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으려 해도 집중이 안된다고 징징 짰더니 스스로 반성했나 보다. 냅두고 있던 코맥 매카시의 [평원의 도시들]을 완독했다. 초반을 넘기자 중후반은 쉽게 읽을 수 있었다.
영화화하기에 좋은 소설 같았다. 영화화된다고도 하고. ...
젊고 따뜻한 인성을 가진 청년 존의 힘겨운 사랑, 좌절, 안타깝게 곁에서 지켜봐야 하는 형과 같은 빌리. 기본적으로 두 사람의 이야기이니까.
존은 막달레나와의 결혼을 계획하며 막달레나의 대부가 돼달라고 바의 마에스트로에게 부탁한다. 눈 먼 노인인 마에스트로의 세상에 대한 혜안을 존경한 것이다.
마에스트로는 존의 사랑이 무모하리만큼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음을 잘 안다. 그래서 말한다.
"당신의 사랑에는 친구가 없소......."
존은 묻는다. "제가 머저리라고 생각하시는군요."
그러자 마에스트로는 말한다.
"아니 그렇지 않소. ...... 사람이 사랑을 추구할 때는 언제나 옳은 법이오."
"설령 그 때문에 죽어도요?"
"그래요. 그리 생각하오. 설령 그 때문에 죽어도."
이런 사랑은 '노스탤지어'일까?
코맥 매카시의 다른 작품들을 잘 모르지만, 이 책에서 존의 사랑의 행로에 대한 태도는 일단은 숭고함을 표하는 듯했다.
이 시대에 우리에게 사랑은 도대체 어떤 가치를 갖는 걸까?
관련하여 얼마 전 한겨레 논설위원 김선주의 글과 장정일이 강연에서 한 얘기를 놓고 요즘 젊은이들의 반응은 일단을 느끼게 해주지 않을까 싶다.
그래도 사랑들은 하는 거 아닐까?
미국 현대소설과 작가들에 대한 글들을 좀 보려고 했더니 논문들이나 봐야 하는 것 같다. 단행본 책으로는 ... 더 찾아봐야 할 듯.

헤럴드블룸의 [교양인의 책읽기]에서 다룬 코맥 매카시의 작품이 [피의 오후]라는데 뭐지?
코맥 매카시의 책은 앞으로 [로드]와 [핏빛 자오선] 정도 더 볼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