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 - 새 시대를 열어간 사람들
이덕일 지음 / 김영사 / 200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읽으며 [사도세자의 고백] 책이 자꾸 떠올랐는데, 이제 보니 같은 저자다. 이렇게 반가울 때가.
대부분은 사도세자라고 하면 영조의 아들로 뒤주에 갖혀 죽은 불운의 인물 정도로 기억할 것이다.
영정조 시절 당파싸움이 상당히 극렬했었고, 사도세자의 죽음이 실상 당파싸움과 깊게 연관이 있다는 설도 있었다.
당시 정약용을 포함한 유명한 지각있는 학자들이 꽤 있었고 정조시절 민생을 위한 구제책도 꽤 많이 펼쳐졌었으며 당파를 없애기 위한 노력도 많았다는 것 정도도 학창시절 배웠던 내용이다.
이러한 기억이외에 사도세자의 비인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은 조선시대 궁중 문학의 백미라는 칭송을 받았었다.
그런데, [사도세자의 고백]을 보면 사도세자를 정신병으로 몰아 죽음으로 몰고 간 핵심인물에 혜경궁 홍씨와 사도세자의 장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중록]은 남편을 잃은 한 많은 기쁨과 슬픔이 담긴 기록이 아닌 자신과 자신의 아버지는 사도세자의 죽음과는 무관하며
그 죽음의 근본 원인은 완고한 아버지(영조)와 정신병을 가진 아들(사도세자)의 성격차이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고 한다.
[사도세자의 고백]을 읽으면서 노론과 소론의 싸움, 영조의 출생의 컴플렉스, 혜경궁 홍씨의 입장, 정조의 아슬아슬 한 즉위 등 숨겨진 역사의 이면이 꽤나 충격이었다.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은 한비야 씨의 [그건, 사랑이었네]를 통해 알게 되었다.
그녀가 추천한 책은 시간을 두고 한 권씩 읽어보고 싶어서 제목을 잘 적어 뒀었다.
정약용 또한 내가 알고 있는 몇 안되는 사실은 오랜 기간 유배생활을 했었고, [목민심서]같은 책을 남겼으며 화성에 계획된 도시를 세웠다는 것 정도다.
이번 [정약용과 ~]를 읽다 보니 정약용이 사도세자, 정조, 당파, 천주교 등과 상당히 얽히고 섥혀 있음을 알게 되었는데,
관련 삽화와 사진의 도움까지 있어서 상당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철저히 배척당한 정약용 일가의 일생과, 그 험난한 인생에서도 사람들에게 빛을 남겨준 모습은 참으로 인상적이다.
1편은 사도세자의 죽음이 있던 날 남인 정재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정약용과 정조의 만남을 중심으로 향후 닥칠 불운에 대해 암시를 기술하고 있다.
노론이 남인을 제거하기 위해 천주교를 빌미로 삼는 부분도 나온다.
아마 2편에서 본격적인 유배지 생활이 나올 것 같다.

책을 읽으며 가슴 답답했던 부분은..
우리나라의 지리적 위치였다.
우수한 인재가 그 어느 나라에 뒤지지 않을 진데, 그 뜻을 펼치기에는 너무도 좁은 땅이다.
아니, 좁아도 좋다. 다른 나라와 활발히 교역을 할 위치에만 있었더라도 무수히 많은 인물들이 그 이름을 널리 알렸을 텐데..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북으로 갈 수 없는 현재의 상황까지 고려하면 더 안타깝다.

또한, 우리나라 중, 고등학교에서도 역사에 대한 주입식 설명만 할 것이 아니라 이런 굵직한 역사적 사건들로 토론 수업을 하면 어떻까 싶다.
역사란 깊이 들어 가면 들어 갈수록 그 맛과 색이 틀려지는데 나를 포함한 대부분 사람들은 사극을 통해서만 특정 인물이나 사실을 깊이 접해볼 수 있다는 점이 안타깝다.
그것도 허구가 섞인 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