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연, <마음에 없는 소리>
소설집 전체에 간략하게 감상을 남기려고 창을 열었는데, 처음엔 감흥이 적었던 첫 단편을 다시 훑는 사이 슬금슬금 또다른 감정들이 피어올라 글이 길어졌다.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
=======
"근처 조선소가 망한 뒤론 다 빠져나갔어요. 여긴 그전부터 어차피 나 같은 늙은이들뿐이긴 했지만 그래도 오며 가며 들르는 사람들이 있었거든. 근데 이제는 볼 것도 없고 살 것도 없어서 아무도 안 오지."
...
"겨우 오는 사람들이래봤자 쓰레기 투기를 하려는 놈들뿐이야. 저기 좀 봐. 여기다 다 버리고 간다니까. 소파, 냉장고, 자전거 같은 것도 다. 그것뿐이게? 개나 고양이도 버려. 하여튼 별의별 걸 다 버리고 가. 요 앞바다도 나 어릴 땐 저 바닥까지 투명했는데 더럽고 냄새나고 똥물 다 됐지."
=======
뜬금없지만, 쓰레기 버리고 다니지 말자. 자기가 머물렀던 공간에 쓰레기 흔적을 남기지 않는 것은 기본 중에 기본이다. 집안이나 골목이나 대로이거나 시장이거나 회사이거나 여행지이거나, 세상 어느 곳에서든. 쓰레기를 남기면서 다니기 싫으면 물건 구매를 자제하자. 인간은 정말, 환경을 너무 오염시키고 있다. 이것은 나에게도 하는 말이다. 쓰레기 투척뿐만 아니라 함부로 '침범'하는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도 눈에 들어온다. 예의란, 배려란 무엇인가 계속 묻게 된다.
=======
상주는 내 지인 중 나에 대해 가장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었다. 나와 진영의 관계를 아는 유일한 사람이기도 했다. 왜 친한 사람들에게도 커밍아웃하지 않냐며, 요즘 세상에 숨기고 사는 게 더 촌스러운 거 아니냐고 말했을 때는 다시 보지 않으려고 했었다. 나는 상주에게 너는 편협한 인간이라고, 너의 세상은 좁고 너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사는 사람이라고 말했다. 네 주변에는 '진보' 성향의 사람들만 있어서 다 동성애에 '찬성'하는지 모르겠지만 교원 사회가 얼마나 보수적인 덴지 모르냐고. 조금만 이상한 소문이 돌아도 학부모들이 나를 자르라고 탄원을 해올 것이라고. 그러면 가르치는 일로밖에 벌어먹고 살 줄 모르는 나는 이 사회에서 살아갈 수가 없게 될 거라고. 상주는 그 말들에 다 동의했지만 내게 사과를 하지는 않았다. 너 역시도 보고 싶은 것만 보며 좁게 살지 않냐고 되물었을 뿐이다. 그 말은 오랫동안 뇌리에서 사라지지 않았다. 맞는 말이었다. 나는 좁게 살아간다. 비밀 첩보원처럼. 들키지 않으려고. 그래서 계속 촌스럽게만 남아 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해변에서 주운 쓸모없는 것들」
=======
이렇게 말하면 너무 좁은 의미의 혹은 소설과는 다르게 지나치게 넓은 의미의 문장이 될 수도 있겠으나, 우리는 누구나 '커밍아웃'하지 못하는 일 한두 개쯤 가슴에 품고 사는 것같다. 슬프다. '커밍아웃'할 수 있지만 그 이후 휘몰아칠 사회적 폭풍을 감당해내기는 어렵다. 그것이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라면 더더욱. 그것이 '여성'과 관련된 문제라면 더더욱. 그저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도. "나는 좁게 살아간다. 비밀 첩보원처럼. 들키지 않으려고. 그래서 계속 촌스럽게만 남아 있는지도 모른다."
=======
다만 치료받은 일을 말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걱정할까 봐 그랬다고만 했다. 진영은 화를 냈다.
"그래도 말했어야지."
"뭐하러 그래. 별일도 아닌데 괜히 걱정하고. 마음 졸이고."
진영은 다시 또 담배 한 개비를 꺼내 물었다. 바람이 너무 많이 불어서 불을 붙이는 데 좀 애를 먹었다.
"마음 졸이게 했어야지."
"뭐하러."
"같이 졸이게 해줬어야지."
나는 더 할말도 없고 더 하고 싶지도 않아서 자리에서 일어났다.
"일어나, 그만 가자."
진영은 내 얼굴을 빤히 올려다보다가 자리에서 일어났다.
=======
진영의 마음을 이해한다. 얼굴을 빤히 올려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지, 짐작이 간다. 생각하기에 따라, 별일 아닌 것은 없다. 모든 크고작은 일들이, 한 마디 말이, 몸짓이, 별일이다.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조차 사람마다 기준이 다른 일이 된다. 어떤 일 앞에서는 솔직하고 어떤 다른 일 앞에서는 솔직하지 못한 태도가, 정말 그 사람을 배려하는 일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
우리는 수영은 못하고 해변을 걷기만 하다가 돌아올지도 모른다. 아무리 여름이래도 밤의 바다는 추울 테고 일 년 사이 더 늙어 있을 우리에게 호기나 오기 같은 건, 충동적인 농담 같은 건 남아 있지 않을지도 모른다.
대신 우리는 함께 해변을 걷다가 쓸모없는 것들을 잔뜩 주울지도 모른다. 예쁜 소라 껍데기를 하나 주워올 수 있을지도 모른다. 주워온 소라 껍데기를 서랍 속 상자에 잘 넣어두었다가 생각날 때마다 한번씩 꺼내 귀에 갖다대고 파도 소리를 듣고 또 서로에게 들려줄 수 있을지도 모른다.
=======
"그런데 왜 다 벗고 수영을 하고 싶었어?"
묻지 않아도, 대답하지 않아도, 그 마음이 느껴진다. 내가 생각하는 이유가 아니더라도, '나'의 감정이 어떤 것인지 잘 몰라도, 어슴푸레하게 짚이는 지점들. 소설 속 인물들은 끝내 나체수영을 하지 못했다. 읽는 내내 그 일에 성공(?)하기를 바랬지만 성공했더라도 진영와 화자의 관계는 변함없었을 거라 생각했다. 그랬다면 혹여 '나'는 조금 더 자유로워질 수 있었을까? 함께 한다는 건 그토록 어려운 일이다. 해변에서 주운 소라껍데기는 상자에 들어가는 순간 잊혀질 테고 오랜 시간이 지나 다시 꺼냈을 때는 어디서 누구와 가져왔는지도 기억나지 않을 수 있다. 기억난다 하더라도 그때의 애틋한 마음은 증발했을 수 있다. 해변에서 무엇이든 '쓸모없는 것들'을 줍고 싶은 마음은 무엇인지, 어째서 많은 사람들이 '쓸모없는 것들'을 줍는지, 잠시 생각했다. 욕실 거울선반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아무렇게나 놓여있는 조개껍데기 몇 개가 떠오른다. 어디서 주워왔더라. 이젠 알 수 없는 일이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