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아침 기사 검색하다 <씨네21>에 실린, 영화 <나는 비와 함께 간다>에 대한 리뷰 [인간의 고통과 구원에 대한 집요한 물음](이화정)을 읽었다. 조쉬 하트넷과 이병헌, 기무라 타쿠야 세 명의 등장으로 화제를 몰았던 영화지만 감독은 트란 안 홍이다. 너무나 오랜만에 만나는 그의 영화다. 리뷰에서 '근래 들어 가장 용감한 그의 도전'이라고 했는데 나는 이 말에 십분 동의한다. 맞는 말이다. 근래들어 이런 영화를 만드는 것은 용감한 일이다. 근래의 한국 영화들에서는 더더군다나 찾아볼 수 없는 용감한 영화다. 영화라는 스펙트럼에는 이런 영화도 있는 거다. 한국에서는 점점 희귀해져가고 있는 영화. 정성일이 '교양'으로 봐줬으면 한다는 자신의 영화 <카페 느와르>가 어떤 모습을 띄고 있을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대놓고 말하지 않고 영화로 말하는 이들의 영화가 더 울리는 법이다.   

한국영화를 통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의 고통이나 구원에 대해 생각해 볼 일은 별로 없는 듯하다. 우리는 영화에서 그런 걸 찾거나 보고 싶어 하지 않는 것 같다.

이렇게 말하지만, <나는 비와 함께 간다>가 아주 뛰어난 영화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영상미의 배경으로 전락한 오지와 원주민들의 모습은 불편하고 날 것처럼 들이대는 감독의 '체'하는 버릇도 괘씸하게 느껴지지 않는 건 아니지만 - 게다가 부인인 트란 누엔케는 꼭 캐스팅 했어야 했는지... -, 그리고 꼭 예수의 얘기를 통해 구원이니 이런 얘기를 해야 하는지 보는 내내 답답함을 느끼긴 했지만 그래도 좋았다.  

고통없는 구원이란 이를 수 없는 것일까? 명랑한 캐릭터라곤 단 한 명도 나오지 않고 내내 무겁고 'thinking'만 하는 인물들로 가득 찬 이런 영화를 만들 수 있었다는 사실만으로 그저 감탄하며 봤던 영화다.  

트란 안홍의 다음 영화작업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 영화화다. 난 일단 예약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락방 2009-10-20 12: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영화에 대한 다른분들의 평을 좀 읽어보고 싶었어요. 왜냐하면 저는 영화보는 내내 불편했고, 집중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대체 무슨 말을 하려는지를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누군가에게 좀 설명을 듣고 싶었어요. 저는 영상미도 느낄수가 없었구요, 여자주인공(이라고 해야하겠죠?)릴리의 연기는 영화를 보다가 자꾸 옆길로 새는 것 같고 말이죠.

마지막 장면을 보면서도 좀 난감했어요. 왜 뜬금없이 예수의 부활을?

포스트잇님의 이 페이퍼를 읽으니 무슨말인지 좀 감이 잡히는 듯도 하지만 역시 이 영화는 제게 지나치게 어려운 것 같아요. 그런데 다음 작품이 상실의 시대라구요? 오, 이 작품은 어려웠지만 상실의 시대도 봐야겠어요.

이 영화에 대한 포스팅을 만나 반가운 마음에 댓글 남깁니다. :)

포스트잇 2009-10-20 17:56   좋아요 0 | URL
아,불친절한 글인데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트란안홍의 이번 영화는 예전 그의 영화보다 훨씬 더 풀어서 설명해주고 보여줬다고는 생각하는데,그게 예수니 구원이니 뭐 이런 얘기를 하는 게 저는 그닥 흥미롭지는 않았지만 대신에 캐릭터와 캐릭터가 지닌 사연을 압축해가며 스토리를 진전시켜 나가는 방식을 저는 재밌게 봤습니다. 트란안홍이 변한건지 아니면 그도 투자받아 제작하고 상영할 수 있기 위해 어느 정도는 자신의 창작 방식에 변화를 줘야 한다고 의식을 한건지,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이번 그의 영화를 보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그래서 트란안홍이 만들 <상실의 시대>가 더 궁금해지고 기대되고요.
별탈없이 투자받아 제작되고 빠른 시일 내에 만나볼 수 있길 바랄 뿐입니다.
다락방님, 영화 좋아하시고 저보다 훨씬 많이 보시는 것 같은데, <상실의 시대>도 함께 두 손 모아 기대해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