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 신화
하워드 슐츠 외 지음, 홍순명 옮김 / 김영사 / 199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빈민가에서 자라서 세계의 커피시장을 뒤엎은 스타벅스의 하워드 슐츠의 성공이야기다.
 

결혼 전에 카페에 참 많이 갔었다.
커피 맛이 좋아서 갔다기 보다 근사한 카페 분위기를 찾아 다녔었다.
서울을 벗어나 서울 근교의 한적한 카페를 찾아 가서 음식값보다 더 비싼 커피값을 치르면서도

사실상 커피 맛을 음미할 줄도 몰랐다.
그저 예쁜 까페, 멋진 자연경관에 감탄을 했을 뿐이었나 보다.
그러다 어느 날.. 초록색이 잘 어우러진 예쁜 간판이 하나 둘 씩 눈에 띄기 시작했다.
그 커피점 이름이 스타벅스란다..
가 봤더니 세상에, 이런 커피도 있었나?
입에 착착 감기는 맛도 그렇거니와 그 향에 매료되었나 보다.

 

내가 카페에 발길을 끊기 시작한 건 결혼 하고 나서 부터였나 보다.
물론 일을 하기 때문에 업무적으로는 자주 갔지만,
사적으로는 점점 찾지 않게 되었다.
그런 나를 다시 커피전문점으로 발길을 돌리게 한 것이 스타벅스였다.
이미 포화 상태라고 생각했던 커피 시장에서..
커피 브랜드로 과감하게 승부를 한 스타벅스는
그 맛 만큼이나 나에게는 신선했다.
그래서 한동안 참 자주도 다녔다.
한참을 가다 보니 커피 빈, 그리고 비슷한 커피 전문점들이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다시 달짝지근하면서 강한 라테의 향보다 직접 타마시는 커피 맛로 돌아오긴 했지만
스타벅스를 처음 갔을 때 느꼈던 그 시선한 느낌 때문에 가끔씩 스타벅스를 이용한다.

 

라떼를 마시다 보면.. 이 책이 아니라 하더라도, 도대체 어떤 사람이길래.. 승산이 없어 보이는 영역을

이다지도 획기적으로 개척했을 까 하는 생각을 늘상 했다.

 

역시나, 예상한 대로.. 하워드 슐츠는 열정으로 뭉친 사람이었다.
성공을 하기 위해서는 실력과 운 말고도 시대의 흐름도 잘 파악할 줄 아는 힘도 있어야 하며

특히 경영 마인드도 있어야 하는데 하워드는 거기에 열정까지 똘똘 뭉쳐져 있다.
안주할 법도 한데, 끊임없이 무언가를 갈구하는 그의 성격은 빈민가에서 자란 환경적 요인이 작용한 것인지,

그의 천성인 지는 잘 모르겠으나
기업을, 그리고 자신을 브랜드화 하는 능력은 참으로 탁월하다.
아마도 스타벅스를 키우면서 그러한 자신의 잠자는 능력도 깨우지 않았을 까 싶다.

 

세계적으로 경기가 안 좋다 보니 스타벅스도 매장을 정리한 다는 기사를 얼마전 읽었다.
스타벅스의 아성도 조금씩 무너지고 있으며 오히려 경기를 그다지 타지 않는 맥도널드의 커피를 선호하는 사람도 늘고 있단다.
경기를 반영하는 지표로 커피 값이 이용되고 있으며 (아마도 스타벅스의 영향일 듯 ) 조만간 저가 커피도 나올 예정이라고 한다.
악조건이 늘다 보니 전년도 대비 50% 성장율을 보인 스타벅스는 하워드 슐츠가 다시 나섰음에도 불구하고

스타벅스의 주식도 상당히 떨어져서 회복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나 보다.
그래도, 세계인들에게 커피의 "맛"을 알려주었고, 전체 커피시장의 판도를 바꾼 스타벅스는 "신화"라고 불리울 만 하다.

 

 

* 누구나 알고 있는 틈새시장이라는 용어가 있다. 이전에는 개척하지 않은 작은 영역으로 인식되었으나

스타벅스를 보고 있자면 "질"적 영역도 틈새시장으로 구분해도 되지 않나 싶다.
* 생활의 지혜 : 스타벅스에 가면.. "벤티" 사이즈가 있다. 무지막지하게 큰 사이즈인데,

2명이 커피를 마시러 가면 난 꼭 "벤티"사이즈를 주문하고 머그컵을 하나 얻어 온다. 
커피가 자그만치 2~3잔 나오기 때문.. ^^ 그런데 가격은? "숏"이나 "그란데"에서 몇 백원만 더 주면 된다.. 푸힛~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