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에 읽은 마지막 책은 [정유정, 이야기를 이야기하다]일 것이다.

정유정 작가의 소설을 그래도 꼬박꼬박 읽어왔다. 우리 작가이고 스릴러 장르에서 대중적 지지를 받는 작가이니 읽어볼 필요가 있는 작가라고 생각해왔다.

이 책은 지승호와 정유정의 대담을 엮은 책이다.

작가 정유정이 작업하는 방식에 대해 궁금했다면 썩 좋은책일 것이다.

한번이라도 작업을 해본 사람이라면 새로운 방법을 얻을 건 없을 듯하다.

소설을 쓰고자 한다면 자신이 좋아하는 혹은 가장 많이 읽는(무의식적으로 찾는다는 의미니 자기에 대해 많은 걸 알려줄 거다) 작가의 글을 '해부하듯이' 분석하고 읽어가며 배우는 방법이 우선이고 도움이 될 거라고 본다.

정유정도 말한다, 너덜너덜하게 읽고 또 읽으며 공부했다고. 정유정의 경우는 스티븐 킹이었다.

 

정유정 작가가 끌리는 것이 나와 비슷해서 놀랐다.

 

대부분의 작가들은 하두 가지의 테마 - 자신만의 세계 - 를 평생토록 변주한다고 한다. 헤밍웨이는죽음에 직면한 인간에 대해, 디킨스는 가족 혹은 아버지를 찾아 헤매는 소년의 이야기를, 스티븐 킹은 인간 심연에 잠재하는 공포에 대해 일관되게 그려냈다. 나는 인간 본성의 어둠과 그에 저항하는 '자유의지'에 관심이 많다. (61)

 

나는 기본적으로 대중적 정서의 방향이 제시된 이야기에는 욕망을 느끼지 못한다. 행복이라든가, 평범한 일상이라든가, 아름다운 연인의 완벽한 사랑이라든가, 도덕적이고 고결한 삶이라든가.

내가 좋아하는 것은 이런 것이다. 운명의 변덕에 휘둘린 불운한 인간, 최선을 두고도 파멸로 치달아버리는 어리석은 인간, 욕망에 눈멀어 자신을 내던지는 무모한 인간, 참혹한 상황 속에서도 지키고자 하는 것을 기어코 지켜내는 인간, 추하고 졸렬한 민낯을 드러낸 야만적인 인간, 죽음 앞에서 분노하고 두려워하는 남루한 인간.... (63)

 

나 역시 추락하는 인간, 파멸로 치닫는 인간에 끌린다.

왜 그러는가? 운명인가? 그에 저항하는 '자유의지'는 .. 잘 모르겠다. 오히려 저항하려는 의지조차 없는, 아니 차라리, 의지조차 세울 수 없는 인간을 궁금해한다. 그냥 파멸하고 마는 인간, 추락하고 마는 인간. 이 차이가 중요하다. 여기서 갈라진다.

왜 그러는가? 무엇이 그렇게 만드는가? 그것이 이야기가 되겠는가? 이 주제에 천착했던 작가들의 작품을 찾아 읽는 것이 먼저일 것이다.

예전엔 분명 그랬다. 몇년전만해도. 얼마전까지만 해도. 지금도 그런가? 문득 지금 나의 관심사를 돌아봤다.

 

정유정 작가가 아름다우면서도 정확한 문장을 쓰는 작가로 추천한 조용호 작가의 책 몇권을 주문했다.

처음 만나는 작가다.

 

 

 기본서. 오래전에 쓰여진 책이어서 예로 든 영화들도 아마 지금 세대들에겐 그저 옛날 영화들이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기본을 생각하게 하는 책.

 

 

 

 

 

 

 

 

 

 

 

 

 

 

 

 

 

 

 

 

 

 

 

정유정 작가의 소설은 지금까지 마음산책 출판사에서만 나왔다. 전속작가같은 셈.

제목을 잘 짓는 작가는 아니어서 [7년의 밤] 같은 경우 작가가 생각한 제목은 '해피 버쓰데이' 였다고.

7년의 밤은 편집자가 제안한 제목이었다. 이런 편집자를 만나고 출판사를 만난다는 건 작가의 행운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8-07-22 15: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가들의 주제 천착...정말 그런 것이 나보코프, 곰브로비치, 필립 로스, 바타유, (밀란 쿤데라도 혐의 짙음) 어느 책을 봐도 성욕을 둘러싼 욕망에서 떠나지 않아 어째서 이렇게까지...싶을 때가 많아요. 그래서 그들의 전작 읽기는 ‘그들은 어떤 끝장까지 도달하는가‘를 보는 맛이 있죠.

포스트잇 2018-07-22 16:02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저마다 천착하고 싶은 주제가 있는듯요. 그걸 어떻게 다루고 어디까지 가는지 궁금해서 읽구요.
성욕의 끝장... ;;; 별 생각 없었는데, 급궁금해지기도 하네요.
나중에 전작읽기 끝내시고 알려주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