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금 늦게 잠이 깨어 침대 안에서 뒹굴거리며 아침일기를 적다가. 생각이 생각을 타고 흘러버리는 바람에 떠오르는 옛 기억의 단편들. 그만 울어버렸다. 한번 흐르기 시작한 눈물은 왜 쉽게 멈추지 않는 걸까. 기억에서 벗어나는 혹은 기억을 이겨버리는 뭐 그런 일은 앞으로도 어려울까. 눈물도 쉼표를 찍기는 한다. 그러다 또 흐른다. 그렇게 아침부터 울고 났더니 눈이 퀭, 빡빡, 뻐근, 또 무슨 표현이 있을까. 머리도 띵 하고. 울음은 피곤하다. 몸 뿐 아니라 정신도. 울고 나면 쉬어야 한다. 그래서 오늘 오전에는 책을 거른다. 사강도 읽어야 하고 육식도 읽어야 하고 오늘 반납인 빌린 책들도 봐야 하지만, 일단.
칙피를 오븐에 구우면 맛있다고 해서 어제 불려놓은 걸 구웠다. 실패다. 검색하면 오븐에 구워 맛난 간식으로 먹어요는 많은데 실패한 후기는 없나? 잘못하면 안그래도 약한 이 다 나갈 것 같다. 갈아서 스프나 끓여야 겠다. 여담이지만 칙피는 병아리콩이다. 칙, 병아리. 튀어나온 부분이 병아리 주둥이를 닮았다나. 며칠 전 식탁에 콩 무더기가 놓여있었는데 이름 이야기 하다가 병아리 머리를 닮아서 이름이 병아리콩이래, 옆지기가 말했다. 순간 그 많은 콩들이 다 병아리 머리(만으)로 보이는 기현상이 일어나 몸을 떨었다. 으, 병아리콩이라고 안 하고 싶다. 하... 이름 왜 이런 거예요. 새로 지을 수는 없나요. 이런 생각.
오븐 켠 김에 이어서 빵을 굽는다. 가끔 굽는다. 빵은 먹고 싶은데 시판 식빵은 한쪽만 먹어도 느끼해서 손을 못 댈 때, 커피에 무척 곁들이고 싶을 때, 아침으로 먹을 게 없다 싶을 때, 동네에 빵집이 없는 게 원통할 때, 기타등등 기타등등. 오븐 켠 김에 빵을 구우려면 후딱후딱빵이 제격이다. 발효는 기본 2시간은 걸리니. 미리미리 준비하는 거 왤케 못하지. 밀가루 말고 쌀가루 메밀가루 콩가루 있는 가루 대충 넣고 소금 조금 넣고 두유에 레몬즙 뿌려두었다가 몽글몽글해지면 넣고 오늘은 메밀효모랄까 이스트랄까 아 효모와 이스트의 차이는 뭐지 같은 건가 다른 건가, 아무튼 좀 넣고 대충 버무려 틀에 담고 오븐에 넣는다. 구워질 때까지 구우면 끝. 섞어서 바로 구울 수 있어 자주 이렇게 한다. 결과물은 사진과 같다.

딱딱하고 갈라진 흙바닥을 보는 것 같기도 하지만 저래보여도 겉바속촉이다. 느즈막이 커피 비슷한 검은물 한 잔과 빵을 먹고 나니 12시가 다 되어 가는 시간. 아직도 눈이 피곤하다. 울어서 그런 건지 몸이 피곤한 건지 구분이 되지 않는다. 새벽에 두 번이나 깨서 그런가. 잠귀가 얇고 숙면을 하기 어려운 그 이야기를 쓰고 있었는데. 이유를 곰곰이 생각하다가 울어버렸는데. 몇시간이 지나고서도 새벽에 깨서 피곤한가 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코끝은 아려오다니. 오늘은 글렀다. 밥이나 하자. 어제 저녁에는 쌀이랑 잡곡이랑 다 씻어서 담가놓았다. 사실 어제도 잊어버려서 저녁에 담궈논 쌀이 없었... 그래서 국수 해먹고 나서 담가놓은 것이 바로 그것. 하하. 역시 난 미리미리에 약해.
써놓고 보니 일기인데 이걸 이렇게 써서 올릴 일인가 싶어 또 고민해 본다. 나 혼자 몰래 쓰는 일기도 결국 읽히는 대상(나)이 있다고 하니, 세상의 모든 글은 누군가가 읽기를 바라고 쓰는 글이다,라는 말도 맞는 것 같고. 슬픔이라는 하나의 단어 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오늘 오전의 감정들을 누군가와 나누고 싶으나, 가까운 사람들에게 나 이런 생각이 들어서, 그게 맞을까 봐 슬프고 슬펐다고 말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나 싶고. 의미가 있다면 그 의미가 제대로 전달이나 되려나 싶고. 의미는 또 뭔가 싶기도 하고. 다 무슨 소용이야 결국 이런 마음. 허전하고 덧없다. 생각은 왜 하노. ㅠㅠ
그러므로 오늘은 빵을 구웠답니다. 책은 못(안) 읽었어요. 하하하. 그렇지만 오후가 있으니까요. 그 오후에는 어쩌면 쪽잠을 잘 지도 모르겠지만요. 어제 알라딘을 헤매다가 멋져보이는 책을 발견했어요. 정말 멋진지 보려면 사야 겠지요? 책 사러 갑니다~~~!! (책 이야기로 마무리했으니, 앞이야 어찌 됐든,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