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를 위한 일생의 독서 계획
저우예후이 지음, 최경숙 옮김 / 바다출판사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제목이 상당히 거창한데, 연령대별 책에 대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아이의 책읽기를 주제로 한 여러 권의 책을 읽어서 그런지,
그 접근방법이라는 것이 일반론적인 내용에 많이 머물지 않나하는 생각이 든다.
0에서 7세, 8에서 13세, 14에서 16세, 17에서 19세로 단계를 나누어 아이의 독서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고 그 중 0에서 7세 단계에 대해 상당히 많은 양을 할애하고 있어서 이미 8세로 달려가는 울 아들은 해당 無인 내용이 많지만 기본은 동일하다. 
부모가 모범을 보여주고, 시기 별로 좋은 책을 보여주라는..
그런 면에서 아이가 아주 어릴 때 미리 접하면 괜찮은 책이지만,
초등생 부모 그 중에서도 어려서 부터 책을 꾸준히 접해 준 부모라면 굳이 안 읽어도 몸소 터득했을 내용들이다.  

동화책을 왜 읽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나도 다시금 생각하게 된 면은 좋았다.
우리 신랑이 주장하는 것 중 하나가..
TV를 아이에게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유인 즉은, 어린 시절 봤던 만화영화나 어린이 프로는
커서도 두고두고 생각나는 아이들이 로망이란다.
왜 오후의 TV만화영화 시간대가 그런지 생각해 봤냐고 하며 하는 말이,
엄마들은 그 시간 저녁 준비하고, 아이들은 재미나게 TV를 보게 하려는 배려라나?
하긴, 나도 어릴 때 그 시간대에 봤던 바람돌이, 호호아줌마, 개구리 왕눈이가 아직도 생각난다.
그러고 보니 만화영화나 만화책처럼 동화책 또는 이야기책은.. 그 시절에 보지 않으면 사실 평생 놓치게 된다.
성인이 되어서 "톰 소여의 모험"이나 "샬롯의 거미줄"을 읽는 사람은 극히 드물기 때문이다.

그리고, 과거에 비해 많은 책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우수수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라도
양서를 구별하는 눈은 키워주고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토랑 2009-11-12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쩜 저희신랑이랑 똑같은 얘기를 하는지..
TV 보고, 유행가와 댄스와 유머도 알아야 사회생활도 되고.
어쩌고..
물론 만화 영화도 마찬가지구요..