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연, <마음에 없는 소리> 



소설집 전체에 간략하게 감상을 남기려고 창을 열었는데, 처음엔 감흥이 적었던 첫 단편을 다시 훑는 사이 슬금슬금 또다른 감정들이 피어올라 글이 길어졌다.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



=======

"근처 조선소가 망한 뒤론 다 빠져나갔어요. 여긴 그전부터 어차피 나 같은 늙은이들뿐이긴 했지만 그래도 오며 가며 들르는 사람들이 있었거든. 근데 이제는 볼 것도 없고 살 것도 없어서 아무도 안 오지."

...

"겨우 오는 사람들이래봤자 쓰레기 투기를 하려는 놈들뿐이야. 저기 좀 봐. 여기다 다 버리고 간다니까. 소파, 냉장고, 자전거 같은 것도 다. 그것뿐이게? 개나 고양이도 버려. 하여튼 별의별 걸 다 버리고 가. 요 앞바다도 나 어릴 땐 저 바닥까지 투명했는데 더럽고 냄새나고 똥물 다 됐지."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

======= 


뜬금없지만, 쓰레기 버리고 다니지 말자. 자기가 머물렀던 공간에 쓰레기 흔적을 남기지 않는 것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집안이나 골목이나 대로이거나 시장이거나 회사이거나 여행지이거나, 세상 어느 곳에서든. 쓰레기를 남기면서 다니기 싫으면 물건 구매를 자제하자. 인간은 정말, 환경을 너무 오염시키고 있다. 이것은 나에게도 하는 말이다. 쓰레기 투척뿐만 아니라 함부로 '침범'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도 눈에 들어온다. 예의란, 배려란 무엇인가 계속 묻게 된다.



=======

상주는 내 지인 중 나에 대해 가장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었다. 나와 진영의 관계를 아는 유일한 사람이기도 했다. 왜 친한 사람들에게도 커밍아웃하지 않냐며, 요즘 세상에 숨기고 사는 게 더 촌스러운 거 아니냐고 말했을 때는 다시 보지 않으려고 했었다. 나는 상주에게 너는 편협한 인간이라고, 너의 세상은 좁고 너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사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네 주변에는 '진보' 성향의 사람들만 있어서 다 동성애에 '찬성'하는지 모르겠지만 교원 사회가 얼마나 보수적인 덴지 모르냐고. 조금만 이상한 소문이 돌아도 학부모들이 나를 자르라고 탄원을 해올 것이라고. 그러면 가르치는 일로밖에 벌어먹고 살 줄 모르는 나는 이 사회에서 살아갈 수가 없게 될 거라고. 상주는 그 말들에 다 동의했지만 내게 사과를 하지는 않았다. 너 역시도 보고 싶은 것만 보며 좁게 살지 않냐고 되물었을 뿐이다. 그 말은 오랫동안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맞는 말이었다. 나는 좁게 살아간다. 비밀 첩보원처럼. 들키지 않으려고. 그래서 계속 촌스럽게만 남아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

=======


이렇게 말하면 너무 좁은 의미의 혹은 소설과는 다르게 지나치게 넓은 의미의 문장이 될 수도 있겠으나, 우리는 누구나 '커밍아웃'하지 못하는 일 한두 개쯤 가슴에 품고 사는 것같다. 슬프다. '커밍아웃'할 수 있지만 그 이후 휘몰아칠 사회적 폭풍을 감당해내기는 어렵다. 그것이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면 더더욱. 그것이 '여성'과 관련된 문제라면 더더욱. 그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도. "나는 좁게 살아간다. 비밀 첩보원처럼. 들키지 않으려고. 그래서 계속 촌스럽게만 남아 있는지도 모른다."



=======

다만 치료받은 일을 말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걱정할까 봐 그랬다고만 했다. 진영은 화를 냈다.

"그래도 말했어야지."

"뭐하러 그래. 별일도 아닌데 괜히 걱정하고. 마음 졸이고."

진영은 다시 또 담배 한 개비를 꺼내 물었다.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서 불을 붙이는 데 좀 애를 먹었다.

"마음 졸이게 했어야지."

"뭐하러."

"같이 졸이게 해줬어야지."

나는 더 할말도 없고 더 하고 싶지도 않아서 자리에서 일어났다.

"일어나, 그만 가자."

진영은 내 얼굴을 빤히 올려다보다가 자리에서 일어났다.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

=======


진영의 마음을 이해한다. 얼굴을 빤히 올려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지, 짐작이 간다. 생각하기에 따라, 별일 아닌 것은 없다. 모든 크고작은 일들이, 한 마디 말이, 몸짓이, 별일이다.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조차 사람마다 기준이 다른 일이 된다. 어떤 일 앞에서는 솔직하고 어떤 다른 일 앞에서는 솔직하지 못한 태도가, 정말 그 사람을 배려하는 일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

우리는 수영은 못하고 해변을 걷기만 하다가 돌아올지도 모른다. 아무리 여름이래도 밤의 바다는 추울 테고 일 년 사이 더 늙어 있을 우리에게 호기나 오기 같은 건, 충동적인 농담 같은 건 남아 있지 않을지도 모른다.

대신 우리는 함께 해변을 걷다가 쓸모없는 것들을 잔뜩 주울지도 모른다. 예쁜 소라 껍데기를 하나 주워올 수 있을지도 모른다. 주워온 소라 껍데기를 서랍 속 상자에 잘 넣어두었다가 생각날 때마다 한번씩 꺼내 귀에 갖다대고 파도 소리를 듣고 또 서로에게 들려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

=======


"그런데 왜 다 벗고 수영을 하고 싶었어?"

묻지 않아도, 대답하지 않아도, 그 마음이 느껴진다. 내가 생각하는 이유가 아니더라도, '나'의 감정이 어떤 것인지 잘 몰라도, 어슴푸레하게 짚이는 지점들. 소설 속 인물들은 끝내 나체수영을 하지 못했다. 읽는 내내 그 일에 성공(?)하기를 바랬지만 성공했더라도 진영와 화자의 관계는 변함없었을 거라 생각했다. 그랬다면 혹여 '나'는 조금 더 자유로워질 수 있었을까? 함께 한다는 건 그토록 어려운 일이다. 해변에서 주운 소라껍데기는 상자에 들어가는 순간 잊혀질 테고 오랜 시간이 지나 다시 꺼냈을 때는 어디서 누구와 가져왔는지도 기억나지 않을 수 있다. 기억난다 하더라도 그때의 애틋한 마음은 증발했을 수 있다. 해변에서 무엇이든 '쓸모없는 것들'을 줍고 싶은 마음은 무엇인지, 어째서 많은 사람들이 '쓸모없는 것들'을 줍는지, 잠시 생각했다. 욕실 거울선반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아무렇게나 놓여있는 조개껍데기 몇 개가 떠오른다. 어디서 주워왔더라. 이젠 알 수 없는 일이 되어버렸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2-07-09 06:1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리에게는 말하고싶지 않은 것을 말하지않을 권리도 있다는걸 왜 사람들은 망각할까요? 커밍아웃만이 권리가 아니라 커밍아웃하지 않을 권리도 있닪아요. 아주 사소한거라 하더라도..... 단편들 중에서는 이렇게 자꾸 곱씹게 되는 글들이 있는거같아요. 뭔가 내 마음을 건들이는거겠죠. ㅎㅎ
여기는 툐요일 주말 아침입니다. 거긴 금요일 밤이네요. 푹 주무시고 즐거운 주말 맞으세요

난티나무 2022-07-09 06:35   좋아요 2 | URL
바람돌이님 말씀 맞는 말씀!!!! 말하지 않을 권리, 말할 수 있는 권리와 함께,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 늘 좋은 말씀 늠 감사해요~
어느새 주말이군요. 덥지만 마음은 시원한 주말 보내시길~!^^

공쟝쟝 2022-07-10 02:48   좋아요 1 | URL
저도 같은 마음입니다. 말하고 싶지 않은 것을 말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미투… 이후를 조금 더 생각하게 되요. 누군가의 말함이 나의 말하지 않음을 들쑤시는 순간…. 들을…
저는 책을 많이 읽는 여자들, 많이 이해하는 여자들, 그러나 말하기 싫은 말할 수 없는 여자들이 글을 쓰길 바랍니다.
하고 싶은 말을 감추고 싶어하면서도 감춘 부분으로 하는 말을 쓸 수 있는 글을 쓸 수 있고 그것은 불가해하더라도 여성이라면 감응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쓰지 않으면 모릅니다. 그리고 잘 쓴다는 기준도 남성의 기준일지도 몰라요.
소설이든 산문이든 시이든… 말하지 않고 싶은 것들을 꼭 같은 방식으로 말할/말하지않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 허용하는 만큼의 용기를 쓰는 난티님을 응원하겠습니다. 정확히 그 지점에서 감응하는 분들이 있다는 걸 더 믿어보시길 💕

난티나무 2022-07-10 06:32   좋아요 0 | URL
공쟝쟝님 말씀에도 동감!
말하고 싶지 않은 것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거. 잘 하고 싶다!ㅋ
말하기 ‘치사‘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에 관심을 갖고 있어요. 말해봤자 달라지는 것도 없고 알아듣는 것도 아닌, 자칫 잘못하면 찌질하다고 여겨지는 것들. 일상 속 문제들. 그러나 전혀 사소한 일이 아닌 것들이요. 말하지 않으면 계속 같은 상황 속에 살게 되니까. 적절한 방식으로 꼭 표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어떻게든 표현해 보고 싶어요.
이 소설집도 그렇게 ‘표현‘되었다고 생각해요. 관계 속의 미묘함과 어긋나는 모습들을 잘 포착했다는 느낌이 들었거든요.
다른 방식으로 말하기! 저도 원합니다!ㅎㅎㅎ 계속 쓰자!!!!!

그레이스 2022-07-09 08: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인간이 쓰다가 버린 것들과 조개껍데기, 둘다 원래의 쓸모를 다했지만 왜 다를까? 라는 생각이...!

난티나무 2022-07-09 15:35   좋아요 2 | URL
조개껍데기 같은 것은 ‘쓸모없는 것’이라는 생각도 인간 중심적 시각 같아요. 일단 자연의 일부이고…. 생명은 다했지만 해변에서 오랜 시간 물에 쓸리면서 바람에 쓸리면서 조금씩 먼지가 되어가는 것일 텐데, 그걸 그 자리에서 이동시키는 순간부터 그럴 수가 없어지니까요. 소설에서는 조개껍데기 말고도 마모된 유리조각, 라이터 같은, 사람들이 버린 물건 흔적들도 나와요. 소설적 장치이겠지만. 그레이스님 댓글에 생각이 많아지네요.^^ 저는 욕실의 조개껍데기를 보면서 다음부터는 주워오지 말아야지 늘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