고 제목 뭐라고 쳤냐면 '모든 것이 가능하다' ㅋㅋㅋㅋㅋ)는 프랑스어판이기 땜시롱 언제 다 읽을지 기약이 없고, <정동 이론>은 머리 뽀개지게 읽고 있으니 아마도 (별 이변이 없다면) 4월 안에는 끝낼 것 같고. <우리의 의지에 반하여> 마저 읽어야 하는데 참 펼치기 어렵다. <글 읽기와 삶 읽기 2>는 독서모임 책이라 일주일에 한 번씩 천천히 읽고 있고. 아 다른 독서모임 책인 <불처벌>은 전자책으로 갖고 있어서 사진에 빠졌다. 


거진 머리 아픈(?) - 그러나 피가 되고 살이 된다 - 책들이라 중간중간 쉬어도 줘야 하고 놀기도 해야 한다. 4월인데!! 놀아야 하는데!!! 하늘은 푸르고! 꽃들은 피어나고! 오늘치 걷기를 돌풍과 비가 방해하고 있어 못 나가고 있다. 창밖에서 요동치는 나무가 무서워서(나무 그 자체가 아니라 나무의 움직임이 가져올 일어나지 않는(을) 미래가 불안하여 ㅋㅋ 이렇게 말하는 건 <정동 이론> 읽는 후유증(?)이다...ㅋㅋㅋㅋ) 덧문을 내렸다. 언제 그랬냐는 듯 쨘 햇살이 나더니 이내 어두워지고 가볍게 우박도 뿌리고 또 말끔하게 개었지만 바람은 여전하다. 소리로 위세를 알린다. 팔뚝운동이나 해야겠다. 아, 4월이 되면 좋지 않은 점이 있다. 그거슨 꽃.가.루. 하. 어제 바람 센 동네 한바퀴 돌고 들어와 30분동안 재채기, 콧물, 눈물, 다 뺐다. 가려움은 덤이다. 바야흐로 꽃가루의 계절.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23-04-01 2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 꽃가루 알레르기 있으시군요. 봄되면 고생이 많으시죠. 꽃보고 막 좋아서 흥분해야 하는데 알러지때문에 힘드니 참..... ㅠ.ㅠ
오늘 산에 가면서 제가 또 얘기한게 나이가 든다는건 할 수 있는 일이 줄어들고, 먹을 수 있는게 줄어드는 그런거라고 말햇거든요. 물론 제 말의 주 타켓은 등사과 술이었지만요. 눈도 그렇죠. 노안때문에 어지러운건 잘 모르겠어요. 저는 근시여서 노안이 오면 이 근시는 또 오히려 편해지는 지점도 있는지라....

저는 뭐 늘 그랬지만 4월에는 어려운 책은 행복의 약속만 읽고 좀 가볍게 가볍게 읽으려구요. 날이 가벼워지고 옷도 가벼워지니 제 정신도 가벼워지라구요. 말인지 뭔지 ㅎㅎ ㅠ.ㅠ

난티나무 2023-04-02 23:40   좋아요 1 | URL
꽃은 좋으나 꽃가루는 으...ㅎㅎㅎ 제 주변에는 송화와 겨자꽃이 최고봉인 듯합니다.^^
등산과 술!! 등산 후 술 한 잔!! 크...
저도 어쩌면 4월에는 책 많이 못 읽을 수도 있어요. 계획만 늘 거창하죠.ㅋㅋㅋㅋ

페넬로페 2023-04-02 0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지러운게 노안이 원인일수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어지러움은 귀쪽의 문제더라고요. 이명이나 이석증을 앓는 주변 지인들이 있어요~~
눈에 안 좋은게 책이 맞는데 워낙 오랫동안 책을 읽어와서 노안인데도 읽어야만 하니 이제 비문증상까지 있어 괴로워요 ㅠㅠ

프랑스는 지금이 비가 많이 오는 시기인가요? 딸아이가 계속 비 오고 바람분다고 하고, 파업이 심해 기차예약이 계속 취소된다고 그러네요^^

난티나무 2023-04-02 23:42   좋아요 1 | URL
이명은 뭐 잔잔하게 늘 친구하고 있고요.^^;;
이석증 어지러움하고는 조금 다른 것 같아서 눈을 의심하고 있어요.
프랑스는 이 즈음이 우기 삘이거든요. 원래가 비오고 바람불고 우박 쏟아지고 하는 봄인데 최근에 이상기후가 늘어나면서 작년 봄 날씨는 아주 좋았었죠. 요즘 원래 날씨로 돌아가려는지 일주일 내내 흐리고 비오고 바람 불어요.ㅎㅎㅎㅎ
여기는 시골이라 파업 분위기는 기차 취소 정도인데 대도시는 시위하고 하느라 난리예요...

책읽는나무 2023-04-03 08: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고개를 숙이면 어지러운 증상이 좀 있긴 합니다. 몇 년 된 것 같기도 하구요?
생리하기 직전이라 그런가? 늘 그리 생각하기도 했어요. 빈혈인 것도 같아서요.
빈혈수치는 그리 나쁘진 않은데, 철분 저장소? 뭐 그런 곳이 수치가 안좋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어지럽다고 여겼었는데... 작년부터 눈이 넘 침침하고 눈이 시려 시력저하인가? 싶어 안경점에 가서 안경 렌즈를 다시 손봤거든요. 그 때, 사선 각도라고 해야 하나요? 암튼 각도에 따라 시력이 달라진다는 걸 알게 되었네요. 노안은 더 심해진 단계라고 하고...암튼 렌즈 다시 교체하니까 고개를 숙여 책을 읽으니 어지러운 증상이 좀 덜해진 것도 같구요?! 정확한 건 잘 모르겠네요. 그러다 몇 달 지났다고, 다시 눈이 침침해진 것 같고, 또 어지러운 것도 같고? 심리적인 건지? 노안이 심해져 시력이 안맞는 건지? 좀체 알 수가 없네요^^;;;
그리고 <무엇이든 가능하다> 저도 난티님과 비슷한 제목으로 <모든 것은 가능하다>로 항상 그렇게 튀어나오더라구요ㅋㅋㅋ
제목이 왜 자꾸 헷갈릴까? 그런 생각 했었어요ㅋㅋㅋ

<정동 이론> 그 유명한 <정동 이론> ㅋㅋㅋ
피가 살이 된다는 말씀 명심하고 갑니다^^

난티나무 2023-04-03 19:28   좋아요 1 | URL
아 맞아요 책읽는나무님, 각도에 따라 시력이 달라진다는 거, 실감하는 요즘입니다.ㅠㅠ 노화의 한 단계인 듯해요... 퓨퓨
안경 다시 하면 또 적응하느라 어지러울 텐데 ㅎㅎㅎㅎ 어쨌거나 안과 검사 약속은 잡아놨으니 안경을 다시 하든지 무슨 수를 내야지 못 살겠어요...^^;;

책 제목 진짜 어떻게 해도 안 외워지는 거 있잖아요.ㅋㅋㅋㅋ 물론 스트라우트 책은 가끔 헷갈리는 쪽에 속하지만 ㅎㅎ 예를 들면 지난 달 책 <남성 특권>도 그렇고요. 크크
<정동 이론>이 유명한가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